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러시아문학론
· ISBN : 9791186430361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6-12-02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__4
발간사__11
1. N. A. 네크라소프 시의 화자__19
2. 19세기 러시아 패러디 시 연구__60
3. 소련의 구조주의 문학비평__88
4. 로트만의 구조시학__99
5. 로트만의 「일상생활 속의 12월 당원」 해설__112
6. 고골의 단편 「외투」에 나타난 그로테스크한 사회__118
7. 소설 『오블로모프』의 서술구조__144
8. 『오블로모프』 리뷰__172
9. 『슬라브 문학사』 역자후기__175
10. 『韓國誌』에 나타난 러시아의 한국학 연구__179
11. 『끝없는 평원의 나라의 시들지 않는 말들』 <책머리에>__184
12. 『오, 조국 러시아, 그대는 나의 운명, 나의 사랑이어라』 편역자 서문__186
13.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러시아 명시 100선』 편역자 서문과 시인 소개__190
14. 러시아 명시 100편 소개__209
찾아보기__286
저자소개
책속에서
1856년판 네크라소프의 시집들에 실린 시들은 다양한 의사전달 구조를 보여주었다. 화자와 시의 인물과의 관계, 화자와 추상적 작가와의 관계가 여러 가지로 나타나 소설의 다음성적 구조에 상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도 했다. 이 초기 시집에 이미 사실주의 시인으로서 네크라소프가 일생 동안 지향하고 실현한 바가 드러났다고 말할 수 있다
위에서 우리는 페트의 시 「속삭임, 수줍은 숨결……」에 대한 여러 가지 파로디야가 원작에 대해 조금씩 다른 태도를 나타내는 것을 살펴보았다. 파로디야들 중에는 원작의 텍스트에 나타난 것을 공격한 것도 있었고 텍스트와는 관계없는 것을 공격한 것도 있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문학 작품이 곧 텍스트가 아니라 텍스트를 포함하는 더 큰 구조로서 여러 가지 층위를 가지는 생명체 같은 것이라고 보면 이 파로디야들은 각각 페트의 시 「속삭임, 수줍은 숨결……」이라는 문학작품의 여러 층위를 겨냥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그런데 이러한 공격에 대해 잘 이해하려면 당시의 여러 가지 문학적 사실들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야 한다. 파로디야 탄생 당시의 문학적 기상도가 상세히 그려져야 파로디야가 지닌 현장성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페트의 인생관, 페트의 예술관, 작품세계, 또 그가 속하는 사상적 그룹 등이 당시 사람들에 의해 어떻게 다양하게 받아들여졌는가를 잘 알아야만 비로소 파로디야를 이해할 수 있다. 이같이 파로디야는 작품 내재적인 가치를 전혀 지니지 못하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할 수 없는 특수한 장르이지만 이 장르가 문학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것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로트만의 문학 연구는 우선 문학 비평이 엄격한 과학적 방법으로 행해져야 한다는 신념에서 출발한다. 그가 생각하는 과학적 방법이란 요약하여 말하자면 특정한 선행 조건들을 기초로 하고 특정한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 가능한 방식으로 특정한 인식적 목적에 도달하게 하는 규칙들의 체계를 뜻한다. 로트만의 이러한 신념은 인문 과학이 정밀과학적인 방법의 필요를 절실히 느끼기 시작한 이래 널리 퍼져 온 학문의 현대적 조류에 문학 연구도 동참해야 한다는 견해에서 다져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과학적 비평은 오랫동안 전통적으로 행해져 왔던 작품 감상 비슷한 문학 비평과는 완전히 성격을 달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제껏 문학 작품을 아끼고 다칠 새라 조심하면서 그것을 고이 마음에 간직해 왔다고 자부하는 문학 애호가들에게 강한 거부감을 일으키게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