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비판정신의학

비판정신의학

(논쟁 그리고 임상적용)

샌드라 스타인가드 (엮은이), 장창현 (옮긴이)
건강미디어협동조합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비판정신의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비판정신의학 (논쟁 그리고 임상적용)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의학
· ISBN : 9791187387176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0-10-29

책 소개

기본적으로 학술서의 성격을 띤다. 하지만 정신의료를 제공하는 치료자들에게는 정신질환 당사자 중심 치료에 대한 지침서다. 정신의료를 이용하는 이들에게 당사자 중심의 정신의료에 대해 알려주는 안내서이기도 하다.

목차

감사의 글 _ 샌드라 스타인가드(Sandra Steingard)
집필진
추천사 _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신영전
추천사 _ (사)정신장애와인권 파도손 대표 이정하
추천사 _ 국립정신건강센터장 이영문
한국어판 엮은이 서문

1. 비판정신의학이란 무엇인가?
What Is Critical Psychiatry?

_ 조아나 몬크리프(Joanna Moncrieff), 샌드라 스타인가드(Sandra Steingard)

도입
정신의학의 비판
반정신의학
대안 서비스
포스트모더니즘
마르크스주의 이론
서비스이용자운동
비판정신의학 운동
결론
요약
참고문헌

2. 정신과 진단 개념에 대한 이해 넓히기:
DSM 비판을 위한 생태학적 모델

Toward Conceptual Competence in Psychiatric Diagnosis:
An Ecological Model for Critiques of the DSM
_ 저스틴 카터(Justin M. Karter), 사라 카멘즈(Sarah R. Kamens)

도입
DSM-5 비판의 경과 요약
구조적 확장과 개념적 확장
DSM-5 비판을 위한 생태학적 접근
거시단위비판
존재론: 생물학적 환원주의 및 설명 간극
인식론: 광기 측정하기
외부단위비판
사회적 산물로서의 정신질환
DSM 진단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중간단위비판
미시단위비판
개인단위비판
결론
필자들의 성찰적 언급
참고문헌

3. 제약회사의 영향,
정신의학 연구 및 진료의 온전성 회복

The Influence of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Restoring Integrity to Psychiatric Research and Practice
_ 리사 코스그로브(Lisa Cosgrove), 아칸샤 바스와니(Akansha vaswani)

도입
정신의학 연구 및 임상에서의 제도적 부패
정신의학적 근거기반의 왜곡
DSM-5가 정신과 환자의 범위를 넓혀 더 많은 이윤을 내기 위한
수단으로 부적절하게 작동하였는가?
SSRI가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일상에서 사용되어야 하는가? 과학적 증거와 일반 임상진료의 단절
무작위대조연구 결과는 정신과 진료 가이드라인에 정확하게 반영되는가?
“새로운” 정신과 약물에 대한 연구를 접할 때
우리는 과연 이 문헌을 믿을 수 있는가? 데이터와 출판된 연구를 통 해 배포된 자료 사이의 단절에 관한 또 다른 사례연구
결론
개혁을 위한 해결책
참고문헌

4. 정신과 약물치료에 대한 대안적 접근
An Alternative Approach to Drug Treatment in Psychiatry

_ 조아나 몬크리프(Joanna Moncrieff)

도입: 약물작용모델
약물작용모델의 역사
약물 작용의 근거
정신질환의 신경화학적 기원에 관한 연구
비특이적인 약물과의 비교
동물 실험
약물중심모델에 따른 약물 사용
정신병 치료에 대한 약물중심접근
우울증 치료에 대한 약물중심접근
결론
참고문헌

5. 약물중심접근의 임상적 함의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Drug-Centered Approach

_ 샌드라 스타인가드(Sandra Steingard)

도입
정신자극제
신경이완제
항우울제
벤조디아제핀
결론
참고문헌

6. 처방종결과 정신의학에의 적용
Deprescribing and Its Application to Psychiatry

_ 스웝닐 굽타(Swapnil Gupta) 레베카 밀러(Rebecca Miller)

처방종결의 개념
정신과에서의 처방종결
처방종결을 고려할 만한 정신과 임상 상황
처방종결의 장점과 단점
처방종결 과정
처방종결이 적절한 환자
처방종결에서 함께하는의사결정 사용하기
처방종결에서 정신과 병력의 함의
적절한 처방종결 시기
금단증상 관리
처방종결의 윤리학
처방종결의 문서화
앞으로의 방향
참고문헌

7. 강압치료와 비판정신과의사
Coercion and the Critical Psychiatrist

_ 니콜라스 바드레(Nicolas Badre), 숀 반스(Shawn S. Barnes),
데이비드 레맨(David Lehman), 샌드라 스타인가드(Sandra Steingard)

도입
강제성이 과연 필요한가
이 과정에서 의료 전문가의 역할은 무엇인가
위험을 줄이기 위한 강제치료는 과연 효과적인가
자살
위험
항정신병약물
사전동의와 결정 능력
강압치료와 비판정신과의사
참고문헌

8. 당사자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
_ 에밀리 쉬라 커틀러(Emily Sheera Cutler)


도입
우세한 가정에 의문 제기하기
광기는 치료나 관리를 필요로 하는 ‘질병’인가
광기는 과연 객관적이고,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범주인가,
어떤 사람이 미쳤는지 혹은 정상인지 입증할 수 있는가
광기로 간주되는 것이 과연 위험한가
광기로 간주되는 것은 드물거나 비정상인가
광기는 과연 비합리인가
흔하지 않으면 불건강한가
매드프라이드·신경다양성 실천사례
환청, 환시와 극단적 상태에 대한 매드프라이드/신경다양성적 접근
자폐증은 질환이 아니라 다양성
다양성은 장애가 아니라 차이
매드프라이드/신경다양성의 자살에 대한 접근
장애의 사회모델
왜 매드프라이드·신경다양성이 강압치료와 공존할 수 없는가?
하지만 만약 누군가 해를 입는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앞으로 나아가기
참고문헌

9. 정신의학의 미래로 향하는 길
A Path to the Future for Psychiatry

_ 샌드라 스타인가드(Sandra Steingard)

참고문헌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샌드라 스타인가드 (엮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의 정신과 전문의. 버몬트 주 벌링턴 시 소재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센터인 하워드센터(Howard Center) 의료부장이자 버몬트 의대 정신의학교실의 임상부교수다. 조현병과 같은 정신병적 정신질환자 진료를 주로 맡으며, 당사자와 가족 운동을 지원한다. 2003년에는 ‘미국 최고의 의사’에 선정되기도 했으며, 미국의 비판정신의학 인터넷언론 『매드인아메리카(Mad in America)』 에서 교육과 저술을 담당한다. https://howardcenter.org/sandra-steingard/.
펼치기
장창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 한국사회적의료기관연합회(사의련) 회원 기관인 살림의원, 느티나무의원과 원진녹색병원에서 순회 진료를 한다. 문턱 낮은 마음 진료를 추구하며, 더 나은 정신의료를 고민하며 『비판정신의학』, 『약이 병이 되는 시대』를 번역했다. 정신질환자 옹호 활동에도 관심이 있으며 시민, 의료 소비자, 의료인들이 함께 더 나은 정신 의료를 만들어 가기 위한 연대체 결성의 뜻을 품고 ‘함께하는 약 선택을 통한 회복 실천 운동’을 펼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