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낙전당집 1

낙전당집 1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신익성 (지은이), 최예심, 장유승, 이승용 (옮긴이)
  |  
학자원
2016-12-30
  |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낙전당집 1

책 정보

· 제목 : 낙전당집 1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91187806103
· 쪽수 : 569쪽

목차

일러두기 ∙ 4
해제 《낙전당집(樂全堂集)》 해제|김은정 ∙  31

동양위 신공 문집의 서문 東陽尉申公文集序| 이민구 李敏求 ∙  64
낙전거사 자서 樂全居士自敍 ∙ 68


낙전당집 제1권
시詩
오언고체五言古體
현주에게 주다 해숭위 윤신지 贈玄洲 海嵩尉尹新之 ∙ 73
이문행 夷門行 ∙ 74
느낌이 있어 쓰다 感述 ∙ 75
이른 봄에 아무렇게나 읊다 早春漫吟 ∙ 76
걸교사 乞巧詞 ∙ 77
감우 感遇 ∙ 78
술회 述懷 ∙ 79
의고 擬古 ∙ 80
두 번째 其二 ∙ 80
세 번째 其三 ∙ 81
네 번째 其四 ∙ 81
다섯 번째 其五 ∙ 82
오래 비가 내린 뒤 벽 사이에 아무렇게나 쓰다 久雨後謾書壁間 ∙ 83
느낌이 있어 有感 ∙ 84
두 번째 其二 ∙ 84
낮잠을 자다가 느낀 바 있어 도연명의 시에 차운하다
晝睡感懷次陶淵明 ∙ 86
동강 상공의 만사 이항복 공 東岡相公挽 李公恒福 ∙ 88
가을날 시골을 가며 秋日村行 ∙ 92
새벽에 청평을 출발하다 曉發淸平 ∙ 93
두 번째 其二 ∙ 93
세 번째 其三 ∙ 94
네 번째 其四 ∙ 94
다섯 번째 其五 ∙ 94
여섯 번째 其六 ∙ 95
일곱 번째 其七 ∙ 95
여덟 번째 其八 ∙ 96
아홉 번째 其九 ∙ 96
열 번째 其十 ∙ 97
시골을 가며 이정의 그림을 읊다 村行詠李楨畫 ∙ 98
우연히 쓰다 偶書 ∙ 100
오자시 五子詩 ∙ 101
인성 정 홍명 자용 寅城鄭 弘溟 子容 ∙ 101
완산 최 명길 자겸 完山崔 鳴吉 子謙 ∙ 102
덕수 장 유 지국 德水張 維 持國 ∙ 102
금성 박 미 중연 錦城朴 瀰 仲淵 ∙ 103
연성 이 명한 천장 延城李 明漢 天章 ∙ 104
십자편 十子篇 ∙ 105
감회, 자용(子容)에게 부치다 感懷寄子容 ∙ 108
저물녘 영귀문을 나서다 晩出詠歸門 ∙ 110
철산에서 조사를 기다리는 종사 정자용과 이별하다
別鄭從事子容候詔使于鐵山 ∙ 111
임단의 배에서 붓을 놀려 현주(玄洲)에게 보이다
臨湍舟中放筆示玄洲 ∙ 113
감흥 感興 ∙ 114
고의, 잠와(潛窩) 외숙에게 드리다 古意奉贈潛窩舅氏 ∙ 115
두 번째 其二 ∙ 115
세 번째 其三 ∙ 116
해안의 제자에게 주다 贈海眼弟子 ∙ 117
수운정에서 멋대로 읊다 水雲亭漫吟 ∙ 119
풍악산인 쌍흘이 산에 들어가 도를 닦으려 하기에 삼백 자로 회포를 서
술하여 주다 楓岳山人雙仡將入山修道述懷三百言以贈之 ∙ 120
나 안동 만갑 에게 주다 贈羅安東 萬甲 ∙ 123

내 벗 오 학사는 쉰이 되도록 아들이 없고……나는 이에 백도를 슬퍼하고 반랑을 불쌍히 여겨 고풍 한 수를 본떠 짓는다
吾友吳學士五十無子……余乃愴伯道而憐潘郞則效古風一闋以引之 ∙ 125
기옹 정홍명 공 에게 부치다 寄畸翁 鄭公弘溟 ∙ 127
이덕여 석기 가 찾아와 처음 술을 마시며 멋대로 읊다
李德輿來訪試酌亂吟 碩基 ∙ 128
도연명의 〈구일한거〉에 화운하여 직부 이경여 공 에게 주다
和陶九日閑居贈直夫 李公敬輿 ∙ 129
도연명의 시에 화운하여 조지서의 작은 누각에 쓰다
和陶詩題紙署小樓 ∙ 130
두 번째 其二 ∙ 130
바닷가 고을 원님으로 부임하는 심문징 동귀 를 전송하다
送沈文徵宰海縣 東龜 ∙ 132
우연히 도연명의 시를 보다가 느낌이 있어 계곡 장유 공 에게 부치다
偶閱陶詩有感寄谿谷 張公維 ∙ 134
두 번째 其二 ∙ 134
일찍 일어나 느낌을 담다. 도연명의 〈구일〉 시에 차운하다
早起寓感用淵明九日韻 ∙ 136
도연명의 〈귀전원〉 시에 차운하다 和陶歸田園韻 ∙ 137
두 번째 其二 ∙ 138
밤에 기옹의 꿈을 꾸었는데 함께 눈물을 흘렸다. 깨어나니 서글픈 생각
이 들었다 夜夢畸翁與之沾濡覺來悵然有懷 ∙ 139
이 적선(李謫仙)의 〈자극궁〉 시에 차운하다 和李謫仙紫極宮韻 ∙ 140
설현에게 주다 贈雪玄 ∙ 142

이자릉 경엄 의 〈사천장첩〉에 도연명의 시를 차운하다
李子陵斜川莊帖次淵明韻 景嚴 ∙ 143
난리가 끝나고 고향으로 돌아와 일을 적다 亂後歸故山書事 ∙ 145
병중에 기옹의 꿈을 꾸고 붓을 휘둘러 중연에게 문안하다
病中夢畸翁走筆訊仲淵 ∙ 146
병중에 간재(簡齋)의 〈서회기우〉 시에 차운하다
病中次簡齋書懷寄友韻 ∙ 147
두 번째 其二 ∙ 148
세 번째 其三 ∙ 148
네 번째 其四 ∙ 149
다섯 번째 其五 ∙ 149
여섯 번째 其六 ∙ 149
일곱 번째 其七 ∙ 150
여덟 번째 其八 ∙ 150
아홉 번째 其九 ∙ 151
열 번째 其十 ∙ 151
분수점에서 취중에 읊다 分水店醉中口呼 ∙ 153
원통사에서 이 유상 경직, 조 상사 경윤 와 취해 읊다. ‘이’ 자 운을 쓰다
圓通寺與李留相 景稷 趙上舍 錫胤 醉呼用爾字韻 ∙ 155
두 번째 其二 ∙ 156
세 번째 其三 ∙ 157
비로동에 들어가 읊다 入毗盧洞口呼 ∙ 159
사선정의 자리에서 취해 읊다. 태수 이극보(李克甫)에게 주며 아울러
자시(子時)에게 보이다 四仙亭席上醉呼贈李太守克甫兼示子時 ∙ 160
경호의 유람을 기록하다 鏡湖記遊 ∙ 161
두 번째 其二 ∙ 162
산에 살며 일을 적다 山居書事 ∙ 163
두 번째 其二 ∙ 163
세 번째 其三 ∙ 164
네 번째 其四 ∙ 164
다섯 번째 其五 ∙ 165
여섯 번째 其六 ∙ 165
일곱 번째 其七 ∙ 165
여덟 번째 其八 ∙ 166
시골의 흥취 村興 ∙ 167
두 번째 其二 ∙ 167
세 번째 其三 ∙ 168
느낌을 서술하다 感述 ∙ 169
두 번째 其二 ∙ 169
세 번째 其三 ∙ 170
어떤 이에게 부치다 寄人 ∙ 171
자시의 시에 차운하다 次子時韻 ∙ 172
도원에게 화답하다 酬道源 ∙ 174
여름날 산중에서 夏日山中 ∙ 175
두 번째 其二 ∙ 175
세 번째 其三 ∙ 176
네 번째 其四 ∙ 176

칠언고체七言古體
단가행 短歌行 ∙ 177
느낌이 있어 有感 ∙ 178
신을 맞이하는 노래 迎神雜詞 ∙ 179
공자행, 증산 현감 한형보 회일 에게 주다
公子行贈甑山韓太守亨甫 會一 ∙ 181
가을밤의 그리움 秋夜思 ∙ 183
책이 있어 有書 ∙ 184
일본 사신의 선위사로 가는 이자시에게 주다
贈李子時宣慰倭使之行 ∙ 185
눈 내린 뒤 저물녘 풍경 雪後晩眺 ∙ 187
억석행 憶昔行 ∙ 189
민사상 성휘 의 용졸당에 쓰다 題閔士尙用拙堂 聖徽 ∙ 192
사승행 四僧行 ∙ 194
나는 이징의 그림을 얻으려고 견포를 잘라 몇 폭으로 만들었다……내가 마침내 고시 1수를 지어 권한다
余求李澄畫用故絹布裁爲數幅……余遂題古風一首以勖之 ∙ 196
숙직하는 곳에서 취중에 우사마(右司馬) 기옹에게 주고 아울러 이학사 상질 에게 보인다
直廬醉中贈右司馬畸翁兼示李學士 尙質 ∙ 199
서 도사 계조 에게 주다 贈徐都司 啓祚 ∙ 201
금신사 승려의 시권에 쓰다 題金神寺僧卷子 ∙ 203
간성으로 부임하는 유 사군 영 을 전송하다 送柳使君 穎 赴杆城 ∙ 204
종이를 보내준 이동주에게 감사하다 謝李東州惠紙 ∙ 206
청음(淸陰)의 《청평록》에 차운하다 次淸陰淸平錄韻 ∙ 207
익취 황일호 공 에게 주다 寄翼就 黃公一皓 ∙ 208
방선행, 아우 여만 익전 에게 주다 放船行寄舍弟汝萬 翊全 ∙ 210
〈청금정도〉에 쓰다 題聽琴亭圖 ∙ 212
방가, 동주산인의 〈구일풍우가〉에 차운하다
放歌次東州山人九日風雨歌 ∙ 214


낙전당집 제2권
시詩
오언율五言律
중연의 시에 차운하다 次仲淵 ∙ 219
우연히 흥이 일어 偶興 ∙ 221
가을이 되어 秋至 ∙ 222
민옥의 시축에 쓰다 題敏玉軸 ∙ 223
병중에 읊다 病吟 ∙ 224
스스로 마음을 달래다 自遣 ∙ 225
둘째 수 其二 ∙ 225
한적하게 지내며 幽居 ∙ 227
가을날 秋日 ∙ 228
둘째 수 其二 ∙ 228
병중에 읊다 病中 ∙ 230
산방에서 우연히 읊다 山房偶吟 ∙ 231
감회를 적다 記懷 ∙ 232
우연히 쓰다 偶書 ∙ 233
행주에서 쉬다 憩幸州 ∙ 234
밤에 운요사를 지나다 夜過雲腰寺 ∙ 235
감회를 쓰다 感述 ∙ 236
둘째 수 其二 ∙ 236
셋째 수 其三 ∙ 237
사휴의 시에 차운하다 次四休韻 ∙ 238
춘성(春城)에서 읊다 春城吟 ∙ 239
감회를 부치다 寓感 ∙ 240
잠곡(潛谷)을 지나가다 過潛谷 ∙ 241
바람에 뱃길이 막혀 이벽오의 별장에서 묵고 시를 지어 주다
阻風投宿李碧梧別墅贈之 ∙ 242
풍양 지나는 도중에 豐壤途中 ∙ 243
둘째 수 其二 ∙ 243
굴운역 屈雲驛 ∙ 245
중연의 집에서 사이와 이별하고 세상을 떠난 군미를 그리워하다
仲淵席上別士以感念君美之逝 ∙ 246
초연대 지나는 도중에 超然臺途中 ∙ 247
가을날의 회포 秋懷 ∙ 248
무료하여 앞의 시에 첩운하다 無聊疊前韻 ∙ 249
둘째 수 其二 ∙ 249
셋째 수 其三 ∙ 250
넷째 수 其四 ∙ 250
퇴우정 시에 차운하다 退憂亭韻 ∙ 252
군보의 시에 차운하다 次君輔韻 ∙ 253
둘째 수 其二 ∙ 253
셋째 수 其三 ∙ 254
넷째 수 其四 ∙ 254
다섯째 수 其五 ∙ 254
여섯째 수 其六 ∙ 255
일곱째 수 其七 ∙ 256
여덟째 수 其八 ∙ 256
아홉째 수 其九 ∙ 256
열째 수 其十 ∙ 257
열한째 수 其十一 ∙ 257
열두째 수 其十二 ∙ 258
골짜기에서 峽中 ∙ 259
둘째 수 其二 ∙ 259
나그네 회포 客懷 ∙ 260
우천에서 밤에 읊은 시에 차운하다 次牛川夜吟 ∙ 261
군보의 강가 집에 쓰다 題君輔江舍 ∙ 262
그윽한 회포 幽懷 ∙ 263
오랜 비가 그친 뒤에 배를 타고 떠나다 久雨後舟行 ∙ 264
유배지에 있는 둘째 외숙을 뵈러 떠나는 대재 형을 전송하다
送大載兄歸見仲舅謫所 ∙ 265
둘째 수 其二 ∙ 265
남쪽으로 떠나는 자위 형을 전송하다 送子威兄南中之行 ∙ 267
둘째 수 其二 ∙ 267
도봉서원에서 입으로 읊다 道峯書院口呼 ∙ 269
최자겸의 시에 차운하다 和崔子謙韻 ∙ 270
임지로 가는 신 영월 희손 을 전송하다 送辛寧越 喜孫 之任 ∙ 271
공암에 이르러 입으로 읊다 到孔巖口呼 ∙ 273
양천 지나는 도중에 陽川途中 ∙ 274
자겸이 양천의 벽에 쓴 시에 차운하다 次子謙陽川壁上韻 ∙ 275
객지에서 客中 ∙ 276
분진 수령 이대재 형에게 부치다 寄湓津守李兄大載 ∙ 277
강으로 가며 江行 ∙ 278
‘기’ 자 운을 써서 파릉의 서 사군에게 부치다 用期字寄巴陵徐使君 ∙ 279
동엄의 시에 차운하여 적석사 주지에게 주다 次東广韻贈積石寺主 ∙ 280
진일 상인에게 주다 贈眞一上人 ∙ 281
침류루에서 저물녘에 바라보다 枕流樓晩眺 ∙ 282
초당 草堂 ∙ 283
둘째 수 其二 ∙ 283
부질없는 감흥이 일어 漫興 ∙ 284
기천이 죽은 아내를 애도하기에 그를 위해 한 편을 짓다
杞泉悼亡爲賦一章 ∙ 285
흥양 현감으로 부임하는 박중문 의 을 전송하다
送朴仲文赴興陽 漪 ∙ 286
임신년 한식에 성묘하고 배에서 감회를 읊다
壬申寒食省墓舟中感吟 ∙ 287
중양절에 김포 선영에 성묘하고 망해암에 이르러 강화도로 떠나는 계정
에게 주다 重陽省掃金浦墓下到望海庵贈戒淨往江都 ∙ 288
용진 龍津 ∙ 289
스님의 시축에 있는 시에 차운하다 次僧軸韻 ∙ 290
노 양천 수식 이 술을 들고 찾아온 데에 사례하다
謝盧陽川 守植 携酒來訪 ∙ 291
천장에게 부치다 寄天章 ∙ 292
간성 현감 이여고에게 주다 贈杆城守李汝固 ∙ 293
쌍흘에게 주다 贈雙仡 ∙ 294
둘째 수 其二 ∙ 294
이 부솔 순 에 대한 만사 李副率 洵 輓 ∙ 296
4월 5일에 아들 승을 데리고 성묘하고 배에서 일을 적다
四月五日率昪兒掃墳舟中書事 ∙ 297
호남 관찰사로 가는 어떤 이에게 주다 贈人按湖南節 ∙ 298
송천에서 쉬다 憩松川 ∙ 299
초당 草堂 ∙ 300
죽음 조희일 공 에게 부치다 寄竹陰 趙公希逸 ∙ 301
우연히 읊어 강복이 석기 에게 주다 偶吟贈姜復而 碩期 ∙ 302
김제 피금각에 쓰다 題金堤披襟閣 ∙ 303
수락산 폭포를 찾아가다 訪水落瀑布 ∙ 304
졸다 일어나 睡起 ∙ 305
임지로 가는 송 청하 희진 를 전송하다 送宋淸河 希進 之任 ∙ 306
신 영월 희업 의 내상(內喪)에 대한 만사 辛寧越 喜業 內輓 ∙ 307
병중에 읊어서 자겸에게 부치다 病中吟得寄子謙 ∙ 308
둘째 수 其二 ∙ 308
셋째 수 其三 ∙ 309
인견에게 주다 贈印堅 ∙ 310
청음 선생의 《청평록》의 시에 차운하다 次淸陰淸平錄韻 ∙ 311
지천의 시에 차운하여 후상인에게 주다 次遲川韻贈後上人 ∙ 312
이 첨지 권 에 대한 만사 李僉知 勸 挽 ∙ 313
배 안에서 백석 홍무적 의 시에 차운하다 舟中次白石韻 洪茂績 ∙ 315
홍 감사 명구 에 대한 만사 洪監司 命耇 輓 ∙ 316
기옹이 그리워 懷畸翁 ∙ 317
시냇가에서 溪上 ∙ 318
택당의 시에 차운하여 의상의 시축에 쓰다 次澤堂韻書義相軸 ∙ 319
강촌에서 일을 써서 조자장 계원 에게 부치다
江村書事寄趙子長 啓遠 ∙ 320
일가정에서 술 마시며 차운하다 一架亭飮次韻 ∙ 321
동선령을 넘으며 踰洞仙嶺 ∙ 322
감회를 부치다 寓感 ∙ 323
서원에서 새벽에 읊다 書院曉吟 ∙ 324
금수정에서 쉬다 憩金水亭 ∙ 325
둘째 수 其二 ∙ 325
고개를 내려오며 下嶺 ∙ 327
삼장암에서 의영 장로에게 주다 三藏菴贈義瑩長老 ∙ 328
골짜기를 나오며 出洞 ∙ 329
고성의 해산정 高城海山亭 ∙ 330
둘째 수 其二 ∙ 330
간성 도중에 杆城途中 ∙ 332
유사에서 승려 웅상인과 이별하다 別楡寺僧雄上人 ∙ 333
시골에 사는 이런저런 흥취 村居雜興 ∙ 334
둘째 수 其二 ∙ 334
산중의 일을 적다 山中書事 ∙ 335
둘째 수 其二 ∙ 335
셋째 수 其三 ∙ 336
넷째 수 其四 ∙ 336
다섯째 수 其五 ∙ 337
여섯째 수 其六 ∙ 338
일곱째 수 其七 ∙ 338
여덟째 수 其八 ∙ 339
아홉째 수 其九 ∙ 340
족제 이무와 창연정에서 조금 술을 마시다 與族弟李袤小酌蒼然亭 ∙ 341
조정을 하직하며 辭朝 ∙ 342
진위(振威) 지나는 도중에 振威路中 ∙ 343
양근 楊根 ∙ 344
면우령 眠牛嶺 ∙ 345
새집에서 비 내린 뒤에 읊다 新居雨後 ∙ 346
새집에 우연히 쓰다 偶題新居 ∙ 347
둘째 수 其二 ∙ 347
셋째 수 其三 ∙ 348
넷째 수 其四 ∙ 348
지국에 대한 만사 持國挽 ∙ 350
자은에게 주다 贈自隱 ∙ 351
한원부원군의 위로 편지에 사례하다 謝漢原問訊 ∙ 352
창연정에서 사촌 동생 군필과 조카 환과 함께 조촐하게 마시다
蒼然亭與從弟君弼從子㬊小飮 ∙ 353
둘째 수 其二 ∙ 353
정달원 운 에게 부치다 寄鄭達源 沄 ∙ 355
임 감사 담 에게 사례하다 謝林監司 墰 ∙ 356
일찍 일어나 입으로 불러 기록하여 여만에게 보여주다
早起口占錄示汝萬 ∙ 357
계정의 시축에 쓰다 書戒淨軸 ∙ 358
둘째 수 其二 ∙ 358
승려의 시축에 있는 시에 차운하다 次僧軸韻 ∙ 360
학포당에서 기옹을 위해 짓다 學圃堂爲杞翁作 ∙ 361
이일상의 부채에 써서 백주에게 보내다 書李一相扇頭寄示白洲 ∙ 362
김 상국 부인의 이장에 대한 만사 金相國夫人遷葬輓 ∙ 363
이런저런 흥취 雜興 ∙ 364
둘째 수 其二 ∙ 364
현익상인에게 주다 贈玄益上人 ∙ 366
헌사에게 주다 贈憲師 ∙ 367
시축의 시에 차운하여 혜호에게 주다 次軸中韻贈慧浩 ∙ 368
배에서 입으로 부르다 舟中口占 ∙ 369
배를 타고 가다 舟行 ∙ 370
강원도 관찰사로 떠나는 한 감사 흥일 를 전송하다
送韓監司 興一 按關東 ∙ 371
최기남에게 써서 주다 題贈崔奇男 ∙ 372

오언배율五言排律
내가 9월 초하루에 휴가를 얻어 아이들과 함께 천마산과 성거산에 들어가 박연폭포를 구경하고……귀원군이 내게 시를 부탁하였다
余於九月初吉偸暇携兒輩入天磨聖居看朴淵……龜原徼余留題 ∙ 373
비로봉 이십운 毗盧峯二十韻 ∙ 375
청간정에서, 자시가 보낸 시를 읽고서 또 비로봉의 운을 써서 바다를
읊어 보내다 淸澗亭見子時寄詩又用毗盧峯韻賦海却寄 ∙ 378
아들 최의 백운루 시에 차운하다. 오십사운 次最兒白雲樓五十四韻 ∙ 382



낙전당집 제3권
시詩
칠언율七言律
삼가 어제시에 화답하다 奉和聖製 ∙ 393
눈 내린 뒤에 雪後 ∙ 394
무신년 입춘 응제시 戊申立春應製 ∙ 395
7월 그믐에 감회가 일어 七月晦有感 ∙ 396
현주에게 화답하다 和玄洲 ∙ 397
경상도 관찰사로 부임하는 윤 감사 방 을 전송하며
奉送尹監司 昉 出按嶺南 ∙ 398
늦봄에 우연히 쓰다 暮春偶書 ∙ 399
눈 내린 뒤에 읊어서 자장에게 주다 雪後率占贈子長 ∙ 400
봉주의 장원을 방문하다 訪鳳洲莊 ∙ 401
산방에서 시름을 달래다 山房排遣 ∙ 402
두 번째 其二 ∙ 402
세 번째 其三 ∙ 403
네 번째 其四 ∙ 403
바닷가에서 귀양살이 하는 이에게 소식을 묻다 訊海外謫人 ∙ 405
중연이 성 서쪽에 새로 집을 짓고 나서 지은 시에 차운하다
次仲淵城西新宅成有作韻 ∙ 406
두 번째 其二 ∙ 407
연경으로 가는 구원장을 전송하다 送九畹丈赴京 ∙ 409
절로 흥이 일어 지봉선생의 시운에 삼가 차운하다
謾興奉次芝峯先生韻 ∙ 410
춘천에서 나그네 생활하며 동파의 시에 차운하다
春川客中次東坡韻 ∙ 411
정국, 지국, 중연, 군미와 함께 술을 마시다가 밤이 되어서야 끝이 났다. ……다시 깊이 궁구하지 않고 다만 의취만 보일 뿐이었다
同正國持國仲淵君美飮夜罷……不復硏究秪見其致耳 ∙ 412
두 번째 其二 ∙ 413
비가 그쳐 기쁜 마음을 읊으며 임자 운을 쓰다 雨霽喜述用霖字韻 ∙ 414
두 번째 其二 ∙ 414
윤상인에게 주다 贈潤上人 ∙ 416
두 번째 其二 ∙ 417
중연의 시에 차운하다 次仲淵 ∙ 418
태안군으로 부모님을 뵈러 가는 군필에게 주다 贈君弼省覲泰安郡 ∙ 419
시골의 흥취 村興 ∙ 420
두 번째 其二 ∙ 420
세 번째 其三 ∙ 421
네 번째 其四 ∙ 421
배 안에서 입으로 읊조리다 舟中口占 ∙ 423
두 번째 其二 ∙ 423
감회가 일어 읊다 感吟 ∙ 425
나그네 생활의 괴로움을 적다 客中志苦 ∙ 427
두 번째 其二 ∙ 427
가을날 회포를 적다 秋日書懷 ∙ 429
두 번째 其二 ∙ 429
세 번째 其三 ∙ 430
네 번째 其四 ∙ 430
병중에 지어서 중연에게 드리고 아울러 백주에게 보이다
病中錄奉仲淵兼示白洲 ∙ 432
관동으로 은거하러 가는 허유선을 전송하다 送許惟善避地關東 ∙ 433
시골의 흥취 村興 ∙ 434
신유년에 부모님을 모시고 옛 집으로 돌아와 회포를 서술하다
辛酉奉親庭歸故里述懷 ∙ 435
태안으로 부임하는 숙부를 삼가 전송하다 奉送叔父赴泰安 ∙ 436
군보의 시에 차운하다 次君輔韻 ∙ 437
을축년에 벽제에서 조사로 온 태감 왕민정과 호양보를 맞이하여 위로하면서 시를 읊어 도승지 김청음(金淸陰)에게 주다
乙丑以迎慰詔使大監王敏政胡良輔于碧蹄賦寄知申事金淸陰 ∙ 438
교외 장원에서 흥을 읊다 郊莊卽事 ∙ 439
주연에서 차운하여 이 통천 정남 에게 주다
酒席次韻贈李通川 井男 ∙ 440
평안도관찰사 겸 팔도체찰사로 떠나는 윤 백사를 전송하다
送尹白沙按關西兼體察八路 ∙ 441
관해의 시에 화답하다 和觀海韻 ∙ 442
자장에게 주다 贈子長 ∙ 443
흥이 나서 謾吟 ∙ 444
관해가 백주의 시에 차운하고 이별시를 요구하였다. 당시 관해는 전주 부윤에 임명되었는데 부임하지는 못했다
觀海次白洲韻索別語時觀海拜完山尹不克赴 ∙ 445
두 번째 其二 ∙ 446
능 아래에서 집으로 돌아오고 난 뒤로 병이 더욱 깊어졌다. 입으로 율시 한 수를 읊고는 기록하여 장 사구, 박 도위, 이 소재, 정 악경에게 보이다
自陵下歸家病尤劇口占一律錄示張司寇朴都尉李少宰鄭樂卿 ∙ 447
동악의 시에 차운하다 次東嶽韻 ∙ 449
두 번째 其二 ∙ 449
세 번째 其三 ∙ 450
병중에 정 기옹의 시고를 읽고 病中讀鄭畸翁詩稿 ∙ 451
신헐이 그의 스승인 언기의 글을 가지고 찾아오다
神歇持其師彥機書來謁 ∙ 452
종친부 대동연에서 건중의 시에 차운하다 宗親府大同宴次建中韻 ∙ 453
한가함 속에 관해에게 부치다 閑中寄觀海 ∙ 454
우연히 읊다 偶吟 ∙ 455
두 번째 其二 ∙ 455
부질없이 읊다 謾吟 ∙ 457
관해에게 부치다 寄觀海 ∙ 458
관해의 시에 차운하다 次觀海韻 ∙ 459
두 번째 其二 ∙ 459
세 번째 其三 ∙ 460
네 번째 其四 ∙ 460
다섯 번째 其五 ∙ 461
함경도 관찰사 이 명 를 전송하다 送咸鏡李觀察 溟 ∙ 463
한가로이 지내며 심정을 읊어 후포 윤순지 의 시에 차운하다
端居卽事和后圃 尹順之 韻 ∙ 465
관해가 승정원에서 창수한 시를 보여 주기에 차운하여 문단의 두 어른인 백주와 쌍계(雙溪)에게 드리다
觀海示以銀臺唱酬之什次韻奉白洲雙溪兩詞伯 ∙ 466
간성 송 사군 희업 에게 주다 贈杆城宋使君 煕業 ∙ 467
연경으로 가는 한 지사 여직 를 전송하다 送韓知事 汝稷 赴京 ∙ 468
지난번 유람을 기록하여 기옹에게 드리고 아울러 중연에게 보이다
記昨遊呈杞翁兼示仲淵 ∙ 469
병으로 배안에 누워 病臥舟中 ∙ 470
강원도 관찰사로 나가는 이 감사 현영 에게 주다
奉贈李監司 顯英 按嶺東 ∙ 471
율곡서원에서 감흥이 있어 읊다 栗谷書院感吟 ∙ 472
궁궐에서 숙직하다가 이자문의 시에 차운하다 禁直次李子文韻 ∙ 473
동주의 시에 차운하다 次東州 ∙ 474
동주의 서호에 배를 띄우고 노닐다는 시에 차운하다
次東州泛遊西湖韻 ∙ 475
두 번째 其二 ∙ 475
동주의 시에 차운하다 次東州韻 ∙ 477
두 번째 其二 ∙ 477
동주의 원림 시에 차운하다 次東州園林韻 ∙ 479
김제 정 사군 기옹의 시에 차운하여 호산 조 태수 창원 에게 주다
次金堤鄭使君畸翁韻寄壺山趙太守 昌遠 ∙ 480
허유선의 정자에 쓰다 題許惟善亭子 ∙ 481
낙락정에서 감회를 적다 樂樂亭書事 ∙ 482
자시에게 주다 贈子時 ∙ 483
못가의 누각에서 우연히 읊다 池閣偶吟 ∙ 484
석실산인 김상헌 의 〈유청평산록〉에 차운하다
和石室山人遊淸平山錄 金尙憲 ∙ 485
규섬에게 주다 贈珪暹 ∙ 487
배 안에서 관해에게 주다 舟中寄觀海 ∙ 488
관해의 시에 차운하여 읍호정에 쓰다 次觀海韻題挹湖亭 ∙ 489
완송루에서 입으로 읊다 玩松樓口呼 ∙ 490
원화동에 쓰다 題元化洞 ∙ 491
만경대에서 자시의 시를 얻고 경솔하게 차운하다
萬景臺得子時什率易次韻 ∙ 492
조계암의 선담에서 관해의 시에 차운하여 송월선사 응상 에게 보이다
曹溪船潭用觀海韻示松月禪師 應祥 ∙ 493
역관에 체류하며 자시의 ‘휴’ 자 운을 써서 짓다
滯寓馹館用子時休字韻 ∙ 494
중양절에 비에 막혀 해산정에서 회포를 쓰다 重陽滯雨海山亭寫懷 ∙ 495
두 번째 其二 ∙ 495
여만을 그리워하며 懷汝萬 ∙ 497
연경으로 가는 승지 김백후를 전송하다 3수 병자년 6월
送金承旨伯厚赴燕京 三首 丙子六月 ∙ 498
두 번째 其二 ∙ 499
세 번째 其三 ∙ 500
총관에 제수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다시 상소하여 해직을 청하였다. 또 휴가를 얻어 병을 요양하기를 청하였는데, 윤허를 받고서 드디어 대궐로 나아가 사은하고 돌아갈 것을 아뢰고 짓다
聞授摠管再疏乞解且乞優暇養病蒙恩準許遂詣闕謝恩告歸有作 ∙ 501
난리 뒤에 창연정에 오르니 여전히 자시의 시가 있어 감회를 서술하다
亂後登蒼然亭尙有子時題什感述 ∙ 502
남파의 시에 차운하다 次南坡韻 ∙ 503
승려 충신에게 주다 贈僧沖信 ∙ 504
후균이 금강산에서 찾아 왔기에 시를 지어 주다
後均自金剛來訪詩以贈之 ∙ 505
사근원에 이르러 갑자년에 호종했던 옛 일이 떠올라 감회를 쓰다
到沙斤院憶甲子扈從舊事感書 ∙ 506
독성을 지나다가 감회가 일어 過禿城有感 ∙ 507
한사영의 시에 차운하다 次韓士英韻 ∙ 508
능허각에서 달을 기다리며 凌虛閣待月 ∙ 509
홍양 사군 민응형 에게 주다 贈洪陽使君 閔應亨 ∙ 510
감회가 일어 感懷 ∙ 511
벽에 있는 시에 차운하다 次壁上韻 ∙ 512
회포를 쓰다 書懷 ∙ 513
눈 내린 뒤에 雪後 ∙ 514
산에 거처하는 일상을 쓰다 8수 山居書事 八首 ∙ 515
두 번째 其二 ∙ 515
세 번째 其三 ∙ 516
네 번째 其四 ∙ 516
다섯 번째 其五 ∙ 517
여섯 번째 其六 ∙ 517
일곱 번째 其七 ∙ 518
여덟 번째 其八 ∙ 518
새 집에서 저물녘에 돌아오다 自新居暮歸 ∙ 519
이사를 하고 나서 移居 ∙ 520
두 번째 其二 ∙ 520
새집에서 新居 ∙ 522
두와 斗窩 ∙ 523
동주의 시에 차운하다 次東州韻 ∙ 524
부임지로 가는 강릉 김 사군 상 에게 주다 贈江陵金使君 尙 之任 ∙ 525
이 정 후기 의 수연에서 입으로 읊다 李正壽席口占 厚基 ∙ 526
어떤 이에게 주다 寄人 ∙ 527
가을을 느끼며 感秋 ∙ 528
배를 띄우고 泛舟 ∙ 529
차운하여 바로 허조대 정석 에게 보내다 次韻却寄許措大 廷奭 ∙ 530
두 번째 其二 ∙ 530
이른 봄 상유(上游)에 배를 띄우고 옛 일을 회상하다
早春泛上游懷舊 ∙ 532
덕연에 새집을 짓고 德淵新屋成 ∙ 533
낙천의 시에 차운하다 次樂天韻 ∙ 534
중양절에 홀로 청백당에 앉아 회포를 적어 멀리 동주에게 보내다
重陽獨坐靑白堂書懷遠寄東州 ∙ 535
수북옹 김광현 이 청주 목사가 되어 청백당에서 만나기로 약속하였다……병중에 칠언 사율을 읊어 이별의 말을 대신하였다
水北翁牧西原期會於靑白堂……病吟四律充別語 金光炫 ∙ 536
무료함을 보내며 遣聊 ∙ 537
두 번째 其二 ∙ 537
비속에 여만에게 주다 雨中寄汝萬 ∙ 539
여만이 약속 날에 오지 않다 汝萬有約不至 ∙ 540
앞의 시에 첩운하여 남파 상국에게 답하다 疊前韻酬南坡相 ∙ 541
두 번째 其二 ∙ 541
세 번째 其三 ∙ 542
동주의 시에 차운하다 次東州韻 ∙ 544
두 번째 其二 ∙ 544
봉림대군에게 올리다 上鳳林大君 ∙ 546
차운시를 덧붙이다 附次韻 ∙ 547
이른 봄에 흥을 달래다 早春遣興 ∙ 549
두 번째 其二 ∙ 549
세 번째 其三 ∙ 550
한가하게 살며 감흥이 일어 閑居漫興 ∙ 551
두 번째 其二 ∙ 551
세 번째 其三 ∙ 552
허생 정석의 집에서 취해서 짓다 許生廷奭家醉題 ∙ 553
봉림대군에게 올리다 呈鳳林大君 ∙ 554
일본 관백이 죽은 관백인 가강을 위해 일광산에 큰 사찰을 건립하고……임금이 “일광정계 창효도장” 여덟 글자를 비단에 써서 하사하였다
日本關伯爲其先關伯家康刱大刹於日光山……上書日光淨界彰孝道場八字
于綃以賜之 ∙ 556
천장의 시에 차운하여 왕림해 준 것에 대해 고마움을 표하다
次天章韻謝枉訪 ∙ 558
전관교 위에서 여러 공들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갑자기 이조 판서가 정청(政廳)에 들어갔다고 알려 왔고, 여러 공들 역시 모두 공무가 있다고 하기에 말 위에서 입으로 읊다
箭串橋上遲諸公俄報吏判坐政諸公亦皆有公事云馬上口占 ∙ 559
서 청풍 정리 이 찾아왔기에 시를 지어 감사를 표하다
徐淸風 貞履 來訪詩以謝之 ∙ 560
침상에서 입으로 읊어 천장형제에게 주다 枕上口占寄天章兄弟 ∙ 561
직부의 시에 차운하다 次直夫韻 ∙ 562
두 번째 其二 ∙ 563
민 석성 진량 이 방문해 준 것에 감사하며 謝閔石城 晉亮 來訪 ∙ 564
부임지로 가는 여 양양 이징 을 이별하며 贈別呂襄陽 爾徵 之任 ∙ 565
기옹에게 부치다 寄畸翁 ∙ 566
남원 수령으로 부임하는 임 동야를 전송하며 送林東野宰南原 ∙ 567
달성위에 대한 만사 達城尉輓 ∙ 568
상운역으로 부임하는 이 찰방 상검 에게 주다
贈李察訪 尙儉 赴祥雲 ∙ 569

저자소개

신익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관은 평산, 자는 군석, 호는 낙전당, 동회거사이다. 문집 <낙전당집> 및 <낙전당귀전록> 등의 저술이 있다.
펼치기
장유승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일일공부》, 《쓰레기 고서들의 반란》, 《조선잡사》(공저), 《하루한시》(공저), 《동아시아의 문헌교류》(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서경시화 : 평양의 시와 인물들》, 《동국세시기》, 《한국산문선》(공역) 등이 있다. 《쓰레기 고서들의 반란》으로 한국출판문화상 편집상, 《동아시아의 문헌교류》로 한국출판학술상 우수상을 받았다.
펼치기
최예심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7년 충북 제천 출생.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연수부 및 상임연구부를 졸업하였다. 민족문화추진회를 거쳐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표점 교감 및 '승정원일기'(공역) 등을 번역하였다.
펼치기
이승용 (옮긴이)    정보 더보기
嶺南大學校 漢文敎育科 卒業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漢文學科 碩士, 博士 韓國古典飜譯院 專門課程 修了 檀國大學校 東洋學硏究院 古典飜譯硏究室 先任硏究員(現) 論文및 譯書 <조선후기 江華學派漢詩硏究- 全州李氏德泉君派八匡을 중심으로> 共譯 ≪譯註 貞觀政要集論≫ ≪國譯通鑑節要增損校註Ⅰ≫ ≪自著實紀≫ ≪樂全 堂集≫ ≪寒溪日記≫ ≪晝永編≫ 등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