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세계사 일반
· ISBN : 9791186358863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0-10-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추천의 글
독립과 국경일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1부. 독립의 불씨를 당긴 민족주의의 발현
국경일을 만든 대한제국, 국경일이 없는 영국 * 영국
3.1 운동과 프랑스 혁명 어떤 점이 닮았나 * 프랑스
민족의식을 고취시킨 독립선언문 * 미국
종교가 이끈 독립운동 * 멕시코
독립을 기념하는 조지아, 광복을 기념하는 한국 * 조지아
2부 억압으로부터 자주독립을 쟁취하다
독립 단체가 주도한 독립운동 * 필리핀
군사적 조직력의 터키와 애국 계몽운동의 한국 * 터키
무장 충돌도 불사한 독립전쟁 * 알제리
독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청년 세대 * 인도네시아
식민 지배의 아픔을 기억하다 * 나미비아
저자소개
책속에서
1919년 3월 1일, 민족 대표 33인이 독립선언을 했다고 해서 나라의 독립이 당장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를 계기로 나라의 독립을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민족의식이 온 국민에게 심어졌다. 구한말부터 시작된 태극기 제작, 한국 민족 기원의 연구, 동학 운동, 대종교의 개천절 창시 등 민족의식을 심어주는 작업들이 뱃속에 태아를 만들고, 그 태아는 1919년 3월 1일에 태어나 독립을 향해 나아가는 신생아가 되었다. 그래서 나는 1919년 3월 1일을 ‘근현대적인 한국 민족의식의 생일’이라고 표현하고 싶다. (……) 한국 사람들은 삼일절을 통해 기억하고자 하는 것이 많다. 그중에서 가장 큰 의미는 3.1 운동을 통해 드디어 민족의시깅 한국인들 마음에 새겨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볼 때 삼일절은 프랑스 혁명 기념일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멕시코의 세속적인 국경일을 살펴보자. 미국과 마찬가지로 역대 가장 훌륭하다고 평가받는 대통령인 베니토 후아레스Benito Pablo Juarez Garcia(1806~1872, 재임 1857~1872)의 생일뿐만 아니라 근대에 일어난 정치적인 사건들도 국경일로 경축되고 있다.
매년 11월 셋째 월요일로 정해 놓은 ‘혁명의 날’은 멕시코를 34년 동안 독재로 다스린 포르피리오 디아스Porfirio_Diaz의 정권을 종식시킨 멕시코 혁명을 경축하는 날이다. 한국이 매년 ‘6월 민주화 항쟁’을 축하하는 것과 비슷하다.
한국의 삼일절과 유사한 날은 바로 매년 9월 16일에 경축되는 ‘독립기념일’이다. 이 두 국경일이 비슷한 이유는 한국에서든 멕시코에서든 독립선언이 독립으로 바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독립선언 이후에도 그 정신을 이어받은 독립운동가들이 지속적으로 독립활동을 했다는 사실도 유사점 주에 하나이다.
필리핀의 독립 역사를 보다 보면 자연스럽게 한국의 독립운동과 비교하게 된다. 한국에서는 필리핀처럼 하나의 독립 단체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독립운동이 진행되지 않았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가장 핵심적인 역할은 다양한 종교와 사상을 가진 한국인들을 같은 틀에서 독립운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는 점이었다. 임시정부가 수립됨으로써 독립운동의 통합이 가능해졌고, 그 경험을 독립 후 민주주의가 실현되기까지 나름 적합한 정치적 마당이 형성되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한국 독립 역사에서 빼버리면 오늘날에 한국 국민들이 애국가와 어린이날, 삼일절, 개천절 같은 기념일을 없애고, 태극기마저 부정해 버리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