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나무 입문 1

나무 입문 1

민점호 (지은이)
나미북스(여성신문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나무 입문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나무 입문 1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꽃과 나무
· ISBN : 9791188191062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19-01-25

책 소개

남이섬 나무를 소개하는 책이면서 길이나 공원, 산, 강변 등에서도 마주치는 그 나무를 잘 알 수 있게 하는 책이다. 220여 종의 나무를 소개하는 총 3권의 시리즈 가운데 1권에서는 첫봄 3월 중순부터 4월 중순까지 꽃이 피는 나무 70여 종을 담았다.

목차

<들어가는 말>

<봄을 기다렸다-3월 중순부터 하순까지>
오리나무
메타세쿼이아
산수유
생강나무
매실나무
히어리
비술나무
느릅나무

<잎보다 빠른 꽃-4월 상순>
개나리
미선나무
갯버들
키버들
버드나무
능수버들
미루나무
이태리포플러
현사시나무
백목련
별목련
자주목련
일본잎갈나무
진달래
계수나무
살구나무
앵두나무
복자기
고로쇠나무
자작나무
까치박달
개서어나무
회양목

<꽃 사태가 시작되다-4월 중순>
벚나무
왕벚나무
올벚나무
처진올벚나무
명자나무
단풍나무
당단풍나무
중국단풍
홍단풍
공작단풍
신나무
돌배나무
산돌배나무
문배나무
콩배나무
느티나무
양버즘나무
낙우송
병꽃나무
조팝나무
구상나무
전나무
주목
독일가문비나무
개비자나무
측백나무
서양측백나무
편백
화백
실화백
까마귀밥나무
라일락
줄딸기
황매화
두충
모과나무
박태기나무
자두나무
복사나무
산복사나무
만첩홍도

<찾아보기>

저자소개

민점호 (엮은이)    정보 더보기
지리산 자락 산청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일찍부터 소 먹이러 산을 오르내리고 꼴을 베러 산과 들을 쏘다녔기에 몸으로 느끼고 눈으로 익히고 귀로 들은 나무가 꽤 많았다. 나무를 좋아해 여러 나무 책을 찾아 읽기도 했고,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나와 오랫동안 어른과 어린이 책을 기획하고 편집하면서 나무 책을 만들기도 했다. 나무의 겉뿐 아니라 속까지 알고자 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이 책을 내기 위해 같은 나무를 수없이 찾아가 들여다보고 사진을 찍고 공부하고 글을 쓰면서 알았다. 나무에게도 마음이 있다는 것을, 자신이 동화가 아닌 현실 세계에서 나무와 친구가 되고 싶어 한다는 것을. 그리고 늘 나무에게 감사하며 살려고 한다. 쓴 책으로는 어린이 위인전 ≪성실하게 모든 꿈을 이룬 벤저민 프랭클린≫, 수학 동화 ≪만파식적을 찾아서≫ 등이 있고, 번역한 책으로는 생태 동화 ≪애호랑나비≫, 동화 ≪떡갈나무 호텔≫, 그림책 ≪화장실 로켓≫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매실나무는 매화나무라고도 하며, 옥골玉骨, 빙기옥골氷肌玉骨, 청객淸客, 청우淸友, 일지춘一枝春과 같이 고상한 이름으로도 불린다. 옥골과 빙기옥골은 아름답고 고결한 미인을 말하고, 청객과 청우는 풍류를 아는 깨끗한 손님과 벗을 가리킨다. 일지춘은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한 가지의 봄’이다. 일찍 꽃을 피워 봄을 알리는 매화 또는 매실나무를 뜻하는 이 말은 중국 남북조 시대의 시인 육개陸凱가 친구 범엽范曄에게 보낸 〈범엽에게 주다贈范曄〉라는 시에 나온다. -<매실나무>


712년에 편찬된 일본 역사서 《고사기古事記》에 따르면 버들 세공 기술을 일본에 전해준 사람은 신라 왕자 천일창天日槍이다. 우리 역사서에는 이 인물의 이름이 나오지 않아 정확히 누군지 알 수 없지만 일본에서는 신라 왕자가 버들 세공 기술과 함께 키버들, 즉 고리버들을 전했다고 믿는다. -<키버들>


살구나무 이름은 살구의 옛말 살고에서 유래했는데 그것이 정확히 어떤 뜻을 지녔는지 알려져 있지 않다. 예로부터 전해 내려온 속설처럼 개를 죽인다는 뜻의 살구殺狗에서 비롯되지는 않았다. 그 속설은 사람들이 중국 명나라 때 이시진이 쓴 《본초강목本草綱目》을 잘못 이해한 데 따른 것이다. 본초강목에는 개고기를 먹고 체했을 때 살구를 삶은 물을 마시면 낫는다고 되어 있다. -<살구나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