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사진 > 사진이론/비평/역사
· ISBN : 9791187401278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0-04-17
책 소개
목차
서언: 왜 ‘푼크툼’의 사진현상학인가?
I. 사진과 시각
1. 시선의 지향성
1-1 ‘놀람’과 현상학적 시선
1-2 지향적 시선과 정서적 본질
2. 대상의 응시
2-1 사진의 ‘혼란’과 우연성
2-2 보이지 않는 ‘혼란’과 대상의 응시
3. 이미지
3-1 마술적 이미지로서의 사진
3-2 상상행위로서 이미지
II. 사진과 기계적 시각
1. 카메라 옵스큐라의 이중성: 관찰기술의 투명성과 불투명성
1-1 카메라 옵스큐라의 투명성과 시선
1-2 카메라 옵스큐라의 광학적 불투명
2. 카메라의 기술성과 매개적 도구로서의 카메라
2-1 카메라 블랙박스의 기술성
2-2 코드적, 재귀·매개적 도구로서의 카메라
3. 자동 기술매체로서 사진정보와 광학적 실재성
3-1 자동 기술매체의 광학적 정보와 스투디움
3-2 자동기술의 차폐성과 광학적 게슈탈트의 푼크툼
III. 사진과 기호
1. 디노테이션과 도상기호
1-1 신화의 1차 기호로서 사진기호체계
1-2 사진의 아날로공과 도상기호로서 디노테이션
2. 스투디움의 신화적 코노테이션과 상징기호
2-1 코드화된 도상과 코노테이션
2-2 상징지호와 신화적 코노테이션으로서의 스투디움
3. 푼크툼의 잠재적 의미와 지표기호
3-1 지시대상의 ‘자국’과 지표
3-2 지표기호와 푼크툼의 잠재적인 의미
IV. 사진과 시간
1. 사이존재의 시간성과 흔적
1-1 사이존재의 시간성
1-2 사이존재와 지연된 시공간의 흔적
2. 사이존재와 유령적 구조
2-1 사이존재로서 무(無)의 노에마
2-2 사진의 유령적 구조
3. 심령체의 시간성과 시간의 강도(强度)로서 푼크툼
3-1 심령체와 시선의 스캔들적 운동
3-2 심령체의 몰시간성과 푼크툼
V. 사진과 욕망
1. 사진과 삶/죽음의 실존적·정신분석적 패러다임
1-1 삶/죽음의 실존적 패러다임
1-2 삶/죽음의 정신분석적 패러다임: 죽음 충동과 사진의 죽음
2. 투케와 회귀의 트라우마
2-1 투케와 무의식의 간극
2-2 자동기술의 반복과 회귀의 트라우마
3. 광학적 응시의 충동과 자동기계의 욕망
3-1 응시의 무의식적 차원과 반복행위의 충동
3-2 카메라의 광학적 응시의 욕망
VI. 사진과 푼크툼
1. 푼크툼의 감동과 구멍
1-1 우연한 감동과 침묵으로서의 푼크툼
1-2 분위기와 잉여적 의미 출현으로서 푼크툼의 구멍
2. 푼크툼의 파토스로서 우울과 두려운 낯섦
2-1 푼크툼의 파토스로서 우울
2-2 푼크툼의 파토스로서 불안과 두려운 낯섦
3. 푼크툼의 광기와 광기적 진실의 의미와 가치
3-1 푼크툼의 광기와 숭고의 감정
3-2 푼크툼의 광기적 진실과 이타성의 가치
결언: ‘푼크툼’의 현상학적 사진학의 의미와 『밝은 방』이 디지털 영상 시대에 남긴 것
1. ‘개별학’으로서 ‘푼크툼’의 현상학적 사진학’의 의미
2. 『밝은 방』이 디지털 영상 시대에 남긴 것
주
『밝은 방』에 실린 사진들과 본문에서 인용한 사진들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