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사
· ISBN : 9791187890621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4-10-10
목차
책머리에
1장 한국 근대미술의 장을 열다
나혜석_ 자화상, 멜랑콜리를 넘어
백남순_ 낙원, 그리고 ‘신여성’의 꿈
정찬영_ 규수가 아닌 ‘화가’가 된다는 것
박래현_ 전통을 넘어선 서정의 미학
천경자_ 치열했던 저항의 삶과 예술
심죽자_ 정물과 풍경 사이의 꽃 그림
김정자_ 디자인에서 판화까지, 전방위적 예술가
신금례_ 자연, 그 모성적 은유의 세계를 탐색하다
박인경_ 자연을 품은 담담한 수묵추상화
2장 회화와 조각의 현대성을 추구하다
이성자_ 대지와 우주로 이어지는 유목적 여정
나희균_ 나 홀로 고요의 빛을 탐구하다
이수재_ 동양적 감수성으로 물든 서정적 추상 풍경화
방혜자_ 자연에 근간한 모성적 아우름의 미학
이신자_ 씨실과 날실로 새기는 삶의 매듭
성옥희_ 아르카디아를 향한 태피스트리
김정숙_ 한국 현대 조각으로의 비상(飛上)
윤영자_ 모성으로 빚은 생명주의 조각
김윤신_ 추상조각이 만들어낸 생명의 리듬
강은엽_ 상호 의존적인 존재의 울림
임송자_ 조각이 묘사해낸 현대인의 실존적 초상
김혜원_ 조각으로 탐구한 여성 신체의 가능성
3장 추상회화를 실험하다
석란희_ 자연과 인간이 공명하는 세계
최욱경_ 시대적 과제에 응전한 추상표현주의자
조문자_ 척박한 광야에서 예술혼을 꽃피우다
양광자_ 그의 붓이 닿을 행선지는 무한하다
심경자_ 가르마, 포용과 화해로 살아감의 모양
전준자_ 기운생동하는 회화의 축제
홍정희_ 나와 세계의 경계에 선 따뜻한 추상
차우희_ 노마드적 삶, 예술을 위한 항해
노정란_ 심상의 색, 원숙한 아름다움으로 완성되다
김수자_ 바느질로 직조한 일상의 기록
이정지_ 대안적 추상미술의 가능성을 선보이다
이향미_ ‘색’을 화두로 그 경계를 실험하다
진옥선_ 단색화로 그려낸, 답을 찾아가는 여정
4장 한국화의 동시대성을 모색하다
이인실_ 산수화로 그려낸, 멀지 않은 곳의 풍경
문은희_ 먹선에 실린 실존적 고뇌의 자화상
장상의_ 삶이 응축된 기억을 화폭에 담다
이숙자_ 채색화의 정통성을 계승한 한국적 회화
허계_ 소나무로 표현한 한국적 구상회화
원문자_ ‘부드러운 욕망’ 속의 열정
송수련_ 스러지는 것들에 숨결을 불어넣다
차명희_ 선을 통해 공간과 공감을 탐구하다
백순실_ 생의 연가, 자연과 감각의 공명
김보희_ 무위(無爲)의 실험, 색채가 있는 풍경화
오숙환_ 먹으로 그린 투명한 빛과 보이는 바람
신산옥_ 현실에 대한 인식에서 출발한 현대의 수묵
홍순주_ 결과 겹으로 엮어낸 동양적 미학
정종미_ 한국화의 경계를 넘어선 종이와 색채 실험
5장 조각의 영역을 넓히다
정보원_ 다양한 감각을 공간감으로 조형화하다
신옥주_ 외강내유의 역설, 철로 주조한 추상조각
박일순_ 자연에서 출발한 공감의 미학
박상숙_ 환경 속의 인간을 정감 어리게 담아내다
박실_ 존재의 수수께끼를 탐험하는 시간여행
한애규_ 흙으로 빚어낸, 삶을 향한 열망
배형경_ 청동으로 사유하고 청동으로 깨어나다
박소영_ 조각의 개념부터 껍질까지 아우르다
김주현_ “단순하게 복잡한” 구조의 세계
주석
필진 소개
도판 목록
찾아보기_인명
찾아보기_용어
책속에서
깊은 밤 거울 속 자신을 응시하고 있는 나혜석을 상상해본다. 초점을 잃은 망연한 눈빛과 굳게 닫힌 입술을 살핀다. 과연 이 슬픈 눈빛의 우울한 여인이 우리에게 여성 투사로 각인된 바 있는 나혜석이란 말인가. 그러나 다시 생각하니 비명처럼 “여자도 사람이외다!”라고 외치고 “세상의 모든 조소와 질책을 감수하면서 이 십자가를 등지고 묵묵히 나아가”겠다는 다짐을 하기까지 얼마나 깊은 고뇌와 우울의 시간을 보냈겠는가 짐작이 간다.
한국 미술의 현대화 과정 초기에 미술사에 남은 여성 미술가들은 남성과 동등한 조형 어휘를 구사하고 사회적 인정을 얻음으로써 자기실현에 이른 선구자들이다. 이들은 여성주의가 동의의 지평을 확보한 지금보다 훨씬 어려운 조건에서 작업해야 했으므로, ‘전위(前衛)’라는 문자 그대로, 앞서서 투쟁하지 않으면 살아남지 못한다는 것을 통감하고 이를 실행에 옮긴 작가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