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조경학
· ISBN : 9791187124412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8-08-31
책 소개
목차
서문 •6
01 조경수 고사원인과 대책
1. 생리적 피해 •14
2. 병·해충 피해 •24
실무연습문제 •29
02 운영 및 유지관리
1. 조경관리의 구분 및 수립절차 •32
1-1. 조경관리의 구분 •32
1-2. 조경관리계획 시 고려사항 •32
1-3. 조경관리계획 수립 시 작업별 1일당 소요인원 산출 기초자료 •33
1-4. 조경관리계획의 수립절차 •33
1-5. 조경관리의 특성 •33
2. 운영관리 계획 •34
2-1. 운영관리시스템의 구성요소 •34
2-2. 운영관리의 계획 •34
2-3. 운영관리방식 •37
3. 유지관리계획 •40
3-1. 개요 •40
3-2. 유지관리의 목표 •40
3-3. 일반사항 •40
3-4. 점검 및 관리계획 •41
실무연습문제 •42
03 이용자 관리계획
1. 이용관리 •46
1-1. 이용자 관리 •46
1-2. 안전관리 •49
1-3. 주민참가(민·관 파트너십) •52
2. 레크리에이션 관리 •54
2-1. 레크리에이션의 정의 •54
2-2. 관리의 주안점과 관리체계 •54
2-3. 관리원칙과 목표 및 기본전략 •55
2-4. 레크리에이션 부지의 관리 •57
2-5. 레크리에이션 수용능력 •59
실무연습문제 •62
04 조경식재 유지관리
1. 수목의 눈과 가지 •66
1-1. 용어정리 •66
2. 식재유지관리 계획 •69
2-1. 연간 유지관리 계획서 작성 •69
3. 항목별 유지관리 •71
3-1. 정지·전정관리 •71
3-2. 시비관리 •83
3-3. 잡초(제초)관리 •99
3-4. 관수 및 배수관리 •107
3-5. 월동관리 •113
3-6. 병충해 관리 •118
3-7. 잔디관리 •155
3-8. 초화류관리 •175
3-9. 비전염성관리 •182
3-10. 기타관리(멀칭, 지주목, 노거수) •204
실무연습문제 •212
05 조경유지관리 시방서
1. 적용범위 •228
2. 유지관리 •229 2-1. 관수 및 배수 •229 2-2. 제초, 풀깎기 및 시비 •229 2-3. 병충해 방제 •230 2-4. 월동작업 •231 실무연습문제 •233
06 조경시설물 유지관리
1. 시설물 관리개요 •236
1-1. 시설물의 유지관리 원칙 •236
1-2. 관리개요 •237
2. 포장관리 •238
2-1. 토사 포장 •238
2-2. 아스팔트 포장 •239
2-3. 시멘트콘크리트 포장 •241
2-4. 블록 포장 •243
3. 배수관리 •245
3-1. 배수시설의 구조 •245
3-2. 배수시설의 점검 •246
3-3. 배수시설의 보수 •247
4. 편익 및 휴게시설관리 •249
4-1. 벤치 및 야외탁자 •249
4-2. 휴지통 •252
4-3. 음수대 •253
4-4. 표지판 •255
4-5. 유희시설 •258
5. 놀이시설관리 •260
5-1. 놀이시설의 유형 •260
5-2. 놀이시설 관리의 특징 •260
5-3. 놀이시설의 점검과 조사 •261
5-4. 놀이시설의 관리 •261
6. 운동시설관리 •264
6-1. 운동시설의 유형 •264
6-2. 운동시설 관리의 특성 •264
6-3. 운동시설의 관리 •264
7. 옹벽관리 •266
7-1. 옹벽의 유형 및 구조 •266
7-2. 옹벽의 안정조건 •267
7-3. 옹벽의 파손 및 유형 •268
7-4. 옹벽의 보강 수공업 •268
8. 비탈면관리 •270
8-1. 비탈면 보호시설공법 •270
8-2. 비탈면 보수 및 유지관리 •273
9. 급·관수 및 수경시설관리 •275
9-1. 급수시설관리 •275
9-2. 관수시설관리 •276
9-3. 수경시설관리 •277
9-4. 생태연못관리 •281
10. 시설물의 보수사이클 및 정기점검 •283
10-1. 시설물의 내용연수 및 보수사이클 •283
10-2. 시설의 종류별 정기점검 및 보수목표 •284
실무연습문제 •286
문제풀이 및 정답 •292
저자소개
책속에서
조경분야 전문가들이나 기관 시설관리자들이 가장 기초적이고 핵심적인 수목생리를 모른 채 식재공사와 유지관리를 함으로써 잘못된 조치를 하거나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한 채 나 무를 죽게 하고 있다. 나무가 죽게 된 원인을 명확히 진단하고, 이해하고, 개선하여야 생명체 이자 소중한 자산의 가치를 지닌 조경수를 지켜낼 수 있을 것이다.
조경수의 고사원인에는 생리적 피해와 병·해충 피해로 구분되며, 생리적 피해는 병이나 충 해에 비해 판단과 조치가 매우 어려워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연습문제
1 조경의 이용관리에 있어서 이용지도의 목적은?
2 조경의 이용관리에 있어서 이용지도의 형태는?
3 공원이용 관리시 주민참가를 위한 조건은?
4 공원녹지의 보전을 위한 이용지도의 대상이 되는 행위·시설은?
5 공원녹지 내 행사(event) 개최의 필요성 및 효과는?
6 공원 내 안전관리에 있어 사고의 종류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7 안전대책 중 사고처리의 일반적인 순서는?
8 안시타인의 주민참가 과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9 서비스관리의 제한인자는?
10 효과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충족 조건을 쓰시오.
11 공원의 관리에 근린 주거지 내 주민단체가 참가할 경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작업 의 내용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1) 물받이
· 물받이는 수관폭의 1/3 정도 또는 뿌리분 크기보다 약간 넓게 하여 높이 10cm 정도 흙으로 물받이를 만들어서 물을 줄 때 물이 다른 곳으로 흐르지 않도록 한다.
2) 관수
· 관수는 지표면과 엽면관수로 구분하여 실시하되 토양의 건조시나 한발시에는 이식목에 계속 관수하여 수습을 유지하여야 하며 관수는 구름낀 날 외에는 일출일몰시를 원칙으로 한다.
3) 배수
· 식물의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는 장소에는 지표면 배수 또는 심토층 배수 등의 방법을 활용 하여 충분한 배수 작업을 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