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천변풍경 : 박태원 장편소설

천변풍경 : 박태원 장편소설

박태원 (지은이), 이명랑 (추천)
애플북스
13,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150원 -10% 2,500원
670원
13,9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천변풍경 : 박태원 장편소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천변풍경 : 박태원 장편소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한국소설 > 2000년대 이전 한국소설
· ISBN : 9791186639047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15-07-27

책 소개

한국문학을 권하다 시리즈 30권. 1936년 8월부터 10월, 1937년 1월부터 9월까지 <조광>에 연재된 장편소설로, 박태원의 대표작이자 한국 모더니즘 소설의 정수라 평가받는 작품이다.

목차

시골서 온 아이 창수가
소설가 박태원과 함께 천변을 걷다_ 이명랑

제1절 청계천 빨래터
제2절 이발소의 소년
제3절 시골서 온 아이
제4절 불행한 여인
제5절 경사
제6절 몰락
제7절 민 주사의 우울
제8절 선거와 포목전 주인
제9절 다사多事한 민 주사
제10절 사월 파일
제11절 가엾은 사람들
제12절 소년의 애수
제13절 딱한 사람들
제14절 허실虛實
제15절 어느 날 아침
제16절 방황하는 처녀성
제17절 샘터 문답
제18절 저녁에 찾아온 손님
제19절 어머니
제20절 어느 날의 삽화
제21절 그들의 생활 설계
제22절 종말 없는 비극
제23절 장마 풍경
제24절 창수의 금의환향
제25절 중산모
제26절 불운한 파락호
제27절 여급 하나꼬
제28절 비 갠 날
제29절 행복
제30절 꿈
제31절 희화戱畵
제32절 오십 원
제33절 금순의 생활
제34절 그날의 감격
제35절 그들의 일요일
제36절 구락부의 소년 소녀
제37절 삼인三人
제38절 다정한 아내
제39절 관철동집
제40절 시집살이
제41절 젊은 녀석들
제42절 강 모의 사상
제43절 흉몽
제44절 거리
제45절 민 주사의 감상
제46절 근화 식당
제47절 영이의 비애
제48절 평화
제49절 손 주사와 그의 딸
제50절 천변 풍경

박태원 연보

저자소개

박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0년 1월 17일(음력 1909년 12월 7일) 서울 수중박골(지금의 종로구 수송동)에서 태어났다. 어렸을 적의 이름은 점성(點星)이었는데, 등의 한쪽에 커다란 점이 있어 붙은 이름이다. 필명으로 몽보(夢甫), 구보(丘甫) 등을 썼다. 1922년에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제일고보에 입학했다. 재학 시절 ≪동명≫ 33호에 작문 <달맞이>가 실린다. 18세에는 ≪조선문단≫에 시 <누님>이 실린다. 이듬해는 경성제일고보를 휴학하고 춘원 이광수에게 개인적으로 문학 지도를 받았다. 1929년에 경성제일고보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법정대학 예과에 입학했으나 곧 중퇴한 뒤 본격적으로 문단에 나왔다. 1933년에는 ‘구인회’에 가입해 이태준, 정지용, 김기림, 이상 등과 함께 활동했다. 해방정국 때 ‘조선문학가동맹’의 요직을 맡았으나 1948년 ‘보도연맹’에 가입해 전향 성명서에 서명했다. 1950년 전쟁이 발발하자 서울에 온 이태준, 안회남, 오장환, 정인택, 이용악 등을 따라 가족을 남겨 두고 월북했다. 당뇨병으로 실명하고 고혈압으로 전신불수가 되는 등 시련을 겪었다. 작품으로 일제 강점기 지식인의 자의식을 모더니즘적인 기법으로 묘사한 중편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1934)을 비롯해 소설집 ≪천변풍경≫(1938), 월북 후 북한에서 집필한 대하 역사 소설 ≪계명산천은 밝아 오느냐≫, ≪갑오 농민 전쟁≫ 등이 있다. 남한에 남겨진 가족 중 맏딸은 1951년 월북했으며, 남은 가족 중 차녀의 막내아들이 영화감독 봉준호다.
펼치기
이명랑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3년 서울 출생. 1998년 장편소설 『꽃을 던지고 싶다』를 출간하며 작품활동 시작. 장편소설 『삼오식당 』 『나의 이복형제들』 『여기는 은하스위트』 『천사의 세레나데』, 창작집 『입술』 『어느 휴양지에서』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오늘도 이발소 창 앞에가 앉아, 재봉이는 의아스러운 눈을 들어, 건너편 천변을 바라보았다. 신수 좋은 포목전 주인은 가장 태연하게 남쪽 천변을 걸어가고 있었던 것이다.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그는 가운데 다방골 안에 자택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그가 종로에 있는 그의 전으로 나가기 위하여, 그 골목을 나와 배다리를 건너는 일 없이, 그대로 남쪽 천변을 걸어, 광교를 지나가더라도 우리는 별로 그것에 괴이한 느낌을 갖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그 노차는, 먼저 다리를 건너, 북쪽 천변으로 하여 광교에 이르는 그것과, 어느 편이 좀 더 멀고 가까운 것이 없는 까닭이다. 그러나 소년의 관찰에 의하면, 그는 일찍이 남쪽 천변을 걷지 않았다. 그러하던 그가, 대체, 무슨 ‘까닭’을 가져, 삼사일 전부터, 그의 이제까지의 관습을 깨트리는 것일까 - 그것이 소년에게는 적지 아니 궁금하였다. 혹 포목전 주인은 남쪽 천변에 무슨 볼일이라도 요사이 가진 것일까?


‘대체, 뭣 땜에들 얘헌테 미처 날뛰는 겔꾸……’ 가만히 보면, 흔히들 하나꼬를 가리켜 순진하니 어떠니 하는 모양이나, 그 말을 들을 때마다 메리는 코웃음밖에 나오는 것이 없다. 딴은, 얼른 보기에, 바로 양반 댁 규수 아씨 모양으로, 기품도 있는 듯하고, 순진도 한 듯은 하다. 그러나 그것은 하나꼬가 뒷구멍으로 어떠한 짓을 하는지를 아무도 모르고 있는 까닭이다. 바로 며칠 전에, 문 닫을 임시하여서야 자리를 일어선 종로 은방 주인과, 그의 뒤를 쫓아 문밖까지 나간 하나꼬와의 사이에, 어떠한 교섭이 있었나 하는 것을 메리만은 다 알고 있었다. 그때에 은방 주인의 손에서 하나꼬의 손으로 옮아간 지전 뭉치는, 메리의 눈어림으로는 분명히 오십 원이나 그보다 적지 않은 금액의 것인 듯싶었다. 대체, 은방 주인은 무엇 때문에 그만한 돈을 이 여자에게 주었느냐 -.


그 감격을, 바로 옆에 서 있는 금순이도 거의 그대로 느꼈다. 이제까지도 기미꼬라는 이를 ‘미더운 이’ ‘장한 이’라고 알아는 왔지만, 그것을 오늘처럼 강렬하게, 또 절실하게 느낀 일이 없다. 그는 새삼스러이, 사람과 사람이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인정’이라는 것, ‘사랑’이라는 것, 그것들이 암만이든지 서로서로의 마음을 아름답게, 또 고맙게 하여줄 수 있는 것임을 깨닫고, 스스로 감동한 나머지에 잠깐 목 너머로 소리 없는 울음을 삼켰다. 그러나 우리 금순이를 좀 더 감동시킬 일이 바로 사 층 아래, 거리 위에서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