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나는 너의 말이고 싶다

나는 너의 말이고 싶다

(현대시학 2020 앤솔로지)

전봉건, 정진규 (지은이)
현대시학사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00원 -10% 2,500원
500원
11,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나는 너의 말이고 싶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나는 너의 말이고 싶다 (현대시학 2020 앤솔로지)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86557600
· 쪽수 : 231쪽
· 출판일 : 2020-02-25

목차

인사말

역대주간 특집


전봉건 정진규 이재무 홍일표 고형렬

1부
강경호 강서완 강 수 금보성 김관용
김금용 김 루 김 생 김서나 김영재
김영찬 김영호 김유림 김은정 김인숙
김종해 김지은 김지헌 김찬옥 김추인
김현지 김혜천 김후란 문효치 박미산

2부
박소유 박소향 박수빈 박수현 박수화
박용진 박형권 박형준 백 현 설태수
손순미 손현숙 송찬호 신미균 신병은
신수현 신지혜 신진향 심은섭 심종록
안소랑 엄재국 오민석 오세영

3부
오탁번 오현정 우정연 유안진 유재영
유현숙 윤의섭 이 강 이건청 이경철
이규리 이나명 이덕규 이만주 이미산
이성렬 이순현 이우걸 이은춘 이인원
이화영 임호상 장석남 장영님 전남용

4부
전순영 전형철 정계원 정민나 정시마
정영선 정우림 정재분 조말선 조삼현
조영민 조윤희 조창환 진 란 최금녀
최도선 최문자 한영숙 한이나 한정원
한혜영 허진석 허형만 홍사성 홍영철
황정산

시인약력

저자소개

전봉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8년 평안남도 안주군 동면 명확리에서 부친 전형순과 모친 최성준의 일곱 자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시인 전봉래(全鳳來)의 동생이자 음악가 전봉초(全鳳楚)의 종제(從弟)다. 어린 시절부터 내성적이었기에 혼자 소년 소녀 서적 등을 탐독하는 일이 많았고, 독서 취미에 빠져 입학시험에 낙방하기까지 했다고 한다. 1945년에 평양 숭인학교를 졸업하고 전봉래를 통해 문학 세계에 발을 디뎠으며, 집중해서 시를 쓰기 시작한 때는 어린 시절 아파서 학교를 쉬던 시절부터였다고 한다. 1946년에 삼팔선을 넘어 월남했고, 1950년에 ≪문예≫지에 서정주와 김영랑이 그의 <원>, <사월>, <축도>를 추천했다. 그해 생활고 때문에 경기도 지역의 갈매국민학교에서 준교사를 하다가 6·25전쟁 때 징집됐다. 1951년 군위생병으로 근무하던 중 중공군의 진격 때문에 중동부 전선에서 부상을 입었고, 제대 후엔 대구 피난민 수용소에서 지냈다. 이 시기 김종삼, 이철범, 최계락 등과 교유했다. 1953년 이후 서울로 와서 ‘희망사’에 취직해 출판업에 손을 댔고, 1964년엔 월간 ≪문학춘추≫의 편집 일을 했으며, 1969년엔 월간 ≪현대시학≫을 창간해 주간을 맡기도 했다. 1957년 김광림, 김종삼 등과 공동 시집 ≪전쟁과 음악과 희망과≫(자유세계사)를 간행했고, 1959년에 시집 ≪사랑을 위한 되풀이≫(춘조사)로 제3회 한국시인협회상을 받았다. 1961년엔 시론집 ≪시를 찾아서≫(청운출판사)를 냈으며, 1969년엔 장시집 ≪춘향연가≫(성문각)를 냈다. 1979년엔 시집 ≪피리≫(문학예술사)를 통해 대한민국문학상을 받았다. 1980년엔 시선집 ≪꿈속의 뼈≫(근역서제)를 냈고, 그해 대한민국문학상을 수상했다. 이후 1982년엔 시집 ≪북의 고향≫(명지상)을 냈다. 1983년에 시선집 ≪새들에게≫(고려원)를, 1984년에 시집 ≪돌≫(현대문학사)을 냈고, 이해 대한민국문화예술상을 수상했다. 1985년에 시선집 ≪전봉건 시선≫(탐구당)과 장시집인 ≪사랑을 위한 되풀이≫(혜진서관)를 냈다. 1986년엔 시화집 ≪트럼펫 천사≫(어문각)와 수필집 ≪플루트와 갈매기≫(어문각)를, 1987년엔 시선집 ≪아지랭이 그리고 아픔≫(혜원출판사) 및 ≪기다리기≫(문학사상사)를, 그리고 수필집 ≪뱃길 끊긴 나루에서≫(고려원)를 냈다. 1988년 6월 13일을 일기로 작고했다.
펼치기
정진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9년 경기도 안성 출생·안성농업고등학교 졸업 후(1958) ·고려대학교 문리과 대학 국문학과 입학 졸업(1964) · 196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시 '나팔 抒情')·1963년부터 현재까지 <현대시(現代詩)> 동인으로 활동 ·1988년부터 2013년 12월까지 시전문 월간지 <현대시학(現代詩學)> 주간 ·1998년부터 2000년까지 한국시인협회 회장 역임 ·한국시인협회상, 현대시학작품상, 월탄문학상, 공초문학상,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 불교문학상, 이상시문학상, 만해대상, 김삿갓문학상, 혜산 박두진 문학상 등 수상· ·시집-시선집 : <마른 수수깡의 平和>(모음사, 1965) <有限의 빗장>(예술세계사, 1971) <들판의 비인 집이로다>(교학사, 1977) <매달려있음의 세상>(문학예술사, 1979) <비어있음의 충만을 위하여>(민족문학사, 1983) <연필로 쓰기>(영언문화사, 1984) <뼈에 대하여>(정음사, 1986) <따뜻한 상징>(나남, 1987)(문학선) <옹이에 대하여>(문학사상사, 1989)(자선시집) <별들의 바탕은 어둠이 마땅하다>(문학세계사, 1990) <말씀의 춤을 위하여>(미래사, 1991)(선집) <몸詩>(세계사, 1994) <알詩>(세계사, 1997) <도둑이 다녀가셨다>(세계사, 2000) 絅山詩書 <한국현대시 100인의 시>(현대시학, 2002· 10· 14) <本色>(천년의 시작, 2004) <껍질>(세계사, 2007) <정진규 시선집>(책만드는집, 2007· 2· 1) 출간 <우리나라엔 풀밭이 많다>(시월, 2008) <공기는 내 사랑>(책만드는집, 2009) <律呂集ㆍ사물들의 큰언니>(책만드는집, 2011) 육필시집 『淸洌集』(지식을만드는지식, 2012) 한국대표명시선100 『밥을 멕이다』(시인생각, 2012) 『무작정』(詩로 여는 세상 2014) 『우주 한 분이 하얗게 걸리셨어요』(문예중앙 2015) ·독일어 번역 시집 : <말씀의 춤(Tanz der Worte)>(독일 프랑크푸르트 아벨라 사에서 출간, 100편 수록, 2005· 12·) ·시론집 : <한국현대시산고>(민족문화사, 1983), 이상화 평전 <마돈나 언젠들 안 갈 수 있으랴>(1981), <질문과 과녁>(동학사, 2003), <本色>(동학사, 2013), 향깃한 차가움(고려대학교 출판부, 2014)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