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91187750611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2-08-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2020년 코로나19 전후, 한반도 안과 밖을 기록하기・5
20년의 조금 익숙함과 2년의 너무 낯섦 사이에서 | 나에게 다가온 철조망들 | 두 질문의 답: 있음 혹은 없음
1부 한국 사회에 투영된 분단 그림: 평화는 상상화보다는 사실화일 때 와닿는다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 현실에 바탕을 둔 상상력・27
남북 교류와 만남의 불시착 공간은? | 약 30년 전에도 이뤄진, 상상이 아닌 현실 | 미래가 아닌 남북 만남의 방식과 장면
나는 휴전선을 몰랐다・44
38선 나무표지판과 휴전선 말뚝 | 철조망의 역사: 분단 세월보다 약 23년 짧다 | 철조망은 분단의 상징일까
로마에 간 평화의 십자가: DMZ 철조망으로 만들었다면!・60
감동에서 물음표로 | DMZ 철조망과 해안 철조망 | 휴전선 말뚝으로 만든 평화의 십자가를 소망하며
2020년대 초반, 강변북로를 지나 자유로를 달리다・72
매번 새롭게 다가온 자유로 | 자유로 한강: 철조망과 평화 | 자유로 임진강: 철조망과 무언의 풍경 | 자유로 임진강 너머: 북한, DMZ, 한국을 구분하기
2부 같은 듯 다른 듯: 압록강 & 임진강
선입견과 편견을 넘어・105
다양한 선과 면 : 민통선, 남방한계선, 휴전선, 민북, DMZ | DMZ, 어디까지 가봤나? | 존재하지 않는 휴전선을 그려놓은 지도들 | 임진각 너머, 북한은 멀다 | 평화 곤돌라는 평화체험일까
그곳에도 삶이 있다・141
통일대교 민통선은 금지의 선이 아니다 | 두 개의 선(민통선과 남방한계선)을 일상적으로 넘나드는 사람들 | 민통선은 다양하다
현실에서 평화를 그리면서 누리자・164
자유로에 휴전선 시종점을 표시한 안내판이 있다면 | 같은 중립 수역: 한쪽은 함께 이용, 한쪽은 함께 금지 | 예전처럼 남북 중립 수역에서 발 담그고 과일을 먹자! | 남북이 함께 모내기하는 판을 꿈꾸며 | 오늘 도라산역에 갈까?: 서울-평양 열차 연결 이전에
3부 남북 교류와 만남의 공간, 중국 단둥: 공존과 공생이 일상에 스며들다
2019년에 낸 『압록강은 휴전선 너머 흐른다』: 이후를 기록하기・205
남북 교류와 만남의 달력을 만들다 | 그때 그 시절, 남북은 그렇게 살았다 | 민간 차원의 이산가족 서신교환: 빈칸 없음이 주는 무게감
코로나19 상황: 단둥 지인들이 전해온 소식들・229
북한 달력, 이메일 그리고 마스크와 방호복 | 남북 교류와 만남의 통계 범위는 어디까지 | 북한의 국경 봉쇄는 몇 년일까? | 2020년대 초반, 단둥엔 개성공단이 다섯 개가 넘는다
맺음말
2013년, 2016년, 2019년 그리고 2022년 기록을 마치면서・255
다시 찾아갈 압록강과 두만강, 그리고 또 달려갈 임진강과 한강 | 다섯번째 책과 또 하나의 약속을 다짐하면서
참고문헌・266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한반도 안에서 느꼈던 나의 무지함과 낯섦이 어디서부터 시작되었고 어디에서 왔는지 파악하는 여정을 담았다. 두번째 책에서 “압록강의 물결은 흐르고 흐르다 황해를 만나고 대동강과 한강에서 흘러나온 물과 섞인다.”라고 기록했었다. 이번에는 그 강들에서 강 하나가 빠져 있음에 주목했다. 바로 임진강이다.
2021년부터는 초반부에 던지는 질문이 하나 더 생겼다. 가족 모임에서만 물어봤는데 모두가 있다고 한 내용이다. 지인들에게 묻고 다녔다. 나중엔 강연할 때도 덧붙이고 있다. 이번 네번째 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문제의식을 확인하는 기회로 삼는 욕심이 생겼다. 군더더기 없는 문장을 만들었다. “여러분, 휴전선엔 철조망이 있을까요? 없을까요”
북한이 “만날 수 없고 만나선 안 되는 사람들이 사는” 그리고 “여권으로도 절대 갈 수 없는 나라”는 아니다. 더불어 통일부에서는 1988년부터 여러 “법령이 제정됨으로써 우리(한국) 법의 테두리 안에서 남북 교류 협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1990년대 전후부터 제한적으로 만날 수 있고, 만나도 되는 사람들이 사는 나라이자 몇몇 서류가 갖춰지면 여권으로 갈 수 있는 나라가 바로 북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