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예수의 부활

예수의 부활

(새로운 역사기술 접근법)

마이클 R. 리코나 (지은이), 김광남 (옮긴이)
새물결플러스
5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9,500원 -10% 0원
2,750원
46,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예수의 부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예수의 부활 (새로운 역사기술 접근법)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1321
· 쪽수 : 1032쪽
· 출판일 : 2019-12-13

책 소개

예수의 부활과 관련된 신빙성이 있는 자료들을 자연주의나 초자연주의라는 선입견 없이 역사기술 접근법을 통해 평가할 경우, 예수가 역사적으로 부활했는지에 관한 불가지론이나 회의론, 환영 가설 등보다 부활 가설이 이 자료들을 가장 잘 설명한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논증한다.

목차

목 차
감사의 글
서론
약어표
1장
고대 텍스트의 진실에 관한 역사 탐구와 관련된 주요 고려사항들
1.1. 서론적 해설
1.2. 이론
1.2.1. 역사철학의 고려사항들
1.2.2. 지평
1.2.3. 지평을 초월할 가능성에 관하여
1.2.4. 합의의 역할
1.2.5. 역사 지식의 불확실성
1.2.6. 포스트모던주의 역사
1.2.7. 포스트모던주의 역사의 문제
1.2.8. 진리란 무엇인가?
1.2.9. 역사적 사실이란 무엇인가?
1.2.10. 입증책임
1.2.11. 이론과 역사가
1.2.12. 역사는 과학인가?
1.2.13. 역사가들이 하는 일
1.3. 방법
1.3.1. 이론에서 방법으로
1.3.2. 최상의 설명에 도달하는 논증
1.3.3. 통계적 추론을 통한 논증
1.3.4. 역사적 확실성의 스펙트럼
1.3.5. 요약
1.3.6. 결론
1.3.7. 고백
2장
역사가와 기적
2.1. 서론적 해설
2.2. 데이비드 흄
2.3. C. 베한 맥컬래프
2.4. 존 P. 마이어
2.5. 바트 D. 어만
2.6. A. J. M. 웨더번/ 제임스 D. G. 던
2.7. 역사가의 전환점
2.8. 기적 주장과 관련된 입증책임
2.8.1. 리스크 평가
2.8.2. 법률 체계
2.8.3. 세이건의 격언
2.9. 요약과 결론
3장
예수의 부활에 관한 역사 자료
3.1. 서론적 해설
3.2. 출처
3.2.1. 정경 복음서
3.2.2. 바울 서신
3.2.3. 신약성서 문헌보다 앞설 수도 있는 자료
3.2.3.1. Q
3.2.3.2. 마가 이전 전승
3.2.3.3. 사도행전에 실린 연설들
3.2.3.4. 구두 신앙고백
3.2.3.4.a. 로마서 1:3b-4a
3.2.3.4.b. 누가복음 24:33-34
3.2.3.4.c. 다른 신앙고백들
3.2.3.4.d. 고린도전서 15:3-8
3.2.4. 비기독교 데이터
3.2.4.1. 요세푸스
3.2.4.2. 타키투스
3.2.4.3. 소플리니우스
3.2.4.4. 수에토니우스
3.2.4.5. 마라 바르 세라피온
3.2.4.6. 탈루스
3.2.4.7. 루키아노스
3.2.4.8. 켈소스
3.2.4.9. 랍비 자료
3.2.5. 사도 교부
3.2.5.1. 로마의 클레멘스
3.2.5.2. 폴리카르포스
3.2.5.3. 바나바 서신
3.2.6. 정경이 아닌 기타 기독교 문서
3.2.6.1. 도마복음
3.2.6.2. 베드로복음
3.2.6.3. 유다복음
3.2.6.4. 계시에 관한 대화들
3.2.6.4.a. 「사도서신」
3.2.6.4.b. 「부활에 관한 논문」
3.2.6.4.c. 「야고보 외전」
3.2.6.5. 「위(僞)-마가복음」(막 16:9-20)
3.3. 결론
4장
예수의 운명에 관한 역사적 기반
4.1. 서론적 해설
4.2. 예수의 생애와 관련된 역사적 기반
4.2.1. 기적을 일으키고 귀신을 쫓아내는 사람 예수
4.2.2. 예수: 하나님의 종말론적 대리인
4.2.3. 자신의 죽음과 신원/부활에 관한 예수의 예언:
간발의 차이로 역사적 기반에 포함되지 아니함
4.2.3.1. 예수의 수난과 신원/부활 예언의 역사성을 지지하는 여섯 가지 논거
4.2.3.2. 예수의 수난과 부활 예언의 역사성에 반대하는 세 가지 논거
4.3. 예수의 운명과 관련된 역사적 기반
4.3.1. 십자가형에 의한 예수의 죽음
4.3.2. 제자들에게 나타남
4.3.2.1. 고린도전서 15:3-8에 나타난 예수의 출현
4.3.2.1.a. 전승의 장구함
4.3.2.1.b. 특별히 논란이 되는 두 번의 출현
4.3.2.1.c. 3일 모티프
4.3.2.1.d. 출현 전승과 그 본질
4.3.2.1.e. 바울과 빈 무덤
4.3.2.2. 방문을 받은 자의 권위를 뒷받침해주는 요소로서의 출현
4.3.2.3. 마가복음과 부활 후 출현
4.3.2.4. 여성 목격자
4.3.2.5. 엠마오로 가던 제자들에 대한 출현
4.3.2.6. 마태복음 28:17-18에서 “의심한” 사람들
4.3.2.7. 사도들의 운명
4.3.2.8. 결론
4.3.3. 교회 박해자 바울의 회심
4.3.3.1. 바울의 회심 경험에 관한 바울 서신의 텍스트
4.3.3.1.a. 갈라디아서 1:11-19
4.3.3.1.b. 고린도전서 9:1
4.3.3.1.c. 고린도전서 15:8
4.3.3.1.d. 고린도후서 4:6
4.3.3.1.e. 고린도후서 12:2-4
4.3.3.2. 바울의 회심 경험에 관한 사도행전의 텍스트
4.3.3.2.a. 사도행전 9:3-20
4.3.3.2.c. 사도행전 26:12-18
4.3.3.3. 바울의 텍스트와 사도행전 텍스트 사이의 유사성
4.3.3.4. 사도행전 텍스트들 사이의 차이점
4.3.3.5. 다른 제안들에 대한 평가
4.3.3.6. 바울의 운명
4.3.3.7. 평행구들
4.3.3.8. 결론
4.3.3.9. 바울은 예수의 부활에 관해 무엇을 믿었는가?
4.3.3.9.a. 로마서 8:11
4.3.3.9.b. 고린도전서 15:42-54
4.3.3.9.c. 빌립보서 3:21
4.3.3.9.d. 골로새서 2:9
4.3.3.9.e. 고린도후서 4:16-5:8
4.3.3.9.f. 갈라디아서 1:11-19.
4.3.3.10. 예수의 부활에 관심이 있는 역사가들에게 바울이 중요한 이유
4.3.4. 예수의 회의적인 형제 야고보의 회심
4.3.4.1. 정경 복음서들에서 야고보의 회의주의에 대한 증거
4.3.4.1.a. 마가복음 3:20-35.
4.3.4.1.b. 마가복음 6:2-4, 6a.
4.3.4.1.c. 요한복음 7:1-5.
4.3.4.1.d. 요한복음 19:25b-27.
4.3.4.2. 추가 반론
4.3.4.3. 예수의 부활 이후의 야고보
4.3.4.4. 야고보가 회심한 이유
4.3.4.5. 요약과 결론
4.3.5. 빈 무덤
4.4. 결론
5장
가설들에 대한 평가
5.1. 지금까지의 여정과 의도 요약
5.2. 게자 버미스
5.2.1. 버미스의 견해에 대한 서술
5.2.2. 분석과 우려
5.2.3. 가설에 대한 평가
5.3. 마이클 굴더
5.3.1. 굴더의 견해에 대한 서술
5.3.1.1. 베드로
5.3.1.2. 제자들
5.3.1.3. 바울
5.3.1.4. 복음서들의 출현 전승들
5.3.2. 분석과 우려
5.3.3. 가설에 대한 평가
5.4. 게르트 뤼데만
5.4.1. 뤼데만의 견해에 대한 서술
5.4.1.1. 베드로
5.4.1.2. 제자들
5.4.1.3. 오백여 명
5.4.1.4. 야고보와 예수의 형제들
5.4.1.5. 바울
5.4.1.6. 복음서들에 나타난 출현 전승들
5.4.2. 분석과 우려
5.4.2.1. 정신분석
5.4.2.2. 제자들
5.4.2.3. 오백여 명
5.4.2.4. 바울
5.4.2.5. 상징주의와 가현설
5.4.3. 가설에 대한 평가
5.5. 존 도미니크 크로산
5.5.1. 크로산의 견해에 대한 서술
5.5.1.1. 여섯 가지 문제들
5.5.1.2. 출현들
5.5.1.3. 부활의 의미
5.5.1.4. 지옥 정복
5.5.2. 분석과 우려
5.5.2.1. 크로산의 여섯 가지 우려들
5.5.2.2. 자료
5.5.2.3. 은유
5.5.2.4. 지옥 정복
5.5.3. 가설에 대한 평가
5.6. 피에터 F. 크래퍼트
5.6.1. 크래퍼트의 견해에 대한 서술
5.6.1.1. 서론적 해설
5.6.1.2. 사례 연구: 예수가 물 위를 걸음
5.6.1.3. 예수의 부활에 적용된 사회과학적 접근법
5.6.2. 분석과 우려
5.6.2.1. “허수아비” 논증
5.6.2.2. 포스트모더니즘
5.6.2.3. 자연주의적 편견
5.6.2.4. 변성의식 상태(ASC)
5.6.2.5. 출현들
5.6.3. 가설에 대한 평가
5.7. 부활 가설
5.7.1. 부활 가설에 대한 설명
5.7.2. 분석과 우려
5.7.2.1. 전설이라는 도전
5.7.2.2. 오컴의 면도날
5.7.2.3. 증거 불충분
5.7.2.4. 자료 부족
5.7.3. 가설에 대한 평가
5.8. 요약과 결론
요약 및 추가 고려사항
부록
예수의 부활에 관한 데일 앨리슨의 견해 검토
참고문헌
성구색인

저자소개

마이클 R. 리코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리코나는 미국 신약성서 학자, 기독교 변증가 겸 작가다. 그는 휴스턴 침례신학대학교 부교수이자 Risen Jesus Inc. 이사로 재직 중이며 예수의 부활과 그리스-로마 전기로서의 복음서 문헌 분석 전문가다. 리버티 대학교에서 종교학 석사, 프레토리아 대학교에서 신약성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본서 외에도 Why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Gospels?; What We Can Learn From Ancient Biograhhy; Paul Meets Muhamed; Behold, I Stand at the Door and Knock 등을 저술했다.
펼치기
김광남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에서 영문학을, 동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에서 성서학을 공부했다. 여러 해 동안 기독교 언론과 출판 분야에서 일했다. 역서로 『초기 교회와 인내의 발효』, 『창조론 대화가 필요해』(이상 IVP), 『아담의 역사성 논쟁』, 『예수의 부활』, 『지복직관』(이상 새물결플러스), 『예언자들의 메시지』, 『칼빈의 십계명 강해』(이상 비전북)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그렇다면 내 연구는 선행 연구들과 어떻게 다른가? 이 책에서 나는 해석학적 고려 및 방법론적 고려 모두와 관련해서 성서학계 외부의 전문적인 역사가들의 문헌과 전례 없는 상호작용을 하면서 예수 부활의 역사성 문제를 조사할 것이다. _서론


누가 입증책임을 지는가? 우리는 경신(輕信)·회의·중립성이라는 세가지 가능성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저자의 의도와 방법론이 분명할 때에는 경신적 접근법이 선호된다. 불행하게도 대부분의 경우 저자의 의도와 방법론이 명확하지 않다. 복음서들의 경우 최근의 논의는 복음서들이 그리스-로마 전기 장르에 속한다는 점을 확립했다. 비록 전기가 대체로 역사 문제를 진지하게 다루기는 하지만 전기 작가들이 재량을 발휘한 정도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복음서의 장르를 안다 해도 그 유익은 제한된다. 회의적 접근법을 고대 텍스트 전반에 적용할 경우의 문제는, 그럴 경우 역사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대부분의 역사가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울 정도로 축소된다는 것이다. 중립적 접근법은 가설을 제시하는 역사가에게 입증책임을 지운다. 회의주의자는 그 가설을 자유롭게 비판할 수 있지만 자신이 어떤 경쟁 가설을 제시하면 그 경쟁 가설을 옹호할 책임이 있으며, 가장 그럴듯한 설명이 우선한다. 다음 장에서 우리는 그 등식에 기적이 들어오면 입증책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나는 예수 부활의 역사성에 관한 내 연구에서 중립적 접근법을 채택할 것이다.
_1장


그러므로 우리는 비록 예수 부활의 역사성을 긍정하는 역사가들이 완전히 신학적인 의미에서의 예수 부활에 동의할 수 없을지라도, 역사가들이 예수 부활의 역사성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 금지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린다. 만약 예수의 부활이 역사 속에서 일어난 사건이었다면, 역사가가 그것을 연구할 권리를 부인하거나 예수가 부활한 원인의 후보군에서 기적을 선험적으로 배제하는 학자들은 사실상 그들 자신을 역사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위치에 두는 것일 수도 있다. _2장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