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관자재보살

관자재보살

이상현 (지은이)
도서출판 삼화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150원
15,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관자재보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관자재보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86637197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1-12-18

책 소개

관자재보살의 관(觀)의 대상이 되는 자재(自在)의 존재(存在)라는 것이 불교에서만 통용될 수 있는 용어가 아니라 동서양을 막론하고 관념론적인 철학을 시도한 분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한 대상이라는 점이다. 결국 진리에는 동서양의 구별이 없음을 깨달았다.

목차

책머리에 _4

제1편 동양의 관자재보살들
- 동양 철학사에서 관자재보살을 찾아본다

•들어가는 말 _12
•관자재보살 _21
•석가모니는 관자재보살이었다 _25
•관자재보살을 향한 나의 수행목표 _28
•여성 불자들을 보살님이라 하는데? _30
•진정한 보살이란? _36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분리 _39
•중국과 한국, 일본의 대승불교 _53
•한국 불교 속 소승불교의 색채 _60
•무소유와 니르바나 _71
•기수련이 열반으로 가는 길 _77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에 대한 종합적 이해 _82
•석가모니 외의 관자재보살 _89
•나가는 말 _93

제2편 서양의 관자재보살들
- 서양 철학사에서 관자재보살을 찾아본다

•들어가는 말 _102
•그리스의 부처 헤라클레이토스 _107
•관자재보살 소크라테스 _129
•소크라테스와 헬레니즘 _149
•소크라테스의 후계자는 디오게네스다 _151
•스토아철학과 관자재보살 _154
•네오플라토니즘과 관자재보살 _161
•기독교의 문제점들 _168
•데카르트도 관자재보살 _179
•스피노자도 관자재보살 _199
•칸트와 헤겔 철학에서의 관자재보살 _214
•쇼팽하우어도 관자재보살 _223
•나가는 말 _226

저자소개

이상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종대학교 명예교수 이상현(아호 玄谷)은 1940년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에서 태어났다. 서울중고등학교 재학 당시, 학교 담을 넘어 YMCA에서 만나던 유영모 선생과 함석헌 선생의 영향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학과에 진학하였다. 4·19 때 교수단 데모를 실제로 이끈 우관 이정규 성균관대학교 총장의 조언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역사철학을 연구, 1966년에 <베네데토 크로체의 역사사상>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그 후 공군사관학교 교관으로 역사학을 강의하다가 1973년 공군대위로 전역한 후, 2년간 시간강사로 떠돌다 1975년 9월에 숭의여자전문대학 교수가 되었다. 이때에 R.G 콜링우드의 《역사학의 이상》을 번역했고, 《자유·투쟁의 역사》를 발표하였다. 1980년 세종대학교 역사학과 교수로 자리를 옮겨 학보사주간, 2부교학처장, 학생처장 등을 역임하면서 《역사철학과 그 역사》를 출간하였고, 김성식 교수의 권유와 지도로 경희대학교에서 <신이상주의 역사사상>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6년 보직을 사퇴하고 1년간 미국 버클리대학 객원교수로 갔다온 뒤, 15년간 강의와 논문 저술 활동에 열중하여 《지성으로 본 세계사》, 《역사적 상대주의》, 《다시 쓰는 역사, 그 지식의 즐거움》, 《세계적 한국사 38강》, 《종교, 그 벽을 넘어 진리의 세계로》 등을 펴냈으며, 1997년부터는 문필계에 뛰어들어 수필가와 문학비평가로 활동하면서 역사 에세이집 《역사 속 사랑이야기》, 수필집 《아버진 홍은동 이발쟁이었다》, 회고록 《고백》을 발표하였다. 한국사학사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세종대학교 명예교수와 한국사학사학회 명예회장으로 있으며, 명상을 통한 수행의 결과로 《관자재보살들》을 집필・출간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 저자 서문

이 책은 원래 저자가 30여 년을 두고 명상수행을 진행해오면서 간간이 솟아오른 명상들을 적은 일종의 명상록이었다.
명상 생활이 한창 진행되던 시기에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을 접하게 되었고, 거기서 관자재보살이라는 이름에 마음이 꽂혀서 깊이 생각하다가 문득 그 이름이 석가모니와 그의 제자들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에 이르렀다. 석가모니가 성불(成佛)하기 이전 수행할 때의 명칭이며, 그가 성불하여 제자들이 따르자 그들을 일러 부른 명칭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생각이 들자, 나도 석가모니의 제자인 관자재보살이 되고 싶다는 욕망(?)이 들어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을 되뇌고 되뇌다 보니, 이에 심취되어 명상이 더욱 깊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많은 어귀(語句)들이 뇌리에 떠올라 적어 놓은 것들이 쌓인 것이다.
그런데 평생을 학문에 몸을 담고 있으면서, 역사학과 역사철학을 공부한 학자로서, 또 교수라는 직업인으로서, 살아온 근기(根氣)가 있어서 단편적일 수밖에 없는 어록들에 문답의 형식으로 설명을 붙여 독자들에게 드리는 설법(說法)이 아닌가 하는 평가를 받는 우(愚)를 범하게 되었다.
한편으로 생각해 보면, 나의 이러한 근기가 관자재보살이라는 용어를 폭넓게 이해함에 있어서 큰 도움이 되었다. 관자재보살의 관(觀)의 대상이 되는 자재(自在)의 존재(存在)라는 것이 불교에서만 통용될 수 있는 용어가 아니라 동서양을 막론하고 관념론적인 철학을 시도한 분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한 대상이라는 점이다.
실례를 들면, 동양에서는 석가모니 이외에 노자(老子)가 이를 도(道)라 하였고, 공자(孔子)는 극(極)이라 하였다. 그리고 서양에서는 헤라클레이토스가 생각한 로고스(Logos)를 기독교의 사도 요한이 이어받았고, 근대 서양철학에서는 칸트가 물자체(物自體, Ding an sich)라 했다는 것이다. 나는 명상 중에 이 같은 생각들이 떠오르자, 결국 진리에는 동서양의 구별이 없음을 깨달았다. 해서 이 책에서는 제1편을 〈동양 사상사에서의 관자재보살들〉, 제2편에서는 〈서양 사상사에서의 관자재보살들〉이라는 제목을 붙여서 나름대로 깊다면 매우 깊은 사유와 고찰을 시도해 보았다.
이러한 고찰, 특히 관자재보살이라는 불교적인 용어를 가지고 동서양의 사상가들의 사상을 섭렵해 본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나의 지식세계가 제한되어서인지는 모르겠으나, 아직 나로서는 이와 유사한 연구서를 접해 본 적이 없다. 그러나 나는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의 관자재보살의 참된 의미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도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였기 때문에 만용(蠻勇)을 부린 것이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필자가 평생 서양 사상사를 전공하며 살아온 한국인이라는 점일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필자에게도 어려운 일이었지만, 무엇보다도 독자들이 이해하여 주실까 하는 의구심이 더욱 컸다. 해서 가급적이면 자세한 설명을 해 보려고 나름 노력하였다. 그러다 보니 먼저 펴낸 책들이나 또 이 책에서도 앞부분에서 이미 언급된 사례들이나 어귀들이 반복되는 결함을 또한 보이게 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반복되는 사례들이나 어귀들은 반복해서 말하고 싶을 만큼 저자에게 중요한 것들이다. 독자들은 이러한 저자의 마음을 받아들이는 인내심을 발휘해 주길 바란다. 그렇게 해준다면, 독자들에게 난해하다고 생각될지도 모를 이 책의 내용을 전반적으로, 그리고 보다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3037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