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미동맹 : 자유 민주 번영의 가치동맹을 위하여

한미동맹 : 자유 민주 번영의 가치동맹을 위하여

남성욱, 제성호, 정연봉, 이미숙, 김형진 (지은이)
박영사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000원 -0% 0원
780원
25,2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6,000원 -10% 1300원 22,100원 >

책 이미지

한미동맹 : 자유 민주 번영의 가치동맹을 위하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미동맹 : 자유 민주 번영의 가치동맹을 위하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학
· ISBN : 9791130321080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5-01-05

책 소개

한국과 미국은 자유민주주의, 법치, 인권, 시장경제 등 핵심 가치를 함께 수호하는 ‘가치동맹’으로서 함께 발전해 왔다. 한미동맹의 역할과 기능은 북핵, 팬데믹, 교역질서 변화, 기후 위기 등 글로벌 복합 위기 속에서 더욱 확장되고 있다.

목차

제1장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의 과거, 현재 및 미래 [남성욱] 2
Ⅰ  이승만 대통령의 국제정세 인식.....................................................................4
1. 한반도의 세력 불균형............................................................................... 5
2. 이승만의 결기와 혜안............................................................................... 7
3. 6·25전쟁은 의지를 시험한 전쟁.............................................................. 9
4. 한미상호방위조약은 신(神)의 한수......................................................... 10
5. 당연한 동맹은 없다 ................................................................................ 12
Ⅱ  정전협정의 현재 ........................................................................................... 13
Ⅲ  정전협정의 미래 .......................................................................................... 16
1. 캠프 데이비드 정신, 원칙과 협의에 대한 공약 ....................................... 17
2. 한미상호방위조약은 캠프 데이비드 공약으로 진화 발전........................ 20
참고문헌 ................................................................................................................. 21

제2장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의 외교적 함의와 평가 [제성호] 22
Ⅰ  서언................................................................................................................ 24
Ⅱ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체결 배경 및 경위..................................................... 25
Ⅲ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의 국제법적  〮외교적 함의와 파급영향...............
1. 한미군사동맹의 조약화........................................................................... 29
2. 냉전시대 자유진영에의 편입: ‘자유와 시장’이란 ‘가치의 공유’ .............. 31
3. 공산권과의 관계에서 할슈타인 원칙의 수용〮실천 ................................. 32
4. 북중 동맹관계를 견제하는 외교〮군사적 대응 메커니즘 ......................... 34
5. 한미상호방위조약과 한미동맹관계의 외교적 파급영향 ......................... 36
Ⅳ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종합 평가: 생동하는 기능과 미래 역할 .................. 38
1. 미국을 지구상에서 유일한 동맹국으로 수용........................................... 38
2. 동북아 평화의 안전판이자 한국 외교의 기본 축 형성 ............................ 40
3. 전방위적 협력의 단초 제공 및 21세기
글로벌 전략동맹으로 진화 촉진 ............................................................ 41
4. 통일과정에서 북한의 변화 견인 가능성.................................................. 42
Ⅴ  결론................................................................................................................ 43
참고문헌 ................................................................................................................. 46

제3장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이후 한반도 안보 [정연봉] 50
Ⅰ  서론................................................................................................................ 52
Ⅱ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53
1. 정전협정과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53
2.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주요 내용............................................................... 56
Ⅲ  한미동맹의 제도화........................................................................................ 58
1. 미군 주둔의 제도화 ................................................................................ 58
2. 연합지휘체제의 제도화........................................................................... 64
3. 연합방위태세의 제도화........................................................................... 68
4. 대북 핵 억제력의 제도화 ........................................................................ 71
Ⅳ  한미동맹이 한반도 안보에 미친 영향......................................................... 72
1. 북한의 국가목표 달성 거부 및 한국 방위 ............................................... 72
2.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 75
3. 한국군 전력증강 및 현대화 견인 ............................................................ 76
4. 한국군의 편성, 교리, 교육훈련 발전에 기여........................................... 78
5. 역내 다자안보협력 촉진 ......................................................................... 79
Ⅴ  결론................................................................................................................ 81
참고문헌 ................................................................................................................. 83

제4장
한미동맹-한국의 기적을 이끈 동력 [이미숙] 84
Ⅰ  한국의 기적을 만든 한미동맹 ................................................................... 86
Ⅱ  조선책략에서 캠프 데이비드까지............................................................... 88
Ⅲ  문재인 정부의 동맹중독론........................................................................... 93
Ⅳ  우크라이나 전쟁이 일깨워준 동맹의 중요성 ............................................ 98
Ⅴ  제임스 매티스의 동맹론.............................................................................101
참고문헌 ...............................................................................................................104
제5장
가치동맹을 위한 한미동맹의 현재와
미래 발전 방향 [김형진] 106
Ⅰ  한미동맹의 현재 .........................................................................................108
1. 윤 대통령 방미를 계기로 돌아본 한미동맹........................................... 108
2. 한미동맹에 대한 인식........................................................................... 110
3.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112
Ⅱ  역대 대통령의 미국 의회 연설 ..................................................................114
1. 의회 연설의 의미.................................................................................. 114
2. 이승만 대통령 연설(영어, 1954.7.28.)................................................. 115
3. 노태우 대통령 연설(영어, 1989.10.18.) .............................................. 116
4. 김영삼 대통령 연설(한국어, 1995.7.26.)............................................. 116
5. 김대중 대통령 연설(영어, 1998.6.10.)................................................. 117
6. 이명박 대통령 연설(영어, 2011.10.13.) .............................................. 117
7. 박근혜 대통령 연설(영어, 2013.5.7.)................................................... 118
8. 윤석열 대통령 연설(영어, 2023.4.27.)................................................. 118
9. 한국 대통령의 미국 의회 연설이 보여주는 이야기............................... 119
Ⅲ  최근 3차례 정상회담 공동성명.................................................................120
1. 정상회담 공동성명의 의의.................................................................... 120
2. 정상회담 공동성명 표현의 시사점........................................................ 121
3. 한미동맹 표현....................................................................................... 124
4. 대북정책 공조 표현 .............................................................................. 124
5. 인태 협력 표현...................................................................................... 125
6. 경제·기후 문제 등 협력 표현 ............................................................... 126
7. 공동성명이 보여주는 변화.................................................................... 127
Ⅳ  향후의 협력 과제 ........................................................................................128
1. 변곡점에 선 세계.................................................................................. 128
2. 한반도 주변 리스크 대응 관련 한미 간 공조......................................... 129
Ⅴ  결론..............................................................................................................132
참고문헌 ...............................................................................................................135

제6장
한미동맹과 핵무장 [남성욱] 136
Ⅰ  우크라이나 전쟁과 푸틴의 핵 위협...........................................................138
1. 김일성, 미국의 핵 공격 공포에 핵 개발 박차........................................ 138
2. ‘북한판 핵 독트린’ 선언과 비핵화 폐기 ................................................ 141
3. 제재할 것인가 인정할 것인가, 국제사회 딜레마................................... 142
Ⅱ  핵이 가져온 전력 불균형 ...........................................................................144
1. 남북한 군사력 비교 .............................................................................. 144
2. 한미 확장억제 전략의 유용성과 한계 ................................................... 145
3. 북러 군사동맹 부활의 함의................................................................... 148
Ⅲ  핵무장 담론 .................................................................................................152
1. 시몬 페레스(Shimon Peres)의 핵 모호성 전략................................... 152
2. 북핵 억제와 핵균형 전략 ...................................................................... 153
Ⅳ  결론..............................................................................................................155
참고문헌 ...............................................................................................................157
부록 .......................................................................................................................164
색인 .......................................................................................................................306


저자소개

남성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미주리주립대학교(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에서 응용경제학 박사학위를 받고 2002년부터 고려대학교 통일외교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2024년부터 서울장학재단 이사장직을 맡고 있으며 2025년 숙명여대 석좌교수로 임명되었다. 주요 이력으로는 고려대학교 통일융합연구원장(2022~2024), 고려대학교 행정전문대학원장(2016~2021),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북한 연구센터장(2014~2019), 통일부 통일미래기획위원회 정치군사분과 위원장(2022~현재), 통일부 산하 사단법인 남북경제연구원 원장(2004~현재), 국방부 정책자문위원(2014~현재), 국가교육위원회 전문위원(2023~현재), 서울특별시 평화통일기반조성위원회 위원장(2021~현재), 보다나은미래를위한 반기문재단 이사(2019~현재), 경기도교육청 남북교육교류협력위원회 위원(2022~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2012~2013, 차관급),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원장(2008~2012, 차관급), 통일부 남북관계발전위원회 위원(2017~2018), 통일부 정책자문위원(2003~2007, 2017~2019), 법무부 법무연수원 통일관계 자문교수(2014~2017), 농림부 정책자문위원(2004~2007), 기상청 남북관계 자문위원(2007~현재), 개성공단관리위원회 자문위원(2005~2007), 서울특별시 정책자문위원(2003~2011), 경기도 남북관계 자문위원(2006~2015), 한국관광공사 남북관계 자문위원(2005~2018), 대통령 직속 국가브랜드위원회 자문위원(2012~2014), NSC 정책자문위원(2003~2005), 중소기업중앙회 통일경제위원회 공동위원장(2014~2018), 남북경제연합회 부회장(2002~2007), LH공사 남북관계 자문위원(2003~2007), KBS 북한문제 객원해설위원(2005~2023), CBS 북한문제 객원해설위원(2005~2011), 조선일보 한반도워치 오피니언 필자(2021~현재), 한국일보 오피니언 필자(2022~현재), 문화일보 오피니언 필자(2002~현재), 서울경제 오피니언 필자(2017~현재), 월간중앙 평양 리포트 필자(2018~현재), 아모레퍼시픽 장학재단 감사(2004~현재), 한국북방학회 고문(2007~현재), 한국북방학회 회장(2004~2006), 북한연구학회 부회장(2007~2012), 한국학술진흥재단 남북위원회 자문위원(2005~2013), 북한경제 전문가 100인 포럼 이사(2004~2007), 동북아경제학회 총무이사(2005~2006), 통일농수산포럼 연구이사(2002~2007), 북한농업연구회 이사(2002~2007), 북한경제포럼 연구이사(2002~2005), 북한연구학회 총무이사(2002~2004)를 역임했다. 주요 연구실적으로는 저서로 『한미동맹: 자유 · 민주 · 번영의 가치동맹을 위하여』(공저, 2025), 『통일미래학 개론』(공저, 2024), 『한반도 그린데탕트와 남북한 협력 방안』(공저, 2024), 『북한의 국내외 북한 통계 진단과 품질 개선 방안』(공저, 2024), 『김정은 시대 북한의 표준 · 규격화(KPS) 정책과 남북한 통합방안』(공저, 2024), 『북한 보건의료 연구와 교류 협력: 북한 학술지를 통한 보건의료 연구와 창의적 교류 협력』(공저, 2023), 『김정은의 핵과 경제』(2022), 『4차 산업혁명 시대 북한의 ICT 발전과 강성대국』(2021), Mysterious Pyoungyang: Cosmetics, Beauty Culture and North Korea(공저, 2020), North Korean Nuclear Weapon and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2019), South Korea’s 70 years for Diplomacy, National Defense and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공저, 2018), 『북한 여성과 코스메틱』(공저, 2017), 『현대 북한의 식량난과 협동농장 개혁(개정판)』(2016), 『한국의 외교 안보와 통일 70년: 1945~2015』(공저, 2015), 『개방과 폐쇄의 딜레마, 북한의 이중적 경제: 북한의 경제』(공저, 2012), 『한반도 상생 프로젝트: 비핵 · 개방 3000 구상』(공저, 2009), 『7 · 1 경제관리개선 조치 이후 북한경제와 사회: 계획에서 시장으로』(공저, 2007), 『북한 급변 사태와 우리의 대응』(2007, 공저), Contemporary Food Shortage of North Korea and Reform of Collective Farm(2006), 『현대 북한경제론: 이론과 실제에 관한 연구』(공저, 2005), 『북한의 체제 전망과 남북경협』(공저, 2003), 『북한경제의 특성과 경제운용 방식』(공저, 2002), 『김일성의 북한: CIA 북한보고서』(공역, 2001) 등이 있으며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남성욱의 다른 책 >
정연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주요경력> 대통령 직속 국방혁신위원회 위원 육군 정책연구위원장 제8군단장 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 제50보병사단장 국방부 정책실 정책기획차장/국제정책차장 <학력> 경남대학교 정치학 박사 U. S. Army War College 전략학 석사 Troy State University 경영학 석사 육군사관학교 문학사 <저서> 『한국의 군사혁신』(서울: 플래닛미디어, 2021) <논문> “한국군 상부지휘구조 개편의 필요성과 지향점,” 『한국국가전략』 제9권 제1호(2024. 3.) “북한 핵위협 상쇄를 위한 한미의 대응전략,” 『한국국가전략』 제8권 제1호(2023. 4.)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한미의 연합 억제 및 대응 방향,” 『한국국가전략』 제7권 제2호(2022. 7.) “경영혁신 이론으로 본 국방개혁의 방향: 군 구조 및 전력체계 개혁을 중심으로,” 『국방연구』 제64권 제1호(2021. 3.) “베트남전 이후 미국 육군의 군사혁신(RMA)이 한국 육군의 군사혁신에 주는 함의,” 『군사연구』 제147집(2019. 6.) “방산수출 활성화를 위한 국방외교 추진 방안,” 『국방정책연구』 제26권 제2호(2010, 여름) “Strategy on Stilts: The U. S. Response to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Fall 2005.
펼치기
이미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일보 논설위원 前) 문화일보 워싱턴 특파원 前) 문화일보 정치, 국제부 기자 前) 페어리디킨슨대학교(Fairleigh Dickinson University) visiting scholar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 석사
펼치기
김형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가미래전략원 객원연구원 겸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정책위원이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Princeton) 대학교에서 정책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일본 정책연구대학원대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일본 도쿄대학 객원연구원, 와세다대학 초빙연구원으로 수학하였다. 2022년 5월 퇴직할 때까지 38년 넘게 정부에서 근무하며 국가안보실 제2차장, 서울시 국제관계대사, 주벨기에유럽연합 대사, 외교부 차관보, 기획조정실장, 청와대 외교비서관, 북미국장 등을 맡았고 6자회담, 4자회담, KEDO 협상 등에 참여하였다. 미국, 가나, 중국, 벨기에 등에서 근무하였다. 현재는 국내외 대학에서 강연을 진행하며, 국내외 학술지에 다양한 논문을 기고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88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