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87857020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7-06-16
책 소개
목차
introduction_ 전략 패러다임의 전환이 한국 기업의 운명을 결정한다 | 송재용
Part 1. 한국 기업, 전략 패러다임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1장. ‘양적 효율성’ 경쟁에서 ‘상시 창조적 혁신’ 경쟁으로: 21세기 환경과 한국 기업의 전략 패러다임 위기 | 신동엽
2장. 일본 기업, 국내경제의 저성장을 어떻게 극복했는가? | 이형오
Part 2. 성장전략을 재조정하라
1장. 선제적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에 나서라 | 송재용 윤우진
2장. 융합과 조율의 미학: 시너지 창출을 통한 기업가치 극대화 |이지환
3장. 한국 기업의 글로벌전략을 업그레이드하라 |김광수
Part 3. 창조적 혁신으로 돌파하라
1장. 플랫폼 사업에서 승자가 되려면 현대판 봉이 김선달이 되라 | 이제호
2장. 빠른 추격자에서 창조적 리더로: 전략역량의 혁신이 필요하다 | 허문구
3장. 레드오션에서 블루오션으로 | 박경민
Part 4. 지속가능경영 시스템을 구축하라
1장. CSR을 넘어 SDG로, 기업 지속가능성을 높여라! | 이재혁
2장. 능동적 이사회로 경쟁력을 강화하라 | 박종훈 김봉진
3장. 유니콘 벤처, 어떻게 만들 것인가? | 이병헌
conclusion_ 한국 기업, 전략 패러다임 대전환으로 글로벌 초일류로 도약하라 | 송재용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 기업들이 당면한 경쟁력 위기는 경기 사이클에 따른 일시적 부침이 아니라 한국 경제 전체의 몰락까지 가능한 심각한 생존위기라는 데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다. 위기가 발생하고 있는 영역도 특정 한 분야나 산업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주요 영역들에서 위기가 동시에 발생하고 있는 소위 ‘퍼펙트 스톰’ 위기라고까지 한다. OECD도 최근 회원국들의 중장기 경쟁력에 대한 진단과 예측에서 2030년경에는 우리나라 경제가 전체 OECD 회원국들 중 단연 최하위로 몰락할 것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현재 한국 경제와 기업들이 심각한 위기상황을 맞고 있다는 데는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된 것 같다.
(p31 ‘양적 효율성 경쟁에서 상시 창조적 혁신 경쟁으로’ 중에서)
많은 사람들은 애플 페이 결제를 위해 애플이 스마트폰에 처음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탑재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삼성전자가 2011년부터 갤럭시S 시리즈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줄곧 탑재하였고, 관련 부품업체들에게 투자를 독려하여 적정한 비용에 해당 기능의 상용화를 가능하도록 만든 장본인이다. 안타깝게도 갤럭시S를 쓰는 사용자조차 이런 기능이 있었는지 잘 모른다. 이것이 바로 삼성전자 플랫폼 전략의 문제점이다. 경쟁사보다 먼저 새로운 기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상용화를 가능하게 하였으나 플랫폼 전략이 한 수 위인 애플이 그 공을 가로채버렸다.
(p195 ‘플랫폼 사업에서 승자가 되려면 현대판 봉이 김선달이 되라’ 중에서)
1960년 세계 최빈국이었던 한국은 2005년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으로 눈부시게 성장했다. 그 배경에는 산업과 기업의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 전략이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10여 년간 GDP는 10위권 이하를 맴돌고, 1인당 국민소득(GNI)도 11년째 3만 달러를 넘지 못하고 있다. 주력산업의 경쟁력도 하락하고 있다. 한때 성장의 견인차였던 조선, 해운, 철강, 건설 등은 구조조정이 진행 중이다. 더구나 4차 산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산업구조 변화에도 대응이 늦어지고 있어, ‘4차 산업혁명, 한국은 없다’는 말까지 나온다. 주력산업의 부진을 대체할 산업, 기업을 찾기 어렵다.
이러한 현상의 근본 원인은 경기침체와 같은 외부적 요인이 아니라, 우리 산업과 기업이 당면한 구조적 요인에 기인한다. 즉 선진국을 빨리 쫓아가는 ‘모방추격형 산업발전 모델’의 한계다.
(p201-202 ‘빠른 추격자에서 창조적 리더로: 전략역량의 혁신이 필요하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