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86409640
· 쪽수 : 494쪽
· 출판일 : 2016-07-13
책 소개
목차
서론
1부 철학의 질문
1 우주론적 논증
2 하나님의 존재를 위한 도덕론적 논증
3 임사체험
4 자연주의
5 무엇 때문에 고난을 겪는가?
6 악으로부터의 논증에 대한 답변
7 하나님, 고통, 그리고 산타클로스
2부 과학의 질문
8 창조자와 유지자
9 『창백한 푸른 점』 재고
10 산소와 물 그리고 빛, 이런!
11 생명의 기원
12 모든 고등학생이 과학에 관해 알아야만 하는 것
13 다윈의 전투함 _배가 야기한 누수에 관한 상황 보고서
14 스콥스 “원숭이 재판”에 대한 전형적인 이해가 틀렸음을 드러내기
15 다윈주의는 어떻게 우리를 우둔하게 만들까?
16 진화 가능성의 한계
17 진화 연산
18 과학, 우생학, 그리고 생명윤리학
19 발견을 위하여 설계됨
20 지적 설계
21 지적 설계, 최상의 설계, 그리고 신의 설계
22 분자 생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_세포 안에서의 나노공학
23 하나님을 혹평함
24 과학에서의 행위자의 역할
25 설계 추론의 과학적 상태
26 바이스 전략
3부 예수에 대한 질문
27 예수는 정말로 존재했는가?
28 예수의 기적의 신뢰성
29 인자
30 하나님의 아들
31 하나님으로서의 예수
32 예수는 자신의 폭력적인 죽음과 부활을 예견했는가?
33 우리는 예수가 십자가에서 죽었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는가?
34 예수의 빈 무덤
35 예수의 부활 현현
36 예수의 부활 현현은 환각이었는가?
37 삼위일체
38 예수는 다른 모든 종교 지도자보다 우월한가?
39 예수는 유일한 길인가?
40 복음을 전혀 들어보지 못한 사람들은 어떻게 되는가?
41 바울이 기독교를 창안했는가?
4부 성경에 대한 질문
42 오늘날의 성경은 원본으로 쓰인 그대로인가?
43 무오성과 신약성경 본문
44 왜 모든 번역인가?
45 고고학과 성경
46 복음서의 역사적인 신뢰성
47 신약성경 정경
48 우리는 콥트 교회의 「도마복음」을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49 우리는 「베드로복음」을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50 우리는 「유다복음」을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리뷰
책속에서
무신론자들은 자신들의 논증이 유신론을 논박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들은 자신들의 원칙을 적용하는 데 있어 일관적이지 못하고 증명되지 않은 가정과 가치에 대한 왜곡된 위계질서를 남몰래 끌어들이고 있다. 유신론자들이 고난의 꽤 많은 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이것은 제한된 존재에게서 합리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모든 것이다)는 사실, 하나님을 믿는 신앙을 지지하는 강력한 증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 그리고 무신론자들이 가진 문제들을 결합해보면, 무신론자들에게 유일하게 중요한 논증인 악으로부터의 논증이 다양한 수준에서 실패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1부 6_악으로부터의 논증에 대한 답변 중에서
지적 설계 운동 안에 있는 우리는 좋은 과학의 지지자들이다. 우리의 비판과 질문이 더 나은 연구를 조장한다면 우리는 그 결과가 어떤 것이든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런 일을 하는 우리의 현재 관심은 진화론을 주장하는 과학자들이 현재 증거의 상태에 대해 정직한 태도를 유지하고, 왜 진화라는 주제에 대한 논쟁이 있는지를 젊은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것이다.
2부 13_다윈의 전투함 중에서
나는 한때 기독교 대학에서 다윈주의로부터 포스트모던 실용주의까지의 진보를 제시했던 적이 있다. 그때 청중 한 사람이 손을 들었다. “한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우리의 개념과 신념 모두가 진화했다고 생각하는 이 사람들은…자기 자신들의 개념이 진화했다고 생각합니까?” 청중은 즐거운 박수갈채를 보냈다. 그가 지식에 대한 다윈의 접근이 지니는 주된 오류를 파악했기 때문이다. 모든 개념이 진화의 산물이고 그러므로 실제로 참이 아니며 단지 생존을 위해 유용할 따름이라면, 진화 자체도 진리가 아니다. 그렇다면 왜 우리 같은 사람들이 거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가?
2부 15_다윈주의는 어떻게 우리를 우둔하게 만들까 중에서
나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해드리려고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면서 하나님과의 훌륭한 관계를 맺고 있고, 내 삶을 통해 하나님이 나를 인도하셨으며, 무수한 내 기도에 하나님이 응답하셨다고 확신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종교를 추종하는 사람들도 비슷한 확신이 있다. 이것은 내가 어떤 특정한 관점에서 이 세상의 일들을 보고 믿도록 길들여진 것이 아닐까? 어떻게 나는 타당한 확신을 갖고 기독교가 진리라는 것을 알게 되었을까?
3부 36_ 예수의 부활 현현은 환각이었는가? 중에서
기독교는 도덕적 원칙이나 신비로운 체험 위에 세워지거나 무너지지 않는다. 기독교가 도덕적 원칙이나 신비로운 체험 위에 세워졌다면, 기독교는 세상에 있는 어떤 다른 종교보다 더 좋은 종교일 수 없고 예수 그리스도는 단지 또 다른 위대한 종교 교사나 도덕 교사에 불과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 기독교는 전적으로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 위에 서거나 무너진다.
3부 38_ 예수는 다른 모든 종교 지도자보다 우월한가? 중에서
신약성경의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에 관한 묘사의 주요한 윤곽은 믿을 수 있는가? 왜 복음서는 문자적으로 동일하지 않은가? 우선적으로 물어야 할 질문은 필요한 복음서가 왜 하나 이상이었는가다. 더욱이 공관복음서에서 문자적 유사성은 대개 하나의 복음서가 다른 복음서에 문학적으로 의존하고 있거나 또는 두 복음서가 함께 하나의 공통 자료에 의존하고 있다는 표시로 여겨지고 있다. 이런 차이점에 대해 수많은 이유가 존재한다.
4부 46_ 복음서의 역사적인 신뢰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