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휴전선엔 철조망이 없다

휴전선엔 철조망이 없다

(평화와 공존의 공간 되찾기, 인류학자의 제언)

강주원 (지은이)
눌민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휴전선엔 철조망이 없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휴전선엔 철조망이 없다 (평화와 공존의 공간 되찾기, 인류학자의 제언)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91187750611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2-08-15

책 소개

압록강의 인류학자, 21세기 임진강 앞에 서서 평화로 가는 길을 모색하다. 임진강과 한강을 남북한이 평화롭게 공유하는 공간으로 복원하기!

목차

머리말
2020년 코로나19 전후, 한반도 안과 밖을 기록하기・5
20년의 조금 익숙함과 2년의 너무 낯섦 사이에서 | 나에게 다가온 철조망들 | 두 질문의 답: 있음 혹은 없음

1부 한국 사회에 투영된 분단 그림: 평화는 상상화보다는 사실화일 때 와닿는다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 현실에 바탕을 둔 상상력・27
남북 교류와 만남의 불시착 공간은? | 약 30년 전에도 이뤄진, 상상이 아닌 현실 | 미래가 아닌 남북 만남의 방식과 장면

나는 휴전선을 몰랐다・44
38선 나무표지판과 휴전선 말뚝 | 철조망의 역사: 분단 세월보다 약 23년 짧다 | 철조망은 분단의 상징일까

로마에 간 평화의 십자가: DMZ 철조망으로 만들었다면!・60
감동에서 물음표로 | DMZ 철조망과 해안 철조망 | 휴전선 말뚝으로 만든 평화의 십자가를 소망하며

2020년대 초반, 강변북로를 지나 자유로를 달리다・72
매번 새롭게 다가온 자유로 | 자유로 한강: 철조망과 평화 | 자유로 임진강: 철조망과 무언의 풍경 | 자유로 임진강 너머: 북한, DMZ, 한국을 구분하기

2부 같은 듯 다른 듯: 압록강 & 임진강

선입견과 편견을 넘어・105
다양한 선과 면 : 민통선, 남방한계선, 휴전선, 민북, DMZ | DMZ, 어디까지 가봤나? | 존재하지 않는 휴전선을 그려놓은 지도들 | 임진각 너머, 북한은 멀다 | 평화 곤돌라는 평화체험일까

그곳에도 삶이 있다・141
통일대교 민통선은 금지의 선이 아니다 | 두 개의 선(민통선과 남방한계선)을 일상적으로 넘나드는 사람들 | 민통선은 다양하다

현실에서 평화를 그리면서 누리자・164
자유로에 휴전선 시종점을 표시한 안내판이 있다면 | 같은 중립 수역: 한쪽은 함께 이용, 한쪽은 함께 금지 | 예전처럼 남북 중립 수역에서 발 담그고 과일을 먹자! | 남북이 함께 모내기하는 판을 꿈꾸며 | 오늘 도라산역에 갈까?: 서울-평양 열차 연결 이전에

3부 남북 교류와 만남의 공간, 중국 단둥: 공존과 공생이 일상에 스며들다

2019년에 낸 『압록강은 휴전선 너머 흐른다』: 이후를 기록하기・205
남북 교류와 만남의 달력을 만들다 | 그때 그 시절, 남북은 그렇게 살았다 | 민간 차원의 이산가족 서신교환: 빈칸 없음이 주는 무게감

코로나19 상황: 단둥 지인들이 전해온 소식들・229
북한 달력, 이메일 그리고 마스크와 방호복 | 남북 교류와 만남의 통계 범위는 어디까지 | 북한의 국경 봉쇄는 몇 년일까? | 2020년대 초반, 단둥엔 개성공단이 다섯 개가 넘는다

맺음말
2013년, 2016년, 2019년 그리고 2022년 기록을 마치면서・255
다시 찾아갈 압록강과 두만강, 그리고 또 달려갈 임진강과 한강 | 다섯번째 책과 또 하나의 약속을 다짐하면서

참고문헌・266

저자소개

강주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인류학과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2012)를 받았다. 2000년 여름부터 한반도 밖이자 국경 지역인 중국 단둥을 포함해서 두만강과 압록강을 다니고 있다. 2020년 봄부터는 한반도 안인 임진강과 한강 그리고 DMZ의 안과 밖도 넘나들고 있다. 북한사람·북한화교·조선족·한국사람의 관계맺음을 꾸준히 기록하고 있다. 남북 교류와 만남, 분단의 풍경과 삶을 배우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북한과 한국 사회를 낯설게 보고 만나고자 노력한다. 한반도 평화와 공존에 대한 고민을 업으로 삼는 인류학자의 길을 걸어가고 있다. 지은 책으로 『웰컴 투 코리아』(2006, 공저), 『나는 오늘도 국경을 만들고 허문다』(2013), 『압록강은 다르게 흐른다』(2016), 『압록강은 휴전선 너머 흐른다』(2019) 등이 있다. 2012년에 재외동포재단 학위 논문상을 받았다k.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은 한반도 안에서 느꼈던 나의 무지함과 낯섦이 어디서부터 시작되었고 어디에서 왔는지 파악하는 여정을 담았다. 두번째 책에서 “압록강의 물결은 흐르고 흐르다 황해를 만나고 대동강과 한강에서 흘러나온 물과 섞인다.”라고 기록했었다. 이번에는 그 강들에서 강 하나가 빠져 있음에 주목했다. 바로 임진강이다.


2021년부터는 초반부에 던지는 질문이 하나 더 생겼다. 가족 모임에서만 물어봤는데 모두가 있다고 한 내용이다. 지인들에게 묻고 다녔다. 나중엔 강연할 때도 덧붙이고 있다. 이번 네번째 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문제의식을 확인하는 기회로 삼는 욕심이 생겼다. 군더더기 없는 문장을 만들었다. “여러분, 휴전선엔 철조망이 있을까요? 없을까요”


북한이 “만날 수 없고 만나선 안 되는 사람들이 사는” 그리고 “여권으로도 절대 갈 수 없는 나라”는 아니다. 더불어 통일부에서는 1988년부터 여러 “법령이 제정됨으로써 우리(한국) 법의 테두리 안에서 남북 교류 협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1990년대 전후부터 제한적으로 만날 수 있고, 만나도 되는 사람들이 사는 나라이자 몇몇 서류가 갖춰지면 여권으로 갈 수 있는 나라가 바로 북한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