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91187806110
· 쪽수 : 550쪽
· 출판일 : 2016-12-30
목차
일러두기 ∙ 4
낙전당집 제4권
시詩
오언절구五言絶句
한거잡영 서실 閑居雜詠 書巢 ∙ 25
둘째 其二 못가의 정자 池閣 ∙ 25
셋째 其三 버드나무 아래의 다리 柳橋 ∙ 26
강을 따라 가다 江行 ∙ 27
느낌을 적다 感述 ∙ 28
최국보 체로 짓다 崔國輔體 ∙ 29
저녁 해 日夕 ∙ 30
최국보의 〈사시사〉를 본받아 짓다 效崔國輔四時詞 ∙ 31
첫째 其一 봄 春 ∙ 31
둘째 其二 여름 夏 ∙ 31
셋째 其三 가을 秋 ∙ 31
넷째其四 겨울 冬 ∙ 32
객중에 客中 ∙ 33
우연히 짓다 偶占 ∙ 34
기탄 岐灘 ∙ 35
석문 石門 ∙ 36
현등연 懸燈淵 ∙ 37
남이촌 南二村 ∙ 38
이 만호의 정자 李萬戶亭子 ∙ 39
평담 平潭 ∙ 40
둘째 其二 ∙ 40
횡성 가는 도중에 橫城途中 ∙ 41
강촌 江村 ∙ 42
둘째 其二 ∙ 42
셋째 其三 ∙ 42
분매에 쓰다 題盆梅 ∙ 43
봄날, 북동에서 마시다 春日飮北洞 ∙ 44
둘째 其二 ∙ 44
의고 원사 擬古怨詞 ∙ 45
둘째 其二 ∙ 45
셋째 其三 ∙ 45
넷째 其四 ∙ 45
다섯째 其五 ∙ 46
여섯째 其六 ∙ 46
일곱째 其七 ∙ 46
여덟째 其八 ∙ 47
아홉째 其九 ∙ 47
열 번째 其十 ∙ 47
아름다운 명성도 세우지 못했는데 늙음은 어찌 그리 갑작스레 이르는가.
이자시의 시에 차운하다 修名不立老至何遽次李子時韻 ∙ 48
둘째 其二 ∙ 48
셋째 其三 ∙ 48
넷째 其四 ∙ 49
다섯째 其五 ∙ 49
여섯째 其六 ∙ 49
일곱째 其七 ∙ 50
여덟째 其八 ∙ 50
수운정 청계에 내리는 저녁 비 水雲亭 靑溪晩雨 ∙ 51
둘째 其二 전교의 평원 箭郊平蕪 ∙ 51
셋째 其三 백사장의 나그네 平沙行客 ∙ 52
망해사 望海寺 ∙ 53
검장의 송대에서 취해 부르짖다 黔莊松臺醉呼 ∙ 54
강가에서 기옹을 전송하며 江上送畸翁 ∙ 55
창연정 팔영 지주 蒼然亭八詠 砥柱 ∙ 56
둘째 其二 고산 孤山 ∙ 56
셋째 其三 상연대 爽然臺 ∙ 56
넷째 其四 용진현 龍津縣 ∙ 56
다섯째 其五 고운대 孤雲臺 ∙ 57
여섯째 其六 중은동 中隱洞 ∙ 57
일곱째 其七 소내 牛川 ∙ 58
여덟째 其八 월정 月汀 ∙ 58
감흥이 일어 感興 ∙ 59
부채 머리에 써서 극보에게 주다 書扇頭貽克甫 ∙ 60
경진년 입춘에 취하여 읊다 庚辰立春醉吟 ∙ 61
둘째 其二 ∙ 61
조수민과 송시화가 술을 들고 와서 작별하였는데, 배 안에서 두 사람의
부채머리에 쓰다 曺秀民宋時曄載酒來別舟中書兩子扇頭 ∙ 62
둘째 其二 ∙ 62
동궁을 지송하러 기천을 뫼시고 탕춘대에 이르다
祇送東宮陪杞泉到蕩春臺 ∙ 63
분서의 시에 차운하다 次汾西韻 ∙ 64
거산역으로 떠나는 여만을 칠괴정에서 전송하며 지의를 주다
七槐亭送汝萬赴居山驛贈紙衣 ∙ 65
자리 위의 부채 머리에 쓰다 書座上扇頭 ∙ 66
시우정 팔영 뒷산에서 고사리를 캐다 時雨亭八詠 後山採薇 ∙ 67
둘째 其二 꽃 아래서 술잔을 띄우다 花下流觴 ∙ 67
셋째 其三 세 그루 홰나무 그늘 三樹槐陰 ∙ 67
넷째 其四 연못 가득한 연꽃의 향기 一池荷香 ∙ 68
다섯째 其五 동쪽 울타리 밑에 국화를 키우다 東籬養菊 ∙ 68
여섯째 其六 남산의 솔 소리를 듣다 南山聽松 ∙ 68
일곱째 其七 화로를 안고 밤을 굽다 擁爐燒栗 ∙ 68
여덟째 其八 문을 열고 눈을 감상하다 開門賞雪 ∙ 69
기옹에게 부치다 寄杞翁 ∙ 70
풀로 엮은 둥지를 타고 장난삼아 짓다 乘藁窩戲作 ∙ 71
병중에 회포를 서술하다 病中述懷 ∙ 72
둘째 其二 ∙ 72
셋째 其三 ∙ 72
넷째 其四 ∙ 73
다섯째 其五 ∙ 73
여섯째 其六 ∙ 73
일곱째 其七 ∙ 73
여덟째 其八 ∙ 74
칠언절구七言絶句
삼가 어제 시에 화답하다 奉和聖製 ∙ 75
둘째 其二 ∙ 76
금직 중에 새벽에 일어나서 禁直曉起 ∙ 77
지일에 쓰다 至日賦得 ∙ 78
둘째 其二 ∙ 78
입으로 시를 부르다 口呼 ∙ 79
즉사 卽事 ∙ 80
낮잠 午眠 ∙ 81
비 오는 저녁 雨夕 ∙ 82
눈병이 나서 부질없이 읊다 病眼謾吟 ∙ 83
한가로이 읊다 閑吟 ∙ 84
병중의 마음 病懷 ∙ 85
느낌을 적다 志感 ∙ 86
중양절 重陽 ∙ 87
궁사 宮詞 ∙ 88
둘째 其二 ∙ 88
셋째 其三 ∙ 88
넷째 其四 ∙ 89
다섯째 其五 ∙ 89
여섯째 其六 ∙ 89
일곱째 其七 ∙ 90
여덟째 其八 ∙ 90
아홉째 其九 ∙ 90
열 번째 其十 ∙ 90
변방을 나가는 노래 出塞曲 ∙ 92
변방에서의 노래 塞下曲 ∙ 93
춘성에 머물며 시흥으로 돌아가는 재명을 전송하다
滯春城送再明還始興 ∙ 94
밤에 성남에서 술을 마셨는데……절구 한 수를 지어 당시의 아름다운
모임을 기록한다 夜飮城南……一絶以紀勝集 ∙ 95
가을밤 秋夜 ∙ 96
재명에게 작별하며 주다 贈別再明 ∙ 97
조용히 지내며 幽居 ∙ 98
봄을 보내며 送春 ∙ 99
장난삼아 짓다 戲賦 ∙ 100
밤에 앉아서 夜坐 ∙ 101
감상인의 시축에 쓰다 題鑑上人軸 ∙ 102
공암에서 배를 기다리며 孔巖待船 ∙ 103
검장 잡영 黔莊雜詠 ∙ 104
시골집에서 새벽녘에 村莊曉思 ∙ 105
밤에 읊다 夜吟 ∙ 106
평양 소윤 허약허 실 에게 주다 贈箕城小尹許若虛 實 ∙ 107
도재 윤흔 이 ‘지’ 자 운으로 시를 거듭 보내왔기에 급히 사례하다
陶齋 尹昕 用枝字韻疊至走謝 ∙ 108
전주에서 짓다 全州作 ∙ 109
한가로운 정취 閑情 ∙ 110
둘째 其二 ∙ 110
승려에게 주다 贈僧 ∙ 111
통상인에게 주다 贈通上人 ∙ 112
둘째 其二 ∙ 112
셋째 其三 ∙ 112
넷째 其四 ∙ 113
자리에서 입으로 시를 불러 구천 정자에 적어 두다
席上口占留題龜川郊亭 ∙ 114
이안정에 쓰다 題易安亭 ∙ 115
납일 가까이에 천장, 도장과 함께 술을 마시다
近臘日與天章道章飮 ∙ 116
기옹이 보여 준 ‘비’ 자를 좇아 함부로 본떠서 쓰다
從畸翁所見飛字漫有拙效 ∙ 117
둘째 其二 ∙ 117
관해의 시에 화운하다 和觀海 ∙ 118
둘째 其二 ∙ 118
차운하여 무료함을 풀다 次韻遣聊 ∙ 119
능원군의 정자 綾原亭子 ∙ 120
경치를 읊어 합귀당에 부치다 卽景寄盍歸堂 ∙ 121
비 오는 밤 취하여 읊다 夜雨醉吟 ∙ 122
연경으로 가는 송 사관 창언 에게 주다 贈宋寫官 昌言 赴京 ∙ 123
7월 9일 노량진에서 기옹과 작별하고 돌아온 후 느낌이 있어
七月九日別畸翁于鷺津回後有感 ∙ 124
소내에서 고기잡이 牛川打魚 ∙ 125
늦봄에 우연히 읊다 晩春偶吟 ∙ 126
둘째 其二 ∙ 126
여주 수령으로 가는 한형보를 전송하며 送韓亨甫宰呂州 ∙ 127
여러 학사들과 남궁에서 술을 마시다 與諸學士飮南宮 ∙ 128
남파에게 부치다 寄南坡 ∙ 129
둘째 其二 ∙ 129
성정에게 보내다 贈性淨 ∙ 130
기천의 집에서 짓다 杞泉宅賦得 ∙ 131
나몽뢰 만갑 에게 부치다 寄羅夢賚 萬甲 ∙ 132
서툰 시구를 전해 직접 뵙고 말씀 드리는 것을 대신한다
寄語用拙以替言面 ∙ 133
청음의 〈청평록〉 시에 차운하다 입산 次淸陰淸平錄韻 入山 ∙ 134
둘째 其二 식암 息庵 ∙ 134
셋째 其三 주행 舟行 ∙ 134
금릉 군수에게 주다 贈金陵使君 ∙ 135
눈 온 후 雪後 ∙ 136
둘째 其二 ∙ 136
청음의 시에 차운하다 次淸陰韻 ∙ 137
차운 次韻 ∙ 138
김화의 동헌에서 청음의 시에 차운하다 金化東軒次淸陰韻 ∙ 139
구현에서 가마를 졌던 승려 무일에게 주다 狗峴贈擔輿僧無一 ∙ 140
경호 가의 김씨 초당에서, 신기재의 운을 쓰다
鏡湖上金氏草堂用申企齋韻 ∙ 141
원성에서 영장 양신용을 만나다 原城逢梁營將信容 ∙ 142
산해 유람 중 마음에 드는 곳을 읊다. 절구 열수
賦得山海遊歷會心處十絶 ∙ 143
첫째 其一 ∙ 143
둘째 其二 ∙ 143
셋째 其三 ∙ 144
넷째 其四 ∙ 144
다섯째 其五 ∙ 145
여섯째 其六 ∙ 145
일곱째 其七 ∙ 146
여덟째 其八 ∙ 146
아홉째 其九 ∙ 147
열째 其十 ∙ 147
한식에 느낌이 있어 寒食有感 ∙ 148
광릉의 배 안에서 廣陵舟中 ∙ 149
정축년 11월 26일에 최와 향 두 아이를 데리고 도성을 나와 광나루를 건너며 짓다
丁丑十一月二十六日携最晑二兒出城渡廣津口占 ∙ 150
둘째 其二 ∙ 150
몸에 늘 가까이하는 기물을 읊다 詠隨身物 ∙ 151
둘째 其二 ∙ 151
셋째 其三 ∙ 151
넷째 其四 ∙ 152
다섯째 其五 ∙ 152
여섯째 其六 ∙ 153
일곱째 其七 ∙ 153
여덟째 其八 ∙ 153
향의 시에 차운하다 次晑韻 ∙ 154
건중과 배에서 이별하며 與建中舟中別 ∙ 155
향의 시에 차운하다 次晑韻 ∙ 156
풍악산인 쌍흘과 벗하여 누각에서 하룻밤 묵으며 새벽에 읊다
與楓岳山人雙仡伴宿江閣曉吟 ∙ 157
영오의 시축에 차운하다 次靈悟軸韻 ∙ 158
자용에게 보내다 柬子容 ∙ 159
덕연의 배 안에서 德淵舟中 ∙ 160
여만의 부채 머리에 쓰다 書汝萬扇頭 ∙ 161
재미삼아 기천에게 드리다 戲呈杞泉 ∙ 162
기옹에게 기록해 올리다 錄奉畸翁 ∙ 163
양천의 객사에서 묵으며 宿陽川客舍 ∙ 164
여만에게 주다 酬汝萬 ∙ 165
천장의 시에 차운하다 次天章韻 ∙ 166
둘째 其二 ∙ 166
광릉의 배 안에서 청금정 주인을 만나 구봉(九峯)의 시에 화운하다
廣陵舟中逢聽琴亭主人和九峯詩 ∙ 167
둘째 其二 ∙ 167
이일상의 시에 차운하다 次李一相韻 ∙ 168
박상지 서 가 소식을 보내온 것에 사례하며 謝朴尙之寄訊 遾 ∙ 169
이 양양 시해 에게 주다 贈李襄陽 時楷 ∙ 170
둘째 其二 ∙ 170
셋째 其三 ∙ 171
넷째 其四 ∙ 171
다섯째 其五 ∙ 171
여섯째 其六 ∙ 172
김도원의 부채 머리에 있는 시에 차운하다 次金道源扇頭韻 ∙ 173
수성 가는 길 위에서 입으로 시를 짓다 隋城路上口占 ∙ 174
덕륭 상인에게 주다 贈德隆上人 ∙ 175
이산관에서 사암(思庵)의 시에 차운하다 伊山館次思庵韻 ∙ 176
이로당에서 밤에 술을 마시다 怡老堂夜酌 ∙ 177
강을 건너며 입으로 시를 부르다 渡江口呼 ∙ 178
배를 타고 두미진에 들어가며 舟入斗津 ∙ 179
우연히 읊다 偶吟 ∙ 180
송대 주인 최충일은……손수 몇 그루 소나무를 누대 주변에 심었기 때문에
송대 주인이라고 불렀다
松臺主人崔忠一……手植數松於臺邊故云 ∙ 181
둘째 其二 ∙ 182
수종사에서 묵고 돌아오는 길에 매를 보다 宿水鍾歸路觀鷹 ∙ 183
저물녘에 앉아서 입으로 시를 부르다 晩坐口呼 ∙ 184
밤에 읊다 夜吟 ∙ 185
천장의 석상에서 화운하다 天章席上和韻 ∙ 186
배를 타고 광릉으로 내려가며 서울을 바라보다 舟下廣陵望京城 ∙ 187
달을 보며 탕참에 있는 청음의 시에 차운하다 見月次湯站淸陰韻 ∙ 188
부질없이 읊다 漫吟 ∙ 189
우연히 읊다 偶吟 ∙ 190
느낌을 읊다 感吟 ∙ 191
낙전당집 제5권
서序
호서로 가는 조 동지 존성 를 전송하는 서
奉送趙同知 存性 歸湖西序 ∙ 195
임지로 가는 황운봉 일호 을 전송하는 서 送黃雲峯 一皓 之任序 ∙ 200
바다 건너 천자에게 조회하러 가는 이 참판 현영 을 전송하는 서
奉送李參判 顯英 航海朝天序 ∙ 203
선위왜사로 떠나는 이 상례 민구 를 전송하는 서
送李相禮 敏求 宣慰倭使序 ∙ 210
천자에게 조회하러 가는 이 판서 정귀 를 전송하는 서
奉送李判書 廷龜 朝天序 ∙ 214
관서의 변방으로 진무하러 가는 장 부찰 만 을 전송하는 서
送張副察 晩 出鎭西邊序 ∙ 217
출병하는 도원수 장공 만 을 전송하는 서 送都元帥張公 晩 出師序 ∙ 221
전주 부윤으로 임지에 가는 막내 외삼촌을 전송하는 서
奉送季舅氏全州府尹序 ∙ 228
평안도 관찰사로 부임하는 민 감사 성징 를 전송하는 서
送閔監司 聖徵 出按關西序 ∙ 232
홍양으로 돌아가는 막내 외삼촌을 전송하는 서
奉送季舅氏歸洪陽之行序 ∙ 237
임지로 가는 오 여주 숙 를 전송하는 서 送吳驪州 䎘 之任序 ∙ 240
배를 타고 천자에게 조회하러 가는 김청음 상헌 을 전송하는 서
奉送金淸陰 尙憲 航海朝天序 ∙ 244
김제 군수로 부임하는 정 부학 홍명 을 전송하는 서
送鄭副學 弘溟 出守金堤郡序 ∙ 247
천자에게 조회하러 가는 한 참판 인급 을 전송하는 서
送韓參判 仁及 朝天序 ∙ 251
영남 관찰사로 부임하는 홍감사 명구 를 전송하는 서
送洪監司 命耇 出按嶺南序 ∙ 254
김 나주 상복 를 전송하는 서 送金羅州 尙宓 序 ∙ 258
황해도 관찰사로 부임하는 박상지 서 를 전송하는 서
贈朴尙之 遾 出按海西序 ∙ 260
의현에게 주는 서 贈義賢序 ∙ 262
희안에게 주는 서 贈希安序 ∙ 265
쌍흘에게 주는 서 贈雙仡序 ∙ 268
수능상인에게 주는 서 贈守能上人序 ∙ 270
낙전당집 제6권
서序
이씨의 모친 김 부인의 장수를 축원하는 서 壽李母金夫人序 ∙ 275
어떤 이의 장수를 축원하는 서 壽人序 ∙ 280
남파 심공 열 의 장수를 축원하는 서 南坡沈公 悅 壽序 ∙ 287
정경부인 신씨의 80세 장수를 축원하는 서
貞敬夫人申氏八十歲壽序 ∙ 294
이 참찬 덕형 의 장수를 축원하는 서 李參贊 德泂 壽序 ∙ 301
이 판서 명 의 장수를 축원하는 서 李判書 溟 壽序 ∙ 305
이종형 이 정의 71세 장수를 축원하는 서 內兄李正七十一歲壽序 ∙ 309
정경부인 신씨의 장수를 축원하는 서 貞敬夫人申氏壽序 ∙ 313
《열성어제집》 서문 列聖御製集序 ∙ 318
종친과 의빈의 연회에 술을 하사한 것을 기념한 병풍에 쓴 서문
宗儀讌會宣醞契屛序 ∙ 321
《종친부유사당상선생안》 서문 宗親府有司堂上先生案序 ∙ 326
《운곡집》 서문 雲谷集序 ∙ 329
《청허당집》 서문 淸虛堂集序 ∙ 330
《대은당시》 서문 戴恩堂詩序 ∙ 332
《봉선품절》 서문 奉先品節序 ∙ 336
《평산신씨성보》 서문 平山申氏姓譜序 ∙ 338
《풍암집》 서문 楓巖集序 ∙ 341
《의례문해》 서문 疑禮問解序 ∙ 343
《기묘제현전》 서문 己卯諸賢傳序 ∙ 346
《동악집》 서문 東岳集序 ∙ 351
《유천선생집》 서문 柳川先生集序 ∙ 355
《선원선생유고》 서문 仙源先生遺稿序 ∙ 358
《오봉별집》 서문 五峯別集序 ∙ 361
《경세서보편》 서문 經世書補編序 ∙ 364
《둔암고》 서문 芚菴稿序 ∙ 371
《성근보집》 서문 成謹甫集序 ∙ 373
《의례문해》 서문 疑禮問解序 ∙ 378
《한산이씨족보》 서문 韓山李氏族譜序 ∙ 381
《기암고》 서문 畸庵稿序 ∙ 383
《구곡시집》 서문 龜谷詩集序 ∙ 385
낙전당집 제7권
기記
감지정기 坎止亭記 ∙ 389
환암기 渙庵記 ∙ 392
쌍수정기 雙樹亭記 ∙ 394
종친부 중수기 宗親府重修記 ∙ 398
퇴사재기 退思齋記 ∙ 401
근민헌기 近民軒記 ∙ 405
영보정 중수기 永保亭重修記 ∙ 409
근수당기 近水堂記 ∙ 413
거창 김 대사성 사당기 居昌金大司成祠堂記 ∙ 415
횡성 객관 중수기 橫城客館重建記 ∙ 420
은병서원 중수기 隱屛書院重修記 ∙ 423
내외금강산 유람기 遊金剛內外山諸記 ∙ 426
금강산 유람 소기 遊金剛小記 ∙ 442
낙전당집 제8권
전傳
이군선 옹의 전기(傳記) 李翁君善傳 ∙ 471
이전의 전기 李瑑傳 ∙ 474
잡저雜著
창연정설 蒼然亭說 ∙ 478
천설에 대한 변론 天說辯 ∙ 480
나헌에 대한 설 懦軒說 ∙ 482
쌍흘의 책에 쓰다 雙仡卷 ∙ 484
구십주의 〈백묘나한도〉에 쓰다 題仇十洲白描羅漢圖 ∙ 486
서후書後
선조(宣祖)의 친필첩(親筆帖) 뒤에 쓰다 書宣廟宸翰後 ∙ 489
박금주가 소장한 서화첩 뒤에 쓰다 書朴錦洲所藏書畫帖後 ∙ 491
어비첩 뒤에 쓰다 書御批後 ∙ 495
경자년 실록 세초첩 뒤에 쓰다 書庚子實錄洗草帖後 ∙ 497
지공 화상축에 쓰다 書指空畫像軸 ∙ 500
이자시의 〈장원백행〉 뒤에 쓰다 書李子時壯元柏行後 ∙ 502
잠와의 〈유산록〉 뒤에 쓰다 書潛窩游山錄後 ∙ 504
이자시의 백운으로 지은 배율 뒤에 쓰다 書李子時百韻排律後 ∙ 506
동 태사의 글씨 뒤에 쓰다 題董太史書後 ∙ 508
김백후의 〈조경일록〉 뒤에 쓰다 書金伯厚朝京日錄後 ∙ 509
잠곡 소상찬 潛谷小像贊 ∙ 512
고제봉이 손수 초한 격문첩 뒤에 쓰다 書高霽峯手草檄文帖後 ∙ 513
이자릉의 《서행창수》 뒤에 쓰다 書李子陵西行唱酬後 ∙ 516
계정의 시축 뒤에 쓰다 書戒淨軸後 ∙ 518
발跋
《지봉집》 발문 芝峯集跋 ∙ 521
《기암병고》 발문 畸庵病稿跋 ∙ 524
《금암고》 발문 琴巖稿跋 ∙ 526
소疏
선친의 문집을 진헌하는 상소 進先臣文集疏 ∙ 528
차箚
구언 전교(求言傳敎)에 응하여 진언하는 차자 應旨陳言箚 ∙ 532
도전 환수를 청하는 세 번째 차자 請還島田第三箚 ∙ 536
두 신하의 마음을 분별하기를 청하는 차자 請辨兩臣心跡箚 ∙ 539
도총관을 사직하는 차자 都摠管辭免箚 ∙ 542
두 번째 차자 再箚 ∙ 544
삼전도비 전액을 쓰라는 명을 사양하는 차자 三田渡碑篆額辭免箚 ∙ 545
종명을 서사할 때의 서식 규례를 아뢴 차자 鍾銘書寫式例箚 ∙ 546
《황극경세서동사보편》을 진헌하는 차자 進皇極經世書東史補編箚 ∙ 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