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97847707
· 쪽수 : 482쪽
· 출판일 : 2022-04-15
책 소개
목차
제1부 간지론 | 21
제1장 십간(十干)과 십이지지(十二地支)를 논함 | 23
제2장 『적천수(滴天髓)』의 천간론(天干論)을 논함(附論) | 48
제3장 음양(陰陽)과 생극(生剋)을 논함 | 55
제4장 四時 五行의 희기(喜忌)를 논함(附論) | 68
1. 木의 희기 | 68
2. 火의 희기 | 76
3. 土의 희기 | 83
4. 金의 희기 | 90
5. 水의 희기 | 97
제5장 오행생극제화(五行生剋制化)의 희기(喜忌)를 논함(附論) | 103
제6장 음간과 양간의 생왕사절(生旺死絶)을 논함 | 107
제7장 12月令의 인원사령(人元司令)을 논함 | 118
제8장 십간(十干)의 합(合)을 논함 | 121
제9장 천간(天干)의 합이불합(合而不合)을 논함 | 131
제10장 십천간이 득시(得時)해도 왕하지 않고 실시(失時)해도 약하지 않음을 논함 | 139
제11장 형충회합(刑沖會合)의 해법 | 146
제2부 용신과 상신론 | 157
제12장 용신(用神)을 논함 | 159
제13장 성패(成敗)와 구응(救應)을 논함 | 178
제14장 용신(用神)의 변화(變化)를 논함 | 208
제15장 용신(用神)의 순잡(純雜)을 논함 | 217
제16장 용신(用神)의 고저(高低)를 논함 | 221
제17장 성격(成格)이 패격(敗格)이 됨과 패격이 성격이 됨을 논함 | 230
제18장 용신(用神)의 기후배합(氣候配合)과 그 득실(得失)을 논함 | 234
제19장 상신(相神)의 중요성을 논함 | 241
제20장 잡기(雜氣)의 취용(取用)을 논함 | 247
제21장 묘고(墓庫)의 형충(刑沖)에 대하여 논함 | 257
제22장 사길신(四吉神)이 파격(破格)이 됨을 논함 | 264
제23장 사흉신(四凶神)이 성격(成格)이 됨을 논함 | 267
제24장 생극의 선후(先後)에 따라 길흉(吉凶)이 달라짐을 논함 | 270
제25장 성진(星辰)은 격국(格局)과 무관함을 논함 | 279
제26장 외격(外格)의 쓰임을 논함 | 286
제27장 궁(宮)의 용신(用神)과 육친(六親)의 배합을 논함 | 289
제28장 처자(妻子)를 논함 | 293
제29장 행운(行運)을 논함 | 302
제30장 행운(行運)의 성격(成格)과 변격(變格)을 논함 | 312
제31장 희기(喜忌)는 천간과 지지가 다름을 논함 | 318
제32장 지지(地支)의 희기신(喜忌神)이 운을 만나 작용함을 논함 | 321
제33장 잡격(雜格)에 얽매임을 논함 | 326
제34장 와전(訛傳)된 학설에 대해 논함 | 332
제3부 격국과 행운론 | 337
제35장 정관격(正官格)을 논함 | 339
제36장 정관격(正官格)의 운을 논함 | 346
제37장 재격(財格)을 논함 | 351
제38장 재격(財格)의 운을 논함 | 363
제39장 인수격(印綬格)을 논함 | 367
제40장 인수격(印綬格)의 운을 논함 | 378
제41장 식신격(食神格)을 논함 | 381
제42장 식신격(食神格)의 운을 논함 | 389
제43장 편관격(偏官格)을 논함 | 392
제44장 편관격(偏官格)의 운을 논함 | 401
제45장 상관격(傷官格)을 논함 | 405
제46장 상관격(傷官格)의 운을 논함 | 417
제47장 양인격(陽刃格)을 논함 | 420
제48장 양인격(陽刃格)의 운을 논함 | 429
제49장 건록 월겁격(建祿 月劫格)을 논함 | 431
제50장 건록 월겁격(建祿, 月劫格)의 운을 논함 | 442
제51장 잡격(雜格)을 논함 | 446
제52장 잡격(雜格)의 운을 논함(附論) | 464
1. 곡직인수격(曲直仁壽格) | 465
2. 화기격(化氣格) | 467
3. 도충격(倒沖格) or 종왕격(從旺格) | 468
4. 조양격(朝陽格) or 금수상관격(金水傷官格) | 471
5. 합록격(合祿格) or 토금식신격(土金食神格) | 472
6. 종재격(從財格) | 474
7. 종살격(從殺格) | 474
8. 정란차격(井欄叉格) | 475
9. 요합격(遙合格) | 476
10. 형합격(刑合格) or 종아격(從兒格) | 477
11. 자요사록격(子遙巳祿格) or 편재격(偏財格) | 478
∎그림 도표
<표1> 사상(四象)과 팔괘(八卦) | 25
<표2> 용마하도(龍馬河圖) | 26
<표3> 생수(生數)와 성수(成數) | 28
<표4> 천간과 지지의 음양 | 30
<표5> 지장간 인원용사(人元用事) | 36
<표6> 지장간 월률분야(月律分野) | 36
<표7> 계통별 사령(司令) 날짜 | 37
<표8> 한난조습(寒暖燥濕)과 당령(當令) | 37
<표9> 절기와 팔품(八稟) | 38
<표10> 24절기와 괘기설(卦氣說) | 41
<표11> 신구낙서(神龜洛書) | 51
<표12> 신구낙서 방위도 | 51
<표13> 오행의 상생상극 | 57
<표14> 육신(六神)의 키워드 | 67
<표15> 12운성 | 109
<표16> 한난조습(寒暖燥濕)과 십간의 탄생 | 110
<표17> 甲木/시계방향으로 순행 | 111
<표18> 乙木/시계 반대 방향으로 역행 | 112
<표19> 사주(四柱)의 구성 | 209
<표20> 육신(六神)의 자리 | 289
<표21> 육친(六親) 표출법 | 292
<표22> 육친의 관계 |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