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명대 철학사

명대 철학사

(한족, 다시 중국 대륙의 주인이 되다)

장쉬예즈 (지은이), 김승일, 김창희 (옮긴이)
경지출판사
37,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명대 철학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명대 철학사 (한족, 다시 중국 대륙의 주인이 되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86819333
· 쪽수 : 952쪽
· 출판일 : 2016-11-07

책 소개

철학자, 특히 중국의 철학자와 현실 정치는 긴밀히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중국의 사상가들은 관리와 학자의 신분을 다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자신의 정치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통로가 따로 있었다. 그 외에 명나라의 많은 사상가들은 계속 주해를 다는 방식으로 자신의 사상을 표명했다.

목차

제1장 조단(曹端)과 명나라 이학(理學)의 흥기
1. 태극이기(太極理氣)
2. 성(誠)과 성명(性命)
3. 성경(誠敬)과 인

제2장 설선(薛瑄)의 하동지학(河東之學)과 명의 관중(關中)학자
1. 무극(無極)이 태극, 이일분수(理一分殊)
2. 지성(知性)과 복성(復性)
3. 격물(格物)과 거경(居敬)
4. 설선과 명의 관중(關中)학자들

제3장 오여필(吳與弼)의 자치역행(自治力行)과 호거인(胡居仁)의 주경(主敬)
1. 오여필(吳與弼)의 자치역행
2. 호거인의 주경
3. 호거인의 이기심성에 관한 여러 가지 학설
4. 호거인이 불교와 도교에 대한 비평

제4장 진헌장(陳獻章)과 심학(心學)의 시작
1. 자득지학(自得之學)
2. 심(心)과 도구(道俱)의 경지
3. 의리의 융합(義理融液), 조존의 쇄락(操存灑落)
4. 진헌장과 시학(詩學)
5. 진헌장의 제자들

제5장 담약수(湛若水)의 수처체인천리(隨處體認天理) 및 그 학문의 전래
1. 심체물부유(心體物不遺)
2. 수처체인천리(隨處體認天理)
3. 담약수와 왕양명의 변론
4. 담약수의 학문 전래

제6장 왕양명의 양지(良知)
1. 도덕의 부각
2. 심외무리(心外無理)
3. 지행합일(知行合一)
4. “치양지”(致良知)
5. 사구교(四句敎)

제7장 왕용계(王龍溪)의 선천정심(先天正心)과 전덕홍(錢德洪)의 후천성의(後天誠意)
1. 왕용계의 선천정심
2. 적(寂)과 감(感)
3. 전덕홍의 후천성 학문

제8장 황관(黃?)의 “간지(艮止)”와 계본(季本)의 “용척(龍?)”
1. “간지(艮止)”의 뜻
2. 왕양명에 대한 비판
3. 계본(季本)의 “용척(龍?)”

제9장 추수익(鄒守益)의 계구(戒懼)의 종지 및 그 가학(家學)
1. 계구의 종지
2. 양명의 본지(本旨)에서 벗어난 동문들에 대한 비판
3. 추수익의 가학

제10장 구양덕(歐陽德)의 동정(動靜)과 체용합일설(體用合一說)
1. 양지(良知)와 지각(知覺)의 관계
2. 동정합일(動靜合一)
3. 체용합일(體用合一)에 대한 발휘

제11장 섭표(?豹)의 귀적지학(歸寂之學)
1. 적(寂)과 감(感)의 대립
2. 왕문(王門)이 여러 사람들과 벌인 변론
3. 귀적지학(歸寂之學)의 보급

제12장 귀적주정설(歸寂主靜說)에 대한 나홍선(羅洪先)의 전면적인 설명
1. 주정(主靜)의 종지
2. 현성양지(現成良知) 학파에 대한 부정
3. 나홍선이 일생 동안 추구했던 이론의 발전과정 및 강우학파(江右學派)에 대한 초월

제13장 왕시괴(王時槐)의 투성연기설(透性?幾說)
1. 허정(虛靜)과 생생(生生)
2. 투성(透性)
3. 연기(?幾)

제14장 심학(心學)의 종지에 대한 호직(胡直)의 발휘
1. 이(理)는 마음을 떠나지 않고 존신과화(存神過化)한다
2. 물(物)은 마음을 벗어나지 못하고, 찰(察) 외에는 물(物)이 없다

제15장 이재(李材)의 지수(止修)
1. 지(知)와 성(性)
2. 지수의 종지 및 그 내재적인 모순
3. 지수(止修)와 간지(艮止), 귀적(歸寂)
4. 수신(修身)과 치평(治平)

제16장 왕간(王艮) 및 태주학(泰州學)의 창립
1. 양지(良知)는 현성(現成)하고 자재(自在)한다
2. 평민(平民)과 정영(精英)
3. 회남격물(淮南格物)
4. 배움(學)과 낙(樂)
5. 왕간의 제자 가운데 존재하는 다른 경향

제17장 나여방(羅汝芳)의 “적자양심(赤子良心)”
1. 대도(大道)는 오로지 이 몸에 있다
2. 당하(當下)에 적응해야 한다
3. 천명(天明)과 광경(光景)
4. 나여방(羅汝芳)과 왕용계(王龍溪)
5. 신독(愼獨)과 효자(孝慈)

제18장 경정향(耿定向)의 “불용이(不容已)”
1. 진기불용이(?機不容已)
2. 태주학파의 평실(平實)의 종지
3. 배움에는 삼관(三關)이 있다
4. 유교와 불교는 동일하나, 불교는 유교를 활용해야 한다.

제19장 초횡(焦?)의 유(儒), 불(佛), 도(道) 삼학
1. 유가 : 지성(知性)과 복성(復性)
2. 불가 : 유교와 불교는 하나
3. 도가 : 도가로써 유가를 보충하다
4. 예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석

제20장 이지(李贄)의 동심설(童心說)
1. 동심설 : 나의 본 모습으로 돌아가야 한다
2. 개체 원칙의 돌출
3. 본원을 깨끗하고 맑게 하다
4. 이지가 죽은 뒤에 남긴 영향

제21장 나흠순(羅欽順)의 철학사상
1. 이(理)와 기(氣)
2. 심(心)과 성(性)
3. 불교와 심학에 대한 비판
4. 격물론 및 왕양명과의 논쟁

제22장 왕정상(王廷相)의 기론 및 그 실증 경향
1. 태극도체(太極道體)
2. 성론(性論)
3. 수양론(修養論)
4. 불도 및 이학의 여러 학자들에 대한 비판

제23장 오정한(吳廷翰)의 철학사상
1. 기의 혼륜(混淪)이 천지만물의 시초이다
2. 심학에 대한 비판
3. 수양공부론(修養攻夫論)

제24장 진건(陳建)의 《학부통변(學?通辨)》이 주자학에 대한 천양(闡揚)
1. 주희(朱熹)와 육구연(陸九淵)의 조동완이(早同?異)
2. 유교와 불교에 대한 논쟁

제25장 고헌성(高憲成)에 의한 주자학과 양명학의 조화
1. 선천양지(先天良知)와 후천공부(後天功夫)의 병행
2. 무선무악(無善無惡)에 대한 비판
3. 소심(小心) - 경(敬)

제26장 고반룡(高攀龍)의 격물지본(?物知本)
1. 기(氣), 심(心), 성(性), 이(理)
2. 격물(格物)과 지본(知本)
3. 오(悟)와 수(修)
4. 경(敬)과 자연을 따르는 것

제27장 유종주(劉宗周)의 성의(誠意)와 신독(愼獨)
1. 도체(道體)
2. 의(意)와 성의(誠意)
3. 왕양명 및 왕문후학에 대한 비판
4. 심성(心性)과 신독(愼獨)

제28장 심학에 대한 황종희의 종합
1. 이기합일(理氣合一), 심성합일(心性合一)
2. 천지에 가득 찬 것은 모두 마음이다
3. 사구교(四句敎)
4. 본체(本體)와 공부(功夫)
5. 철학사의 방법론
6. 《명이대방록(明夷待訪錄)》에 내포된 정치사상

제29장 진확(陳確)의 철학사상
1. 《대학》에 관한 논쟁
2. 지행(知行)에 관한 논쟁
3. 성선(性腺)에 관한 논쟁
4. 이(理)와 욕(欲)에 대한 논쟁
5. 상장(喪葬)의 예(禮)에 대한 논쟁

제30장 방이지(方以智)의 철학사상
1. 학술연원
2. 질측(質測)과 통기(通幾)
3. 기(氣)와 화(火), 태극과 마음(心)
4. 일(一)과 이(二)와 삼(三)
5. 삼교(三敎)의 통합과 삼제(三諦)에 대한 번복

제31장 왕부지(王夫之)의 철학사상
1. 태극 : 체용(?用)은 함께 있으며, 실제로 서로에게 필요하다
2. 천지의 화(和)와 일신의 화(化)
3. 심(心)과 성(性)
4. 지식론
5. 역사관
6. 치학(治學)방법론

제32장 사대 고승을 통해 알아본 명나라 불교의 추세
1. 자백진가(紫柏眞可)
2. 운서주굉(雲棲?宏)
3. 감산덕청(?山德?)
4. 우익지욱(藕益智旭)

제33장 명의 도교철학
1. 장우초(張宇初
2. 《성명규지(性命圭旨)》
4. 육서성(陸西星)
4. 삼일교(三一敎)의 회삼귀일(會三歸一)

제34장 명말 중국에 전래된 천주교와 중국문화의 충돌
1. 천주(天主)
2. 영혼
3. 윤리
4. 과학과 사유방법

저자소개

장쉬예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2년 10월에 중국 닝샤(寧夏) 중웨이(中衛)에서 태어났다. 베이징 대학교 철학 학사, 석사 학위를 받았고 일본 도쿄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베이징대학교 철학학부 교수, 박사생 지도 교수를 맡고 있다. 국제유학연합회 학술위원회 주임, 중화공자학회 부회장, 《중국철학사》 부편집장 등을 담당하고 있다. 주요 연구 영역은 중국철학사, 유가철학, 송명이학, 중국현대철학이다. 저서에는 《하린(賀麟)》, 《치문경훈주석(緇門警訓注譯)》, 《심학논집(心學論集)》, 《중학유학사·명대편(明代儒學史·明代卷)》 등이 있다. 공저로는 《중화문명사》, 《중국문화도독(中國文化導讀)》 등이 있다. 주요 역서에는 《라이프니츠와 유학》이 있다. 《중국사회과학》, 《철학연구》, 《베이징대학학보》 등 간행물에 학술논문 100여 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김승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87년 중국대만(정치대학 문학석사)과 1992년 일본(국립규슈대학 문학박사)에서 중국현대사를 전공한 후 귀국해 동아시아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 등으로 활동하는 동안 하와이대학 동서문화센터에서 연수한 바 있다. 2002년부터 국민대 한국학과와 동아대 동북아특수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했고, 2012년부터 ‘동아시아미래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구 성과로는 『한민족과 동아시아세계』, 『[중문] 내 눈 속의 한중관계(我眼中的韓中關係)』, 『[일문] 중국혁명의 기원』등 40종의 저술과 「한중일 삼국의 근대화 좌절과 성공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비교연구」를 비롯해 200여 편의 논문이 있으며, 『모택동선집』등 200여 종의 역서가 있다. 이러한 공로를 중국정부로부터 인정받아 2012년에 ‘중화도서특수공헌상”을 수상했고, 2018년에는 저서『내 눈 속의 한중관계』가 ‘135중국중점출판물출판계획항목’과 ‘2021-2022년도 중국문화수출중점항목’에 선정된 바 있다.
펼치기
김창희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5년 생으로 연변대학을 졸업한 후 현재 연변인민출판사 편집 및 기자로 활동하고 있으며, 번역가로서도 활약 중에 있다. 대표적인 역서로는 『중국법률사상사』 『중국 개방 30년 : 성장, 구조와 체제의 변천』『신교육강연록』 『명대철학사』 『중국 인플레이션의 새로운 시스템 연구』 『중국의 길』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