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소설론
· ISBN : 9791186356371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15-09-1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장 다문화 시대의 한국문학
2장 결혼이주여성 제재 소설의 유형 분류
1. 서론
2. 결혼이주여성의 등장 배경
3. 한국 사회로부터 주변화되는 결혼이주여성
1) 극단적 주변화의 방식-살인, 자살, 출국
2) 주변화에 맞서는 작은 탈주선들
4. 한국 사회로 동화되기의 (불)가능성
5. 분리의 시도와 실패
6. 통합의 가능성
7. 결론
3장 한국인과 이주노동자의 관계양상
1. 다문화 시대
2. 이주노동자의 주변화
3. 이주노동자의 분리
4. 이주노동자의 동화
5. 이주노동자와 한국인의 보편성 강조
6. 이주노동자의 고유성과 보편성에 대한 인정
7. 이주노동자를 형상화하는 다섯 가지 유형
4장 한국소설과 탈북자
1. 서론
2. 디아스포라의 대표형상
3. 남북한을 바라보는 복합적 시각
1) 북한 사회에 대한 비판과 향수
2) 남한 사회에 대한 비판
4. 윤리와 행동
5. 다양한 시각의 작품들
5장 외국의 한국인들
1. 넘을 수 없는 장벽 앞에 선 한국인들
2. 세 사람이 함께 하는 번역 작업
3. 우리를 되비춰주는 거울
4. 함께 만들어 나가는 고향의 명암
5. 결론
6장 지구적 과제의 소설적 형상화
1. 탈국경의 상상력
2. 지구적 생태환경의 위기
3. 폭력의 일상화 혹은 지구화
4. ‘세계에 대한 상상’으로서의 소설
5. 결론
7장 다문화 시대의 (탈)민족주의적 역사소설
1. 역사소설과 Nation-State
2. 공동체의 굿판과 연대의 집
3. 내셔널 히스토리로서의 역사소설
4. 분열하는 일본, 부활하는 일본
5. 타향에서 이방인으로 죽기
6. 상상으로서의 고향, 실존으로서의 고향
7. 공동체라는 유령
8장 이효석의 소설에 나타난 다문화적 상상력-<벽공무한>을 중심으로
1. 헤테로토피아로서의 하얼빈
2. 혼종성의 공간
3. 문제제기의 공간
4. 사랑과 예술(미)의 헤테로토피아 창조
5. 결론
9장 채만식의 「소년은 자란다」에 나타난 민족 공존의 가능성
-반식민주의와 탈민족주의 양상을 중심으로
1. 만주국 붕괴 이전과 이후의 조선인
2. 사라지지 않는 공동체지향성-후지와라 데이 <흐르는 별은 살아 있다>
3. 새로운 주체의 탄생가능성-채만식 「소년은 자란다」
4. 과잉 민족주의 시대에 창작된 이채로운 작품
5.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