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91187822585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21-05-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론
제1장 21세기 군사혁신
1. 21세기 군사혁신의 태동과 발전
(1) 21세기 군사혁신의 태동
(2) 군사혁신 개념의 발전
2. 군사혁신의 정의
3. 군사혁신의 구성요소
(1) 새로운 군사체계의 개발
(2) 새로운 운용교리의 발전
(3) 조직의 편성
4. 평가
(1) 21세기 군사혁신의 특징
(2) 21세기 군사혁신의 한계
제2장 한국의 군사혁신 궤적
1. 한국적 군사혁신의 태동
(1) 한국적 군사혁신의 비전과 방책
(2) 한국적 군사혁신과 국방개혁의 관계 …
2. 역대정부의 군사혁신 추진
(1) 노무현 정부
(2) 이명박 정부
(3) 박근혜 정부
(4) 문재인 정부
3. 평가
제3장 한국적 군사혁신의 대안모색
1. 선행연구 검토
(1) 군사혁신 관련 선행연구
(2) 국방개혁 관련 선행연구
2. 군사혁신의 결정요인 도출을 위한 이론적 논의
(1) 군사혁신의 결정요인 도출
(2) 군사혁신의 결정요인에 대한 이론적 검토
3. 대안적 접근의 모색
(1) 군사혁신 성공사례 선정
(2) 분석의 틀
제4장 미국의 군사혁신 성공사례 분석
1. 미군의 베트남 전쟁 이후 군사혁신 노력
(1) 제1단계 베트남 전쟁 직후 미군의 군사혁신
(2) 제2단계 제2차 상쇄전략의 추진과 합동성 강화
2. 걸프 전쟁에서 나타난 미군의 군사혁신…
(1) 걸프 전쟁 경과
(2) 걸프 전쟁에서 나타난 미군의 군사혁신 결과
3. 미군의 군사혁신 성공요인 분석
(1) 군 지도분의 위기의식(감)
(2) 우수한 과학기술을 핵심역량으로 활용
(3) 군 지도부의 변혁적 리더십
제5장 독일의 군사혁신 성공사례 분석
1. 독일군의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군사혁신 노력
(1) 제1단계 젝트 장군의 독일군 재창설
(2) 제2단계 독일군의 재무장과 ‘전격전’ 교리의 발전
2. 프랑스 전역에서 나타난 독일군의 군사혁신
(1) 프랑스 전역 경과
(2) 프랑스 전역에서 나타난 독일군의 군사혁신 결과
3. 독일군의 군사혁신 성공요인 분석
(1) 군 지도부의 위기의식(감)
(2) 전문군사교육제도를 핵심역량으로 활용
(3) 군 지도부의 변혁적 리더십
제6장 이스라엘의 군사혁신 성공사례 분석
1. 이스라엘군의 제1차 중동 전쟁 이후 군사혁신 노력
(1) 제1단계 독립 전쟁 이후 국방체제 구축
(2) 제2단계 수에즈 전쟁 이후이스라엘군의 성장
2. 제3차 중동 전쟁에서 나타난 이스라엘군의 군사혁신
(1) 제3차 중동 전쟁 경과
(2) 제3차 중동 전쟁에서 나타난 이스라엘군의 군사혁신 결과
3. 이스라엘군의 군사혁신 성공요인 분석
(1) 군 지도부의 위기의식(감)
(2) 시오니즘을 핵심역량으로 활용
(3) 군 지도부의 변혁적 리더십
제7장 주요국가의 군사혁신 성공요인 논의
1. 국가별 성공요인 논의
(1) 국가별 성공 요인
(2) 성공요인 비교 분석
2. 결정요인별 성공요인 논의
(1) 군 지도부의 위기의식(감)
(2) 국가 또는 군차원의 핵심역량
(3) 군 지도부의 변혁적 리더십
3. 종합 논의 및 평가
4. 소결론
제8장 한국의 미래 군사혁신 방향
1. 군사혁신의 결정요인을 적용한 분석
(1) 군 지도부의 위기의식(감)
(2) 국가 또는 군차원의 핵심역량
(3) 군 지도부의 변혁적 리더십
2. 한국의 군사혁신 방향
(1) 위기의식(감)의 활용
(2) 우수한 과학기술을 핵심역량으로 활용
(3) 군 지도부의 변혁적 리더십 발휘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국방개혁 중에서 군사혁신 개념을 적용하여 추진하고 있는 ‘현대전 양상에 부합된 군 구조 및 전력체계 구축’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였다. 특히 군사혁신 성공의 3가지 구성요소(①새로운 군사체계의 개발, ②새로운 운용교리의 발전, ③조직의 편성)가 ‘현대전 양상에 부합된 군 구조 및 전력체계 구축’의 부진 현상을 효과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것에 착안하여 군사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상위의 전략적 결정요인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군사혁신의 전략적 결정요인을 도출하고, 미국, 독일, 이스라엘의 군사혁신 성공사례 분석을 통해 결정요인을 검증하고 일반화하였다. 이어서 검증된 결정요인을 활용하여 한국의 군사혁신 추진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이 지향해야할 군사혁신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군사혁신과 관련된 국내 기존 연구의 대부분은 미국 등 선진국이 경험한 과학기술중심의 군사혁신에 대한 소개와 한국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정책제안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는 군사혁신 성공의 3가지 구성요소를 수용하며 이러한 요소들을 조화롭게 발전시켜 군사혁신을 달성하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은 군사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상위의 전략적 결정요인을 새롭게 도출한 점과 지금까지 한국의 군사혁신 궤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한국적 군사혁신이 지향해야할 방향을 제시한 측면에서 차별화된다. 또한 논의를 위한 이론적 논거로 경영혁신이론을 활용하였다. “역사적으로 인류가 전쟁을 수행하는 방식은 일하는 방식을 반영하여 왔다.”는 토플러의 주장처럼 ‘전쟁의 방식’과 ‘삶의 방식’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므로 경영혁신이론의 활용은 군사학 연구를 풍부하게 하고, 군사혁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을 중심으로 21세기 군사혁신 담론이 형성된 배경에는 세계적 석학들의 미래에 대한 통찰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