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키워드로 읽는 한국 현대미술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91188108770
· 쪽수 : 491쪽
· 출판일 : 2019-02-28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한국미술
· ISBN : 9791188108770
· 쪽수 : 491쪽
· 출판일 : 2019-02-28
책 소개
미술사 연구 공동체 ‘현대미술포럼’이 세 번째로 선보이는 한국 현대미술사 연구서이다. 고정된 가치 체계에 얽매이지 않고 ‘나’와 ‘우리’ 내부의 ‘타자’를 인정하며, 기존 미술사 서술의 전범에 도전하는 대안적인 한국 현대미술사를 지향한다.
목차
책머리에
01 ‘경계’를 넘나들다
신사실파의 추상개념: 기하추상의 주체적 재인식․박장민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의 추상 아카데미즘․권영진
“내가 곧 나의 예술이다”: 경계인 정찬승의 반예술․조수진
02 ‘여성’이 말하다
‘추상표현주의자’ 최욱경 회화의 재해석․오유진
양혜규의 여성적 글쓰기․전유신
나의 몸, 나의 여성성: 한국 젊은 여성작가(1980년대생)와 여성의 신체 이미지․고동연
03 ‘현실’을 이야기하다
제4집단의 퍼포먼스: 범장르적 예술운동의 서막․송윤지
‘현실과 발언’의 사회비판의식․이설희
저항미술에 나타난 열사의 시각적 재현: 최병수와 전진경의 작품을 중심으로․김의연
상상 속 실체, 동시대 미술에 나타난 분단 이미지․정하윤
04 ‘매체’를 확장하다
기계의 인간적 활용: 백남준의 <로봇 K-456>과 비디오 조각 로봇․안경화
김홍석의 협업적 작업: 텍스트 생산으로서의 작업․박은영
포스트 트라우마: 한국 동시대 사진의 눈으로 재구성된 정치사․장보영
한국의 디지털 아트 전시: 증강현실에서 가상공간까지․이지언
05 ‘제도’를 생각하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통한 미술의 대중화: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안혜리
서울시 창작공간 정책 연구: 작가지원과 지역재생의 관계, 금천예술공장을 사례로․현영란
예술의 법정은 어디인가: 미술의 관료제화와 관료제의 폭력․박소현
미술사도 ‘사람’의 일이다․윤난지
참고문헌
필자소개
찾아보기
리뷰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