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현대 영국·일본인 역사가들이 본 징비록

근·현대 영국·일본인 역사가들이 본 징비록

(<징비록> 관련 발굴자료집)

이종각 (엮은이)
한스북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9,000원 -5% 0원
800원
18,200원 >
11st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7,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근·현대 영국·일본인 역사가들이 본 징비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현대 영국·일본인 역사가들이 본 징비록 (<징비록> 관련 발굴자료집)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 ISBN : 9791187317074
· 쪽수 : 486쪽
· 출판일 : 2020-09-20

책 소개

서애 류성룡의 임란에 관한 회고록 <징비록>을 19세기말 주일 영국인 외교관이 사상 처음 영어로 번역, 인용한 저술과 일제강점기 일본인 관학자들의 <초본징비록>에 관한 사상 첫 논문 및 해설 등 5편의 <징비록> 관련 국내 미공개 희귀자료를 전문 번역하고, 원문(전문)을 별첨하여 간행한다.

목차

책머리에
일러두기

1장 해제

2장 번역문
1. 히데요시의 조선 침략 [1878-83년]
2. 초본징비록에 대하여 [1927년 3월]
3. <초본징비록> 해설 [1936년]
4. 류성룡가의 임진·정유왜란 사료 [1969년]
5. 역사가로서의 서애 류성룡 (강연수기) [1984년]

3장 원문
1. Hideyosi’s Invasion of Korea [1878-83]
2. 草本懲毖錄に就て [1927年 3月]
3. <草本懲毖錄> 解説 [1936年]
4. 柳成竜家の壬辰·丁酉倭乱史料 [1969年]
5. 歴史家としての西厓·柳成龍 (講演手記) [1984年]

저자소개

이종각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2년 대구 출생 고려대학교 사학과 졸업 도쿄대학교 대학원 졸업(석사) 동아일보 기자, 차장, 부장 일본 주오(中央)대 겸임강사 전 동양대 교양학부 교수(한일관계사) 주요저서; 『일본인과 이순신』 『미야모토 소위, 명성황후를 찌르다』 『일본난학의 개척자 스기타 겐파쿠』 『이토 히로부미』 『자객 고영근의 명성황후 복수기』 『韓?いまどき世相史』 등
펼치기

책속에서

『징비록』, ‘옛 적국’ 일본에서 베스트셀러로 … 류성룡은 ‘명재상’으로 인식돼
『징비록』은 임진왜란이 끝난 지 약 백년 후인 17세기 후반, 조선통신사를 수행한 역관들에 의해 일본에 밀반출되어 교토(京都)에서 원문(한문)에 일본식 훈점(訓點)을 붙여 『조선징비록(朝鮮懲毖錄)』이란 이름의 번역본으로 간행(1695년)되었다. 이후 『징비록』은 현대에 이르기까지 약 3백년간 일본과 일제강점기 서울에서 번역, 영인본 등으로 최소 30여종 이상 발간되는,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가 되었다. 에도시대에 『징비록』은 임진왜란을 다룬 전기, 소설류인 『조선군기물(朝鮮軍記物)』 등에도 그 내용이 빈번히 인용됨으로서 일본의 식자층뿐만 아니라 서민들에게도 널리 알려졌다. 이에 따라 에도시대 중기에는 유학자들의 한시(漢詩)를 비롯하여 대중소설 등에 『징비록』의 이름을 붙이거나 그 내용이 다루어지고, 전통공연에 류성룡이 등장하는 등 일본사회에 ‘징비록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조선징비록』은 19세기말 일본에 체류중이던 중국인 학자에 의해 청나라에 전해지고, 메이지(明治,1868-1912년) 초기에는 주일 영국외교관이 『조선징비록』의 내용을 사상 처음 영어로 번역하여 임진왜란 관련 영문저술에 인용하는 등 『징비록』은 임란을 다룬 문헌으로서는 현재까지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가장 높이 평가되고, 가장 널리 알려진 명저, 고전이 되었다.
참고로 근·현대 일본인 학자 등의 『징비록』에 대한 평가를 들어보자. 에도시대의 유학자로부터 일제강점기를 전후한 근·현대의 일본 역사가들에 이르기까지 ‘임진왜란에 관해 이보다 더 나은 사서(史書)는 없다’고 입을 모으며, 특히 『징비록』이 류성룡의 체험에 바탕한 풍부한 사료를 구사하여, 기술한 점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임진왜란에 관해 이보다 더 나은 사서는 드물 것” … 일본 역사가들 『징비록』 절찬
이처럼 『징비록』이 에도시대 일본에 전해진 이래 수백 년간 꾸준히 읽히면서, 임진왜란에 관한 가장 뛰어난 ‘명저’라는 평가와 함께 저자인 류성룡과 『징비록』에 상당한 분량으로 서술된 이순신의 활약상 등도 일본인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근·현대에 들어와 일본인들로부터 류성룡은 ‘조선의 명재상’, ‘현상(賢相)’, ‘역사가’ 등으로, 이순신은 ‘조선 구국의 영웅’, ‘세계 제일의 해장(海將)’ 등으로 평가받으면서, 특히 이순신은 1980년대 이후에는 일본 각급 학교 교과서, 참고서에도 일제히 소개되는, 아마도 류성룡과 이순신은 꿈에도 생각지 않았을 현상마저 나타났다.
그러나 정작 조선(한국)에서는 『징비록』은 첫 간행(1647-8년)부터 해방(1945년)까지 약 3백 년간 단지 수종(4종 추정)이 발간되는 데 그쳤다. 조선(한국)보다 일본에서 『징비록』이 최저 수배, 최대 열배 가까이 더 간행된 것이다.
『징비록』을 읽고, 앞날에 대비해야 할 조선(한국)보다 뜻밖에도(?) ‘옛 적국’인 일본에서 더 많이 간행되고, 더 많이 읽힌 기현상이 벌어진 것이다. 이 기막힌 아이러니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징비록』이 조선(한국)보다 일본에서 최저 수배, 최대 열배 가까이 더 많이 간행됐다는 사실은 바로 한일양국의 지력(知力), 나아가 국력의 차이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류성룡이 ‘과거의 잘못을 반성하여, 앞날의 환난에 조심해야 한다’고 절규했건만, 대비하지 못한 조선은 결국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1910년)하여 35년간 질곡에서 신음해야 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