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7511359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22-05-05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놀이
놀이, 그 자체로 충분한 단어
놀이를 위한 단 세 가지의 조건
꼬리에 꼬리를 무는 놀이 방해꾼들
스스로 구르는 놀이 사이클
놀이의 종류여 무한대로 확산하여라
MBTI로 보는 놀이, 놀이로 보는 MBTI
놀이터
반전이 필요한 놀이터의 역사
정크놀이터·모험놀이터·플레이파크, 어린이들을 믿어봐
미워만 할 수 없는 공공의 적 3S
조합놀이대의 아버지 조경가 폴 프리드버그
신문 기사로 만나는 우리나라 놀이터 역사
다른 나라 놀이터에서 확인하는 놀이터 방정식의 변수와 상수
어포던스, 숨기는 디자이너 찾아내는 어린이
무서운 건 괜찮은데, 다치는 건 안 돼요
통합놀이터에 대한 나의 질문, 당신의 질문
모래포장이냐 고무포장이냐가 아니라 루즈파트
어린이와 함께 만드는 놀이터
뻔한 놀이터에 대한 이유 혹은 변명
그렇다면 좋은 놀이터란
놀이도시
어디든 가고, 어디에서든 놀고
암스테르담의 난데없이 나타나는 놀이터와 건축가 알도 반 아이크
벨기에 플랑드르 지방의 ‘잘 노는 동네’ 만들기
스웨덴 스톡홀름의 어린이가 결재하는 통합아동영향평가
동네별 놀이터 계획이 필요해요
놀이길, 가까운 미래이길
이게 바로 우리가 원하는 도시야
저자소개
책속에서
어린이의 세계에서 놀이는 생활 그 자체다. 그리고 놀이라는 단어도 그 자체로 충분한 단어다. 무엇을 수식하거나 수식받을 이유가 없는 단어다. 조급해하지 말고 어린이를, 어린이의 놀이를 믿어보자. 어린이 스스로 자신의 본능과 생각, 흥미에 따라 놀이의 내용과 방식을 선택할 때 어른들이 좋아하는 그 효과도 시나브로 높아질 것이다.
어린이가 놀기 위해서는 단 세 가지 조건만 충족되면 된다. 시간, 공간, 친구다. 아주 간단한 세 가지이지만 중요한 전제가 있다. ‘자발성’이다. 타인이 지정해주는 장소, 시간, 친구가 아니라 스스로 정할 수 있어야 한다. 각자의 어린 시절을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남는 시간이 아니라 놀고 싶을 때 놀 수 있어야 한다. 공간은 꼭 놀이시설물로 채워진 놀이터일 필요는 없지만 모든 어린이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고 행동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돈을 내지 않아야 하고 장애 어린이들을 포함해 특정한 필요와 요구가 있는 어린이도 환대받는 공간이어야 한다. 또 놀이에는 친구가 필요하다. 물론 혼자서도 놀 수 있지만, 항상 친구 없이 놀 수는 없다.
다른 나라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우리나라만의 방해 요소도 있다. 그중의 하나가 세대 간의 공간 싸움이다. 우리가 흔히 보는 놀이터는 법적으로는 도시공원 중의 하나인 어린이공원이다. 어린이공원은 어린이를 위한 공간이지만 동네에 있는 유일한 공원이라 모든 연령자의 활동을 수용해야 할 때가 많다. 주민들은 어린이공원에서 산책도 하고 가벼운 운동도 한다. 그러다 보니 지압보도나 체육시설도 필요하다. 어떤 어린이공원에는 경로당도 있다. 어린이들의 놀이와 어른들의 생활이 행복하게 공존하는 사례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경로당 어르신들이 어린이들의 놀이를 시끄럽게 여기는 경우도 있고, 노인들의 존재로 양육자들이 놀이터를 찾기 꺼리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