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문화유산
· ISBN : 9791187124306
· 쪽수 : 149쪽
· 출판일 : 2018-02-06
책 소개
목차
01 해자垓字의 문화적 해석과 복원적 의미
16 이론적 배경
19 해자의 정의
24 해자의 문화적 의미와 기능
32 유럽의 해자垓字 문화
43 동양의 해자垓字 문화
63 해자의 문화적 해석
66 해자 문화의 복원적 의미
68 참고문헌
02 풍류風流와 한국의 전통문화공간
71 풍류의 문을 열며
101 고대 문양에 나타난 풍류의 상징성
111 풍류의 시대적 의미의 변천
117 전통 문화공간인 정원에서의 풍류활동
144 풍류와 한국의 전통문화공간을 갈무리하며
147 참고문헌
책속에서
일본의 성은 성 주변에 매우 많은 원의 배치와 다양한 패턴의 해자를 가지고 있어 정교하며 일본의 성은 3가지의 해자를 가지고 있는데 그 중 바깥쪽 해자는 일반적으로 성 이외의 기타 지원 건물을 보호하는데 사용되었다. 일본의 많은 성은 역사적으로 각 각의 도시에 있어 매우 중심적인 부분이 되었다. 해자가 도시에 중요한 수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으며 근대에도 일본 황궁의 해자 시스템에서는 매우 활동적인 행동, 즉 보트놀이, 배낚시, 레스토랑 등 레저시설이 설치되었다. 아시아에서 해자는 금단의 도시 중국 서안과 일본의 교토제국의 궁전에 사용되었으며, 인도와 동남아시아, 그리고 캄보디아 앙코르와트해자 폭은 100m, 태국 치앙마이 등에서도 사용되었다
통일이후의 풍류도는 안정된 사회분위기와 평화의 감정에 도취되어 명산대천에 유오遊娛하여 음풍영월, 유흥기풍, 향락일로의 방향으로 흘러 버리게 되어 풍류도를 신념으로 삼아 국가통일을 위해 용감하게 활동하였던 화랑들은 씩씩한 전사단의 모습대신에 예술을 사랑하고 유희나 일삼는 귀족으로 변모했으며 정치적인 권력투쟁에 뛰어들어 지방관으로 나아가서 지방호족들과 가까이하게 되어 이들의 반란에 적극 대처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러한 세력과 결탁하여 권력다툼에 동조하였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는바 이렇듯 화랑의 풍류도는 통일 이전과 이후 사이에 사회적 변혁기를 거치면서 그 성향의 차이가 생기기 시작하였고 유오산수에 연계되어 있는 무술적 훈련, 도덕적 훈련, 종교적 의례 보다 산수에 대한 심미적 향유의 비중이 커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