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86358535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9-03-0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추천의 글
독립과 국경일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1부. 독립의 불씨를 당긴 민족주의의 발현
국경일을 만든 대한제국, 국경일이 없는 영국 * 영국
3.1 운동과 프랑스 혁명 어떤 점이 닮았나 * 프랑스
민족의식을 고취시킨 독립선언문 * 미국
종교가 이끈 독립운동 * 멕시코
독립을 기념하는 조지아, 광복을 기념하는 한국 * 조지아
2부 억압으로부터 자주독립을 쟁취하다
독립 단체가 주도한 독립운동 * 필리핀
군사적 조직력의 터키와 애국 계몽운동의 한국 * 터키
무장 충돌도 불사한 독립전쟁 * 알제리
독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청년 세대 * 인도네시아
식민 지배의 아픔을 기억하다 * 나미비아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국경일과 민족주의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면 다시 대한제국 시대로 돌아가 보자.

1919년 3월 1일, 민족 대표 33인이 독립선언을 했다고 해서 나라의 독립이 당장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를 계기로 나라의 독립을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민족의식이 온 국민에게 심어졌다. 구한말부터 시작된 태극기 제작, 한국 민족 기원의 연구, 동학 운동, 대종교의 개천절 창시 등 민족의식을 심어주는 작업들이 뱃속에 태아를 만들고, 그 태아는 1919년 3월 1일에 태어나 독립을 향해 나아가는 신생아가 되었다. 그래서 나는 1919년 3월 1일을 ‘근현대적인 한국 민족의식의 생일’이라고 표현하고 싶다. (……) 한국 사람들은 삼일절을 통해 기억하고자 하는 것이 많다. 그중에서 가장 큰 의미는 3.1 운동을 통해 드디어 민족의시깅 한국인들 마음에 새겨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볼 때 삼일절은 프랑스 혁명 기념일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