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Refo 500 성경 해설 2 : 역사서

Refo 500 성경 해설 2 : 역사서

박우택 (지은이)
세움북스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800원 -10% 0원
1,600원
27,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26,22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Refo 500 성경 해설 2 : 역사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Refo 500 성경 해설 2 : 역사서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91187025221
· 쪽수 : 612쪽
· 출판일 : 2017-10-10

책 소개

성경의 핵심 주제인 구속사와 하나님 나라의 관점으로, 성경 저자들이 전달하고자 했던 방법인 문학적 특징과 문맥의 흐름을 따라 이해할 수 있도록 쓴 성경 해설서이다. 개혁 신학의 핵심을 담고 있는 교리 표준인 웨스트민스터 표준 문서에 따라 중요 교리를 설명하고 있다.

목차

저저자 서문·5
추천사(박영호)·10
추천사(신원하)·14
추천사(김성수)·16

역사서는 어떤 책인가?
1. 성경 역사의 기록 특성·33
2. 역사서의 기록 관점·34
3. 역사 기술 방법·36

여호수아
I. 저자 및 기록 배경·44
II. 문학적 구조·45
III. 주제와 기록 목적·47
IV. 내용·49
1. 정복(수 1:1-12:24)50
(1) 여호수아에 대한 권면과 그의 첫 사역(수 1:1-18)·50
(2) 정탐꾼을 보냄(수 2:1-24)·51
(3) 요단강을 건너감(수 3:1-5:1)·52
(4) 할례 의식과 유월절을 지킴(수 5:2-12)·53
(5) 여리고 성의 함락(수 5:13-6:26)·54
(6) 아간의 범죄(수 7:1-16)·56
(7) 아이 성을 점령함(수 8:1-29)·59
(8) 그리심산과 에발산: 세겜 언약 갱신(수 8:30-35)·59
(9) 기브온 주민들과 조약을 맺음(수 9:1-27)·60
(10) 남부 지역과 북부 지역을 점령함(수 10:1-11:15)·62
(11) 정복에 대한 요약과 정복한 땅의 개요(수 11:16-12:24)·67
2. 분배(수 13:1-21:45)68
(1) 남은 땅과 그 땅을 차지하는 방법(수 13:1-7) ·69
(2) 요단 동편 땅의 분배(수 13:8-33)·70
(3) 요단 서편 땅의 분배(수 14:1-5)·70
(4) 갈렙의 요구(수 14:6-15)·71
(5) 유다 지파의 기업(수 15:1-63)·72
(6) 요셉 자손의 기업(수 16:1-17:18)·73
(7) 나머지 지파의 기업(수 18:1-19:48)·75
(8) 도피성: 생명보호를 위한 사회적 안전장치(수 20:1-9)·76
(9) 레위 지파의 기업(수 21:1-42)·77
(10) 분배 이야기 결론(수 21:43-45)·78
3. 약속의 땅에서 복을 누리며 사는 방법(수 22:1-24:33)·79
(1) 요단 동쪽 지파에게 주시는 권면(수 22:1-6) ·79
(2) 요단 동쪽 지파의 제단 사건(수 22:7-34)·80
(3) 여호수아의 권면(수 23:1-16)·81
(4) 세겜 언약(수 24:1-28)·82
(5) 여호수아와 엘르아살의 죽음(수 24:29-33) 85
V. ·87

사사기
I. 저자와 기록 배경·91
II. 문학적 구조·94
III. 주제와 기록 목적·98
IV. 내용·100
1. 서론(삿 1:1-3:6)100
(1) 정치적, 사회적 배경(삿 1:1-2:5)·101
(2) 종교적 배경(삿 2:6-3:6)·102
2. 사사들의 이야기(삿 3:7-16:31)103
(1) 옷니엘(삿 3:7-11)·104
(2) 에훗(삿 3:12-30)·105
(3) 드보라와 바락(삿 4:1-5:31)·107
(4) 기드온(삿 6:1-9:57)·110
(5) 입다(삿 10:6-12:7)·117
(6) 삼손(삿 13:1-16:31)·122
3. 결론(삿 17:1-21:25)130
(1) 종교적 타락상(삿 17:1-18:31)·131
(2) 정치·사회적인 타락상(삿 19:1-21:25)·133
V. ·137

룻기
I. 저자와 기록 배경·142
II. 문학적인 구조·143
III. 주제와 기록 목적·145
IV. 내용·148
1. 서막: 나오미가 모든 것을 잃어버림(룻 1:1-5)148
2. 나오미가 모압에서 돌아옴(룻 1:6-22)149
3. 룻과 보아스가 추수하는 밭에서 만남(룻 2:1-23)151
4. 나오미가 룻을 보아스의 타작마당으로 보냄(룻 3:1-18)153
5. 보아스가 기업을 대신 물어줌(룻 4:1-12)154
6. 결말: 나오미가 회복됨(룻 4:13-22)155
V. ·157

사무엘서
I. 저자와 기록 배경·161
II. 문학적 구조·163
III. 주제와 기록 목적·164
IV. 내용·166
1. 사무엘과 엘리의 이야기(삼상 1:1-7:17)166
(1) 사무엘의 출생 배경과 한나의 기도(삼상 1:1-2:10)·167
(2) 엘리의 아들들과 사무엘의 대조(삼상 2:11-3:21)·170
(3) 여호와의 궤와 관련된 사건들(삼상 4:1-7:1)·173
(4) 에벤에셀(삼상 7:2-14)·178
(5) 사무엘의 사역 요약(삼상 7:15-17)·180
2. 사무엘과 사울의 이야기(삼상 8:1-15:35)180
(1) 사울을 왕으로 세우다(삼상 7:15-12:25)·181
(2) 사울의 실패(삼상 13:1-15:35)·185
3. 사울과 다윗의 이야기(삼상 16:1-31:13)190
(1) 다윗과 사울의 만남(삼상 16:1-17:58)·191
(2) 다윗과 요나단(삼상 18:1-20:42)·195
(3) 도망 다니는 다윗(삼상 21:1-27:12)·197
(4) 블레셋과 싸운 전쟁에서 다윗과 사울(삼상 28:1-31:13)·205
4. 다윗의 이야기(삼하 1:1-24:25)211
(1) 다윗이 온 이스라엘의 왕이 되는 과정(삼하 1:1-5:3)·212
(2) 다윗의 통치 이념(삼하 5:4-8:18)·216
(3) 다윗의 통치가 흔들림(삼하 9:1-20:26)·225
(4) 부록(삼하 21:1-24:25)·239
V. ·247

열왕기서
I. 저자와 기록 배경·251
II. 문학적 구조·256
III. 주제와 기록 목적·258
IV. 내용·260
1. 솔로몬과 통일왕국 시대(왕상 1:1-11:43)261
(1) 솔로몬의 왕위 계승(왕상 1:1-53) ·261
(2) 솔로몬의 왕위가 확립됨(왕상 2:1-46)·264
(3) 솔로몬의 왕정(王政) 정책(왕상 3:1-28)·267
(4) 솔로몬의 정치와 지혜(왕상 4:1-34)·273
(5) 솔로몬과 성전 건축(왕상 5:1-9:28)·276
(6) 솔로몬의 지혜와 국가적인 번영(왕상 10:1-29)·289
(7) 솔로몬이 언약을 배반함과 그 결과(왕상 11:1-43)·291
2. 르호보암/여로보암 시대부터 선지자 엘리야, 엘리사 시대 이전까지의 분열 왕국 시대
(왕상 12:1-16:34)295
(1) 나라의 분열(왕상 12:1-24)·298
(2) 이스라엘 왕 여로보암의 잘못된 종교정책(왕상 12:25-32)·302
(3) 여로보암의 종교정책과 행위에 대한 하나님의 평가(왕상 12:33-14:20)·304
(4) 유다 왕 르호보암, 아비야, 아사의 통치(왕상 14:21-15:24)·308
(5) 이스라엘 왕 나답, 바아사, 엘라, 시므리, 오므리, 아합의 통치(왕상 15:25-16:34)·312
3. 선지자 엘리야, 엘리사 시대(왕상 17:1-왕하 13:25)318
(1) 엘리야와 바알의 갈등(왕상 17:1-18:46)·319
(2) 엘리야의 탈진과 회복(왕상 19:1-21)·325
(3) 아합이 아람과 전쟁함(왕상 20:1-43)·328
(4) 나봇의 포도원 이야기(왕상 21:1-29)·331
(5) 아합의 종말(왕상 22:1-40)·333
(6) 유다 왕 여호사밧의 통치(왕상 22:41-50)·336
(7) 이스라엘 왕 아하시야의 통치(왕상 22:51-왕하 1:18)·337
(8) 엘리사가 엘리야를 계승함(왕하 2:1-25)·340
(9) 엘리사와 이스라엘과 모압의 전쟁(왕하 3:1-27)·343
(10) 엘리사가 행한 기적들(왕하 4:1-6:23)·345
(11) 엘리사와 포위된 사마리아(왕하 6:24-7:20)·351
(12) 수넴 여인의 땅을 회복함(왕하 8:1-6)·354
(13) 엘리사가 아람 왕 하사엘의 압제를 예언함(왕하 8:7-15)·355
(14) 유다의 여호람과 아하시야(왕하 8:16-29)·356
(15) 이스라엘의 예후(왕하 9:1-10:36)·357
(16) 유다의 요아스(왕하 11:1-12:21)·361
(17) 이스라엘의 여호아하스와 요아스(왕하 13:1-25)·364
4. 아마샤/요아스 시대부터 이스라엘의 멸망까지의 367
(1) 유다의 아마샤(왕하 14:1-22)·368
(2) 이스라엘의 여로보암 2세(왕하 14:23-29)·369
(3) 유다의 아사랴(왕하 15:1-7)·370
(4) 이스라엘의 스가랴, 살룸, 므나헴, 브가히야, 베가(왕하 15:8-31)·370
(5) 유다의 요담, 아하스(왕하 15:32-16:20)·371
(6) 이스라엘의 호세아(왕하 17:1-41)·373
5. 히스기야 시대부터 바벨론 포로로 끌려가는 시대(왕하 18:1-25:30)376
(1) 히스기야(왕하 18:1-20:21)·377
(2) 므낫세와 아몬(왕하 21:1-26)·383
(3) 요시야(왕하 22:1-23:30)·385
(4) 여호아하스와 여호야김(왕하 23:31-24:7)·388
(5) 여호야긴(왕하 24:8-17)·391
(6) 시드기야(왕하 24:18-25:21)·393
(7) 결말(왕하 25:22-30)·395
V. ·397

역대기서
I. 저자와 기록 배경·402
II. 문학적 구조·404
III. 주제와 기록 목적·405
IV. 내용·411
1. 아담부터 유다에 정착한 귀환자들까지의 계보(대상 1:1-9:44)411
(1) 아담부터 이스라엘까지의 계보(대상 1:1-2:2)·413
(2) 유다 지파의 계보(대상 2:3-4:23)·414
(3) 시므온 지파의 계보(대상 4:24-43)·417
(4) 요단 동편 지파의 계보(대상 5:1-26)·417
(5) 레위 지파의 계보(대상 6:1-81)·417
(6) 잇사갈, 베냐민, 납달리, 므낫세, 에브라임, 아셀 지파의 계보(대상 7:1-40)·419
(7) 베냐민 지파의 계보(대상 8:1-40)·420
(8) 계보의 결어(대상 9:1a)·420
(9) 예루살렘 거주민의 명단(대상 9:1b-34)·420
(10) 사울의 계보(대상 9:35-44)·421
2. 다윗의 통치(대상 10:1-21:27)421
(1) 사울의 죽음(대상 10:1-14; 참조. 삼상 31:1-13)·422
(2) 온 이스라엘의 왕이 된 다윗과 그의 통치(대상 11:1-12:40)·423
(3) 하나님의 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겨 옴(대상 13:1-16:43) ·425
(4) 다윗에게 주신 여호와의 약속(대상 17:1-27)·431
(5) 다윗이 싸운 전쟁(대상 18:1-20:8)·433
(6) 다윗의 인구조사와 성전 터의 선택(대상 21:1-22:1; 참조. 삼하 24:1-25)·434
(7) 다윗의 성전 건축 준비와 권면(대상 22:2-19)·435
(8) 삽입구: 성전을 섬기는 사람들(대상 23:1-27:34)·437
(9) 성전 건축을 위한 권면(대상 28:1-21)·438
(10) 성전 건축을 위한 헌신과 기도(대상 29:1-22)·439
(11) 솔로몬의 등극과 다윗의 통치 결론(대상 29:23-30)·440
3. 솔로몬의 통치(대하 1:1-9:31)440
(1) 솔로몬의 지혜와 부(대하 1:1-17)·441
(2) 솔로몬이 성전 건축을 준비함(대하 2:1-18; 참조. 왕상 5:1-18; 7:13-14)·443
(3) 솔로몬이 여호와의 성전을 건축함(대하 3:1-5:1)·444
(4) 솔로몬이 여호와의 성전을 봉헌함(대하 5:2-7:22)·446
(5) 솔로몬이 성전과 다른 건축을 완성함(대하 8:1-18; 참조. 왕상 9:10-28)·450
(6) 솔로몬의 지혜와 부, 그리고 죽음(대하 9:1-31)·451
4. 르호보암부터 포로 귀환까지의 역사(대하 10:1-36:23)453
(1) 왕국의 분열(대하 10:1-19; 참조. 왕상 12:1-20)·454
(2) 르호보암의 통치(대하 11:1-12:16)·455
(3) 아비야의 통치(대하 13:1-14:1a; 참조. 왕상 15:1-8)·457
(4) 아사의 통치(대하 14:1b-16:14)·458
(5) 여호사밧의 통치(대하 17:1-21:1a)·461
(6) 여호람의 통치(대하 21:1b-20; 참조. 왕하 8:17-24)·466
(7) 아하시야의 통치(대하 22:1-9; 참조. 왕하 8:25-29; 9:21-28)·467
(8) 아달랴의 통치(대하 22:10-23:21; 참조. 왕하 11:1-16)·468
(9) 요아스의 통치(대하 24:1-27; 참조. 왕하 12:1-16)·469
(10) 아마샤의 통치(대하 25:1-28; 참조. 왕하 14:1-20)·470
(11) 웃시야의 통치(대하 26:1-23)·471
(12) 요담의 통치(대하 27:1-9; 참조. 왕하 15:32-38)·473
(13) 아하스의 통치(대하 28:1-27)·474
(14) 히스기야의 통치(대하 29:1-32:33)·475
(15) 므낫세의 통치(대하 33:1-20; 참조. 왕하 21:1-18)·483
(16) 아몬의 통치(대하 33:21-25)·484
(17) 요시야의 통치(대하 34:1-36:1)·484
(18) 마지막 네 왕들의 통치(대하 36:2-21)·488
(19) 고레스 칙령(대하 36:22-23)·491
V. ·492

에스라-느헤미야
I. 저자와 기록 배경·497
II. 문학적 구조·502
III. 주제와 기록 목적·505
IV. 내용·506
1. 스룹바벨을 중심한 성전 재건(스 1:1-6:22)506
(1) 발단: 바벨론 포로 귀환과 성전 기초를 놓음(스 1:1-3:13)·507
(2) 분규: 대적들의 반대(스 4:1-24)·514
(3) 절정: 학개와 스가랴의 도움과 성전 공사 완공(스 5:1-6:15)·517
(4) 대단원: 성전 기능을 수행함(스 6:16-22)·522
2. 에스라를 중심한 영적 부흥(스 7:1-10:44)524
(1) 에스라와 그의 비전(스 7:1-10)·525
(2) 하나님의 선하신 인도 1: 아닥사스다의 조서(스 7:11-26)·526
(3) 하나님의 선하신 인도 2(스 7:27-8:36)·527
(4) 에스라의 영적 부흥 운동(스 9:1-10:44)·529
3. 느헤미야를 중심한 성벽 재건(느 1:1-7:73)532
(1) 발단: 배경과 느헤미야의 인물과 과업 소개(느 1:1-2:9)·533
(2) 분규: 대적자들의 적대 행위와 느헤미야와 백성들의 대응(느 2:10-6:14)·537
(3) 절정: 성벽 완공(느 6:15-19)·554
(4) 대단원: 성벽 기능 수행을 위한 작업(느 7:1-73)·556
4. 에스라, 느헤미야를 중심한 영적 부흥(느 8:1-10:40)558
(1) 언약 공동체의 영적 부흥 1(느 8:1-18)·559
(2) 언약 공동체의 영적 부흥 2(느 9:1-37)·561
(3) 언약을 견고하게 함(느 9:38-10:39)·563
5. 느헤미야를 중심한 성벽 봉헌(느 11:1-12:43)565
(1)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자들과 기타 명단(느 11:1-12:26)·566
(2) 성벽을 봉헌함(느 12:27-43)·567
6. 계속되어야 할 영적 부흥(느 12:44-13:31)568
(1) 이 사건이 있었던 역사적 시점(느 13:6-7)·568
(2) 느헤미야 12:44-13:31의 문학적 구조·569
(3) 일어난 변화들과 계속되어야 할 영적 부흥(느 12:44-13:31)·571
V. ·573

에스더
I. 저자와 기록 배경·577
II. 문학적 구조·579
III. 주제와 기록 목적·582
IV. 내용·584
1. 발단: 와스디가 폐위되고 에스더가 왕후가 됨(에 1:1-2:23)584
(1) 와스디의 왕후 폐위(에 1:1-22)·585
(2) 에스더가 왕후가 됨(에 2:1-18)·585
(3) 모르드개가 왕의 암살을 피하게 함(에 2:19-23)·587
2. 분규: 모르드개와 하만의 갈등(에 3:1-6:14)587
(1) 하만이 모든 유다인을 죽일 음모를 꾸밈(에 3:1-15)·588
(2) 회개와 에스더의 결단(에 4:1-17)·590
(3) 에스더가 왕과 하만을 잔치에 청함(에 5:1-8)·591
(4) 하만이 모르드개를 죽일 나무를 세움(에 5:9-14)·592
(5) 왕이 모르드개를 높임(에 6:1-14)·592
3. 절정: 하만의 죽음과 방어를 위한 조서가 선포됨(에 7:1-9:16)594
(1) 하만이 나무에 달림(에 7:1-10)·594
(2) 유다 사람들이 스스로 방어할 수 있는 왕의 조서가 반포됨(에 8:1-17)·595
(3) 유다 사람들이 대적들을 진멸함(에 9:1-16)·596
4. 대단원: 유다인들이 잔치를 베풀고 즐김(에 9:17-19)597
5. 부록: 부림절(에 9:20-32)597
(1) 모르드개의 편지(에 9:20-28)·597
(2) 에스더의 편지(에 9:29-32)·598
6. 결말(에 10:1-3)598
V. ·599

참고문헌·601

저자소개

박우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신대학교(B. A.), 고려신학대학원(M. Div.) 그리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Th. M.)와 박사 학위(Th.D.)를 받았다.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한 1988년 3월부터 2020년 8월까지 32년을 개혁주의 신학에 기초하여 기독교 세계관에 입각한 그리스도인 인재를 양성하는 고신대 학교와 고려신학대학원에서 구약학 과목을 가르치다가 2020년 8월에 은퇴하고 지금은 미국의 에반겔리아 대학교 구약학 교수로 섬기고 있다. 저자는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에서 주관한 종교개혁500주년을 기념하는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인 개혁주의 신학에 근거한 성경 해설서를 쓰는 일에 저자로 선정되어 『Refo 500 성경 해설』 시리즈 7권 중에 1-5권인 『모세 오경』(세움북스, 2017), 『역사서』(세움북스, 2017), 『시가서』(세움북스, 2019), 『대선지서』(세움북스, 2020), 『소선지서』(세움북스, 2020)를 집필하여 출간하였고, 남은 6-7권인 “복음서와 사도행전”과 “서신서와 요한계시록”을 집필하고 있다. 이 외의 저서로는 『아브라함의 생애: 약속과 믿음』(한국 교회와 역사연구소, 2009)과 『장년을 위한 킹덤 스토리』(생명의 양식, 2021), 고신 총회 60주년 기념주석인 『열왕기상, 하』(총회출판국, 근간)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