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입체적 한중 대중문화

입체적 한중 대중문화

이현민 (지은이)
솔과학
13,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입체적 한중 대중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입체적 한중 대중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91187124313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18-02-06

책 소개

2014년부터 현재까지 한중 양국의 대중문화를 강타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현상을 심도 있고 흥미롭게 다루었다.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 담론이 인상비평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인문학적 연구 방법론을 바탕으로 기술되었다.

목차

· 서문

제 1 장 이슈로 보는 대중문화
12 · 추억 소환의 묘미, 복고
15 · 복고문화의 인기, 대중을 향한 위로의 메시지
18 · 대중 예술의 표현과 예술가의 책임 의식
21· ‘증거중독’과 ‘도덕성’의 관계
24 · 직장인 코드가 각광 받는 이유, 공감과 위로의 웃음을!
27 · 백세시대의 혼자남녀, 범람하던 펫방·집방의 현주소는?
30 · 노벨문학상, 밥 딜런 수상의 의미
33 · 한국형 판타지물의 새로운 성장 가능성
36 · 정치와 예능, 예능과 정치
39 · 문송한 현실 속 인문학의 재발견
42 · 욜로YOLO 열풍, 자기만족과 현실도피 사이
45 · 혁신인가 교란인가 GD의 USB 음반과 넷플렉스
48 · 마녀사냥의 장으로 변질된 개인 SNS
51 · 공중파 파업에도 시청자들이 불편하지 않은 이유

제 2 장 TV 예능으로 보는 대중문화
56 · B급 코드와 욕망의 만남, 문화콘텐츠의 새 트렌드를 열다
59 · Mnet [음악의 신2]와 [쇼미더 머니 5]의 인기가 증명하는 것
62 · 인디음악이 대중문화의 중심에 서는 순간
65 · 이케아 세대를 위한 예능 프로그램? 현실과의 괴리감만...
68 · ‘히트’상품. ‘킬러콘텐츠’인가? ‘킬링콘텐츠’인가?
71 · 냉장고 주인들은 왜 분노받이가 되어야 하나?
75 · 본분 올림픽? 미디어가 부추기는 폭력적인 시선
78 · [꽃청춘 청춘] 착함의 딜레마? 변화 없는 포맷은 외면 받을 수밖에
81 · 시즌제와 스핀오프의 유혹, 시청자들이 견뎌야할 식상함은?
84 · 정치 선동으로 전락한 영화, 대중들은 피곤하다
87 · 가족 관찰 예능은 왜 불편한가?
90 · 김생민의 스투핏에 열광하는 이유

제 3 장 영화로 보는 대중문화
94 · 역사가 남긴 상흔을 안고 살아가다, [5일의 마중], 그리고 [1987]
97 · 최고작품상 [내부자들]은 무엇을 말하고 싶었나
100 · 영화 [라라랜드]가 대한민국에 전해준 메시지
103 · ‘룸’ 보다 더욱 숨막히는 자유, 사랑으로 다시 채울 수 있을까?
106 · [버드맨], 초능력에 투영된 불안한 자아 찾기
109 · [보이후드], 인생 자체가 기-승-전-결
113 · [비긴어게인], 관객이 원하지 않은 결말. 그 이유는?
116 · [위플래쉬Whiplash] , 분노는 당신의 실력을 살찌우게 하리니
119 · [장고-분노의 추적자], 의미작용의 미스커뮤니케이션
122 · [황금시대], 자서전 같은 샤오홍의 삶

제 4 장 디지털시대로 보는 대중문화
126 · 수동적 콘텐츠 소비는 가라! 능동형 대중의 진화
129 · 뉴스, 대중 유혹의 기술이 초래한 악순환
132 · 성숙한 미디어문화를 위한 선행 조건은?
135 · SNS는 논란을 타고 때와 장소를 가릴 줄 아는 미덕
138 · 더 얕고, 더 빠르게?! 그 밑바탕은 역시 실력과 진정성
141 · 자기 자신이 모두 드러나는 세계
144 · 잊혀질 권리? 디지털 시대의 숙명
147 · 창조경제와 4차혁명의 차이?
150 · 자연스러움이 주는 대중적 공감대

제 5 장 한중 문화콘텐츠로 보는 대중문화
154 · 문화 원형, 새로운 문화콘텐츠 시장의 확장
157 · 중국 비즈니스가 연예인들에게 심어 준 환상
160 · 대중국 의존도가 한국 콘텐츠 시장에 미치는 영향
164 · 태양의 후예, 중국에 의한, 중국을 위한 사전제작?
167 · [엽기적인 그녀2]의 실패, 한중공동제작의 책임의식
170 · 중국의 한류 콘텐츠 제재, 한국 콘텐츠 시장의 미래는?
173 · 아이돌 콘서트가 한국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176 · 웹 드라마 시장의 성장과 한중 합작
179 · 콘텐츠 시장의 변화, 한국PD의 중국진출과 사드 직격타
182 · 사드 후폭풍, 우리 문화콘텐츠시장의 대응은?

저자소개

이현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중문화평론가, (주)로앤컬쳐 대표, 한중 콘텐츠 연구자. 중국 북경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문화콘텐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입체적 한중 대중문화》, 《대중문화 이슈로 답하다》(공저), 《플랫폼 전쟁 OTT 스토리텔링 생존공식》(공저)가 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방송 자문 특별위원·권익 보호 특별위원, 한국콘텐츠진흥원 평가위원 등을 역임하고 있고, 다양한 매체에서 방송 비평을 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강의하며 대중문화 분석, 한중관계 연구, 한중 콘텐츠 연구를 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트렌드 코리아 2015’에 따르면, 2015 소비 트렌드어 중 하나로 ‘증거중독’을 선정하였다. 소비자들이 소비를 할 때, 어떤 증거를 보여주지 않으면 소비결정에 확신을 갖지 못하고 무엇도 믿지 않는 현상에서 비롯된 단어이다. 스마트컨슈머도 이러한 증거중독의 의미 확장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증거 중독’은 비단 소비 트렌드에만 국한된 현상은 아니다.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대중문화 현상에서도 우리는 이미 ‘증거중독’에 빠져 있다.


마샬 맥루한은 [미디어의 이해]에서 모든 미디어란 부주의한 사람들에게 기성 개념을 주입해 버리는 힘을 갖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본분 올림픽”의 삐뚤어진 기성 개념을 아무런 여과 없이 받아들이는 것은 판단이 미숙한 어린이와 청소년일 수 있다. 미디어의 접촉은 그만큼 사람들에게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그 효과도 강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책임의식도 갖지 않은 체 웃음을 팔고 있는 방송은 자라나는 학생들을 향해 어두운 마수를 뻗치고 있다.
예능의 끝은 다큐멘터리라고 했던가? 설 연휴 큰 화제를 모은 mbc 의 [미래일기]가 시청자들에게 전해준 메시지는 강력했다. 웃음을 팔기 위한 억지 개그 코드가 아닌 잔잔한 웃음과 감동을 동시에 선사하며 시청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