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사주/궁합/예언
· ISBN : 9791186483107
· 쪽수 : 382쪽
· 출판일 : 2018-02-20
책 소개
목차
1부
Ⅰ. 易의 기원
1. 역易의 기원
1) 삼역三易
2) 주역의 편찬
3) 음양과 팔괘
2. 용마하도龍馬河圖와 신구낙서神龜洛書
1) 용마하도와 신구낙서
3. 하도.낙서의 방위와 수리
1) 용마하도
2) 용마하도의 생수生數와 성수成數
3) 신구낙서
4) 신구낙서와 마방진魔方陣
Ⅱ. 명리학의 형성과 발전
1. 명리학이란?
2. 명리학의 형성과 발전
1) 『역위易緯』의 사상과 역학관
3. 명리학의 저서
Ⅲ. 음양과 오행
1. 음양이란
2. 오행이란
3. 오행의 기원
4. 오행의 수數
5. 오행五行의 체體와 성질性質
6. 오행의 기운과 계절
7. 오행의 상생상극相生相克
1) 오행의 상생 작용
2) 오행의 상극 작용
3) 오행의 통관 작용
Ⅳ.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1. 간지의 기원
2. 음양과 10천간
1) 천간과 지지의 오행
2) 천간과 지지의 작용
3. 천간의 자의 및 형상(甲~癸)
4. 지지론
1) 지장간
2) 월지 사령司令
3) 월률분야(여기/중기/본기)
5. 지지의 계통 별 특성
1) 생지
2) 왕지
3) 묘지 또는 고지
6. 조후調候
1) 한난조습寒煖燥濕
7. 12지지의 유래
8. 12지지의 인자 및 작용
Ⅴ. 절기와 세시풍속
1. 24절기와 계절의 변화
1) 24절기(氣)
2. 기번幾番과 72후侯
1) 기번이란
2) 72후란
3) 윤달과 윤일이란
3. 24절기節氣와 세시풍속
Ⅵ. 사주를 세우는 법
1. 사주를 정하는 기본 원칙과 이론
1) 연주
2) 월주
3) 일주
4) 시주
2. 대운을 정하는 법
1) 대운 수 산출 법
2) 대운의 작용력과 활용법
3. 사주 작성 예문
4. 사주팔자四柱八字의 명칭과 궁宮의 해석
Ⅶ. 합과 충
1. 합·충·형·파·해를 논함
1) 합을 논함
2) 천간의 합이불합
2. 지지의 육합
3. 삼합과 그 외의 합
1) 삼합의 작용
2) 암합
3) 자화간합
4) 쌍합
5) 천지합덕
4. 방국
5. 충
1) 寅·申·巳·亥 생지의 충
2) 子·午·卯·酉 왕지의 충
3) 辰·戌·丑·未 묘지의 충
6. 형·파·해를 논함
1) 형
2) 파
3) 해
Ⅷ. 육신六神
1. 육신이란?
1) 육신의 표출법
2. 길신과 흉신
1) 정과 편의 의미
2) 육신의 생화극제
3. 십성의 글자와 의미
Ⅸ. 육신의 활용
1. 육신의 궁성과 통근
2. 육신의 작용(비겁/식상/재성/관성/인성)
3. 태과한 육신의 특성
4. 없는 육신의 특성
5. 궁성에 따른 육신의 특성
2부
Ⅰ. 용신用神
1. 용신
1-1. 억부용신
1) 오행의 팔괘휴왕설
2) 통근의 왕쇠강약
3) 일간의 신강 신약을 정하는 원칙
4) 신약한 경우
5) 태왕한 경우
1-2. 조후용신
2. 격국
1) 격국의 의미
2) 격을 정하는 법
3) 순용順用과 역용逆用
4) 성패成敗와 구응救應
5) 격국格局의 종류와 성패成敗
6) 격국의 변화
7) 격국의 고저高低
8) 격국의 용어와 활용
Ⅱ. 12운성運星
1. 12운성
2. 12운성과 火·土의 관계
3. 12운성의 세론
Ⅲ. 육십갑자 납음오행과 공망空亡
1. 육십갑자六十甲子의 구성 원리
1) 육십갑자와 납음오행納音五行
2) 생수生數·장수壯數·노수老數
3) 납음수에 노수老數를 쓰는 이유
4) 납음수의 의미
5) 천간과 지지의 납음수納音數
6) 납음오행의 원리
7) 납음오행가納音五行歌
2. 공망空亡
Ⅳ. 12운성과 삼재
1. 12운성과 삼재三災
Ⅴ. 12신살神殺
1. 신살神殺
1) 신살의 의의
2) 12신살 산출법
(01) 겁살
(02) 재살
(03) 천살
(04) 지살
(05) 연살
(06) 월살
(07) 망신살
(08) 장성살
(09) 반안살
(10) 역마살
(11) 육해살
(12) 화개살
Ⅵ. 사주 전체로 본 신살의 작용
1. 사주 전체로 본 신살
Ⅶ. 12운성과 삼합 -12신살 활용-
1. 삼합三合의 12운성과 12신살
Ⅷ. 사주 통변
1. 사주를 통변通辯하는 순서
2. 실전통변 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