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76418487
· 쪽수 : 230쪽
· 출판일 : 2014-06-05
책 소개
목차
제1부 정진규의 육필시 읽기
새들은 왜 발 아래 허공벼랑을 두는가
제주 은갈치
달 항아리
늦가을
범종의 젖꼭지
어성초에게
山菊
새벽 감옥
이 여름이 나는 자꾸 미안타
뻐꾹채 꽃키
죽음 詩人 吳圭原에게
별무덤
尋劍堂에서
봄, 석남사에서
안목에서
벼랑
寶城 大原寺 갔다
새는 게 上策이다
제2부 시가 있는 아침
제1일 이수익 〈이제는〉
제2일 김민부 〈가을은〉
제3일 김지하 〈花開〉
제4일 조창환 〈이슬〉
제5일 김춘수 〈밤이슬〉
제6일 오규원 〈한 잎의 여자2〉
제7일 김종해 〈풀〉
제8일 유홍준 〈상가喪家에 모인 구두들〉
제9일 이하李賀 〈가을이 오다〉
제10일 정현종 〈수평선〉
제11일 나태주 〈하오의 한 시간〉
제12일 송재학 〈흰뺨검둥오리〉
제13일 오탁번 〈죽음에 관하여〉
제14일 상희구 〈발해기행 20겨울 요하에서〉
제15일 최종천 〈상징은 배고프다〉
제16일 조정권 〈약리도躍鯉圖〉
제17일 김춘추 〈심인尋人〉
제18일 조말선 〈정오〉
제19일 김종삼 〈장편掌篇 2〉
제20일 문정희 〈키 큰 남자를 보면〉
제21일 고은 〈순간의 꽃〉
제22일 이건청 〈하이에나목마름에 대하여〉
제23일 이근배 〈절필絶筆〉
제24일 박경자 〈형상기억합금〉
제25일 한영옥 〈10월의 눈물〉
제26일 최동호 〈생선 굽는 가을달마는 왜 동쪽으로 왔는가〉
제27일 이재무 〈감나무〉
제28일 이수명 〈장미 한 다발〉
제29일 강은교 〈낙엽 몇이너무 짧은 사랑 이미지〉
제30일 이태선 〈빈집으로 보내는 가을 편지〉
제31일 마종기 〈온유溫柔에 대하여〉
제32일 함민복 〈딱딱하게 발기만 하는 문명에게〉
제33일 유재영 〈소리〉
제34일 김언희 〈트렁크〉
제35일 오시영 〈햇빛〉
제36일 이승훈 〈우산〉
제37일 문인수 〈폐가의 배꼽〉
제38일 고정희 〈가을 편지〉
제39일 오태환 〈천마산 물소리〉
제40일 이성선 〈도피안사到被岸寺〉
제41일 이진수 〈대나무 3〉
제42일 고두현 〈물미해안에서 보내는 편지〉
제43일 박목월 〈불국사佛國寺〉
제44일 장석주 〈혼자 산다는 것〉
제45일 김광규 〈어린 게의 죽음〉
제46일 박성우 〈초승달〉
제47일 신지혜 〈내가 그린 달〉
제48일 박재삼 〈한恨〉
제49일 우대식 〈눈(眼)〉
제50일 김규성 〈기억〉
제51일 엄재국 〈절정〉
제3부 노래는 참말이다
노래는 참말이다
시를 위하여1
시를 위하여2
시를 위하여3
시를 위하여4이우환의 에세이 읽기
시를 위하여5
시를 위하여6
시를 위하여7
시를 위하여8감옥
시를 위하여9소리를 모으는 손, 듣는 손
시를 위하여10신성한 봉인封印
시를 위하여11아, 아득했던 1992년 여름을 나의 몸은 다음 두 편의 시로 마감했습니다
시를 위하여12녹두따기와 고봉밥
시를 위하여13광합성光合成
시를 위하여14시의 달마농법達磨農法
시를 위하여15가을 읽기
시를 위하여16가장 민족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시를 위하여17당신들을 그리면서
시를 위하여18산시刪詩
시를 위하여19산문과 산문시
시를 위하여20윤무부 새박사와 크라운 빵
시를 위하여21
시를 위하여22한 편의 시가 쓰여지기까지
시를 위하여23우리들 초록빛 개칠의 희망아
시를 위하여24시의 본질과 동시의 세계
시를 위하여25시행詩行의 분절分節에 대하여
시를 위하여26시는 몸이다
시를 위하여27내가 사람으로서
시를 위하여28네 개의 짧은 시론詩論
시를 위하여29
향깃한 차가움
자단목紫檀木 이야기시詩와 연기緣起체험
대여大餘 김춘수 선생 가시는 길에조시弔詩
오늘 우리 모두는 비로소 꽃이 되어조사弔辭
광복 50년과 우리 현대시의 ‘입말’, ‘글말’
제14회 만해대상 수상소감
‘눈에 밟히다’와 ‘당길心’제2회 이상시문학상 수상소감
시詩의 비극성悲劇性과 황홀성恍惚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