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성경공부교재 > 청장년
· ISBN : 9791187227984
· 쪽수 : 94쪽
· 출판일 : 2021-03-26
책 소개
목차
제1과 추수의 여덟 가지 법칙 / 5
제2과 성도의 교제의 의미와 방법 / 23
제3과 헌금과 십일조의 성경적인 원칙 / 33
제4과 그리스도인의 직업관 / 47
제5과 성도로서 세상을 대처하는 방법 / 61
제6과 그리스도의 심판석을 준비하라 / 75
저자소개
책속에서
Q. 십일조는 구약 시대에 유대인들이 율법에 따라 바치던 의식이 아닌가요? 신약 교회 시대에 사는 우리가 왜 십일조를 내야 하나요?
십일조의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 “십일조 폐기론”을 주장하는 자들이 있다. 그들은 십일조를 율법 아래에서 지켜 온 규례로만 한정한다. 그런 자들은 구약성경을 아예 쳐다보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신약성경조차 제대로 믿지 않는 자들이다. 하나님께서는 성경을 올바로 나누어 공부하라고 하셨지(딤후 2:15), 믿고 싶은 부분만 골라서 믿으라고 하시지 않았다. 성경에 기록된 모든 말씀은 그리스도인의 영적 생활을 위한 실제적인 지침이요 교훈이다(롬 15:4, 딤후 3:16,17).
1. 십일조의 정의
1) “십일조”(십의 일조)는 하나님께서 한 개인을 번성하게 해 주신 것에서 “십 분의 일”(1/10)을 “번성하게 해 주신 분”(하나님)께 바치는 것이다.
2) 십일조는 “하나님의 것”을 주 하나님께 돌려드리는 것이며(레 27:30, 말 3:8-10), 그렇게 바침으로써 성도 개인의 삶을 주관하시는 하나님의 손길에 대해 주님께 감사를 표명하는 것이다.
3) 십일조로 드리는 금액은 많든지 적든지 간에 정직하고 신실하게 드려야 한다(“아나니아와 삽피라” - 행 5장). “제게 먼저 복을 내려 주시면 십일조를 성실히 내겠습니다.”라고 하는 것은 하나님을 시험하는 것이다.
2. 십일조의 유래 - 십일조가 율법 시대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알아야 한다.
1) “율법 시대 이전”에 아브라함이 살렘 왕 멜키세덱에게 십일조를 바쳤다(창 14:20, 히 7:6).?
살렘 왕 멜키세덱이 빵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왔으니, 그는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이었더라. 그가 아브람을 축복하며 말하기를 “하늘과 땅의 소유주이신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아브람을 복 주시옵소서. 너의 원수들을 네 손에 넘겨주신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을 송축하라.” 하니, 아브람이 모든 것의 십일조를 그에게 드리더라?(창 14:18-20).2) 야곱은 자기 형 에서를 피해 도망하던 중 벧엘에서 하나님께 제단을 쌓았고, 또 서원하면서 “십일조”를 언급했다(창 28:20-22).?땅의 모든 십일조는 그것이 땅의 씨앗이든 나무의 열매이든 주의 것이니, 그것은 주께 거룩한 것이니라?(레 27:30).
3. 구약에서 발견되는 십일조의 의미
1) 율법 이전과 이후를 통틀어서 구약 시대의 십일조는 하나님의 것을 하나님께 돌려드림으로써 “하나님을 향한 의무”를 수행하는 것이었다(창 28:22, 잠 3:9, 말 3:8-10).
2) 모세의 율법 아래에서 바쳐야 할 십일조는 하나님께서 유대인들에게 주신 모든 것의 십 분의 일이었다. 만약 어떤 유대인이 십일조로 하나님께 바쳐야 할 것을 바치지 않는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것을 도둑질하는 것이 된다(말 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