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1321
· 쪽수 : 1032쪽
· 출판일 : 2019-12-13
책 소개
목차
목 차
감사의 글
서론
약어표
1장
고대 텍스트의 진실에 관한 역사 탐구와 관련된 주요 고려사항들
1.1. 서론적 해설
1.2. 이론
1.2.1. 역사철학의 고려사항들
1.2.2. 지평
1.2.3. 지평을 초월할 가능성에 관하여
1.2.4. 합의의 역할
1.2.5. 역사 지식의 불확실성
1.2.6. 포스트모던주의 역사
1.2.7. 포스트모던주의 역사의 문제
1.2.8. 진리란 무엇인가?
1.2.9. 역사적 사실이란 무엇인가?
1.2.10. 입증책임
1.2.11. 이론과 역사가
1.2.12. 역사는 과학인가?
1.2.13. 역사가들이 하는 일
1.3. 방법
1.3.1. 이론에서 방법으로
1.3.2. 최상의 설명에 도달하는 논증
1.3.3. 통계적 추론을 통한 논증
1.3.4. 역사적 확실성의 스펙트럼
1.3.5. 요약
1.3.6. 결론
1.3.7. 고백
2장
역사가와 기적
2.1. 서론적 해설
2.2. 데이비드 흄
2.3. C. 베한 맥컬래프
2.4. 존 P. 마이어
2.5. 바트 D. 어만
2.6. A. J. M. 웨더번/ 제임스 D. G. 던
2.7. 역사가의 전환점
2.8. 기적 주장과 관련된 입증책임
2.8.1. 리스크 평가
2.8.2. 법률 체계
2.8.3. 세이건의 격언
2.9. 요약과 결론
3장
예수의 부활에 관한 역사 자료
3.1. 서론적 해설
3.2. 출처
3.2.1. 정경 복음서
3.2.2. 바울 서신
3.2.3. 신약성서 문헌보다 앞설 수도 있는 자료
3.2.3.1. Q
3.2.3.2. 마가 이전 전승
3.2.3.3. 사도행전에 실린 연설들
3.2.3.4. 구두 신앙고백
3.2.3.4.a. 로마서 1:3b-4a
3.2.3.4.b. 누가복음 24:33-34
3.2.3.4.c. 다른 신앙고백들
3.2.3.4.d. 고린도전서 15:3-8
3.2.4. 비기독교 데이터
3.2.4.1. 요세푸스
3.2.4.2. 타키투스
3.2.4.3. 소플리니우스
3.2.4.4. 수에토니우스
3.2.4.5. 마라 바르 세라피온
3.2.4.6. 탈루스
3.2.4.7. 루키아노스
3.2.4.8. 켈소스
3.2.4.9. 랍비 자료
3.2.5. 사도 교부
3.2.5.1. 로마의 클레멘스
3.2.5.2. 폴리카르포스
3.2.5.3. 바나바 서신
3.2.6. 정경이 아닌 기타 기독교 문서
3.2.6.1. 도마복음
3.2.6.2. 베드로복음
3.2.6.3. 유다복음
3.2.6.4. 계시에 관한 대화들
3.2.6.4.a. 「사도서신」
3.2.6.4.b. 「부활에 관한 논문」
3.2.6.4.c. 「야고보 외전」
3.2.6.5. 「위(僞)-마가복음」(막 16:9-20)
3.3. 결론
4장
예수의 운명에 관한 역사적 기반
4.1. 서론적 해설
4.2. 예수의 생애와 관련된 역사적 기반
4.2.1. 기적을 일으키고 귀신을 쫓아내는 사람 예수
4.2.2. 예수: 하나님의 종말론적 대리인
4.2.3. 자신의 죽음과 신원/부활에 관한 예수의 예언:
간발의 차이로 역사적 기반에 포함되지 아니함
4.2.3.1. 예수의 수난과 신원/부활 예언의 역사성을 지지하는 여섯 가지 논거
4.2.3.2. 예수의 수난과 부활 예언의 역사성에 반대하는 세 가지 논거
4.3. 예수의 운명과 관련된 역사적 기반
4.3.1. 십자가형에 의한 예수의 죽음
4.3.2. 제자들에게 나타남
4.3.2.1. 고린도전서 15:3-8에 나타난 예수의 출현
4.3.2.1.a. 전승의 장구함
4.3.2.1.b. 특별히 논란이 되는 두 번의 출현
4.3.2.1.c. 3일 모티프
4.3.2.1.d. 출현 전승과 그 본질
4.3.2.1.e. 바울과 빈 무덤
4.3.2.2. 방문을 받은 자의 권위를 뒷받침해주는 요소로서의 출현
4.3.2.3. 마가복음과 부활 후 출현
4.3.2.4. 여성 목격자
4.3.2.5. 엠마오로 가던 제자들에 대한 출현
4.3.2.6. 마태복음 28:17-18에서 “의심한” 사람들
4.3.2.7. 사도들의 운명
4.3.2.8. 결론
4.3.3. 교회 박해자 바울의 회심
4.3.3.1. 바울의 회심 경험에 관한 바울 서신의 텍스트
4.3.3.1.a. 갈라디아서 1:11-19
4.3.3.1.b. 고린도전서 9:1
4.3.3.1.c. 고린도전서 15:8
4.3.3.1.d. 고린도후서 4:6
4.3.3.1.e. 고린도후서 12:2-4
4.3.3.2. 바울의 회심 경험에 관한 사도행전의 텍스트
4.3.3.2.a. 사도행전 9:3-20
4.3.3.2.c. 사도행전 26:12-18
4.3.3.3. 바울의 텍스트와 사도행전 텍스트 사이의 유사성
4.3.3.4. 사도행전 텍스트들 사이의 차이점
4.3.3.5. 다른 제안들에 대한 평가
4.3.3.6. 바울의 운명
4.3.3.7. 평행구들
4.3.3.8. 결론
4.3.3.9. 바울은 예수의 부활에 관해 무엇을 믿었는가?
4.3.3.9.a. 로마서 8:11
4.3.3.9.b. 고린도전서 15:42-54
4.3.3.9.c. 빌립보서 3:21
4.3.3.9.d. 골로새서 2:9
4.3.3.9.e. 고린도후서 4:16-5:8
4.3.3.9.f. 갈라디아서 1:11-19.
4.3.3.10. 예수의 부활에 관심이 있는 역사가들에게 바울이 중요한 이유
4.3.4. 예수의 회의적인 형제 야고보의 회심
4.3.4.1. 정경 복음서들에서 야고보의 회의주의에 대한 증거
4.3.4.1.a. 마가복음 3:20-35.
4.3.4.1.b. 마가복음 6:2-4, 6a.
4.3.4.1.c. 요한복음 7:1-5.
4.3.4.1.d. 요한복음 19:25b-27.
4.3.4.2. 추가 반론
4.3.4.3. 예수의 부활 이후의 야고보
4.3.4.4. 야고보가 회심한 이유
4.3.4.5. 요약과 결론
4.3.5. 빈 무덤
4.4. 결론
5장
가설들에 대한 평가
5.1. 지금까지의 여정과 의도 요약
5.2. 게자 버미스
5.2.1. 버미스의 견해에 대한 서술
5.2.2. 분석과 우려
5.2.3. 가설에 대한 평가
5.3. 마이클 굴더
5.3.1. 굴더의 견해에 대한 서술
5.3.1.1. 베드로
5.3.1.2. 제자들
5.3.1.3. 바울
5.3.1.4. 복음서들의 출현 전승들
5.3.2. 분석과 우려
5.3.3. 가설에 대한 평가
5.4. 게르트 뤼데만
5.4.1. 뤼데만의 견해에 대한 서술
5.4.1.1. 베드로
5.4.1.2. 제자들
5.4.1.3. 오백여 명
5.4.1.4. 야고보와 예수의 형제들
5.4.1.5. 바울
5.4.1.6. 복음서들에 나타난 출현 전승들
5.4.2. 분석과 우려
5.4.2.1. 정신분석
5.4.2.2. 제자들
5.4.2.3. 오백여 명
5.4.2.4. 바울
5.4.2.5. 상징주의와 가현설
5.4.3. 가설에 대한 평가
5.5. 존 도미니크 크로산
5.5.1. 크로산의 견해에 대한 서술
5.5.1.1. 여섯 가지 문제들
5.5.1.2. 출현들
5.5.1.3. 부활의 의미
5.5.1.4. 지옥 정복
5.5.2. 분석과 우려
5.5.2.1. 크로산의 여섯 가지 우려들
5.5.2.2. 자료
5.5.2.3. 은유
5.5.2.4. 지옥 정복
5.5.3. 가설에 대한 평가
5.6. 피에터 F. 크래퍼트
5.6.1. 크래퍼트의 견해에 대한 서술
5.6.1.1. 서론적 해설
5.6.1.2. 사례 연구: 예수가 물 위를 걸음
5.6.1.3. 예수의 부활에 적용된 사회과학적 접근법
5.6.2. 분석과 우려
5.6.2.1. “허수아비” 논증
5.6.2.2. 포스트모더니즘
5.6.2.3. 자연주의적 편견
5.6.2.4. 변성의식 상태(ASC)
5.6.2.5. 출현들
5.6.3. 가설에 대한 평가
5.7. 부활 가설
5.7.1. 부활 가설에 대한 설명
5.7.2. 분석과 우려
5.7.2.1. 전설이라는 도전
5.7.2.2. 오컴의 면도날
5.7.2.3. 증거 불충분
5.7.2.4. 자료 부족
5.7.3. 가설에 대한 평가
5.8. 요약과 결론
요약 및 추가 고려사항
부록
예수의 부활에 관한 데일 앨리슨의 견해 검토
참고문헌
성구색인
리뷰
책속에서
그렇다면 내 연구는 선행 연구들과 어떻게 다른가? 이 책에서 나는 해석학적 고려 및 방법론적 고려 모두와 관련해서 성서학계 외부의 전문적인 역사가들의 문헌과 전례 없는 상호작용을 하면서 예수 부활의 역사성 문제를 조사할 것이다. _서론
누가 입증책임을 지는가? 우리는 경신(輕信)·회의·중립성이라는 세가지 가능성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저자의 의도와 방법론이 분명할 때에는 경신적 접근법이 선호된다. 불행하게도 대부분의 경우 저자의 의도와 방법론이 명확하지 않다. 복음서들의 경우 최근의 논의는 복음서들이 그리스-로마 전기 장르에 속한다는 점을 확립했다. 비록 전기가 대체로 역사 문제를 진지하게 다루기는 하지만 전기 작가들이 재량을 발휘한 정도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복음서의 장르를 안다 해도 그 유익은 제한된다. 회의적 접근법을 고대 텍스트 전반에 적용할 경우의 문제는, 그럴 경우 역사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대부분의 역사가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울 정도로 축소된다는 것이다. 중립적 접근법은 가설을 제시하는 역사가에게 입증책임을 지운다. 회의주의자는 그 가설을 자유롭게 비판할 수 있지만 자신이 어떤 경쟁 가설을 제시하면 그 경쟁 가설을 옹호할 책임이 있으며, 가장 그럴듯한 설명이 우선한다. 다음 장에서 우리는 그 등식에 기적이 들어오면 입증책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나는 예수 부활의 역사성에 관한 내 연구에서 중립적 접근법을 채택할 것이다.
_1장
그러므로 우리는 비록 예수 부활의 역사성을 긍정하는 역사가들이 완전히 신학적인 의미에서의 예수 부활에 동의할 수 없을지라도, 역사가들이 예수 부활의 역사성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금지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린다. 만약 예수의 부활이 역사 속에서 일어난 사건이었다면, 역사가가 그것을 연구할 권리를 부인하거나 예수가 부활한 원인의 후보군에서 기적을 선험적으로 배제하는 학자들은 사실상 그들 자신을 역사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위치에 두는 것일 수도 있다. _2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