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수학/과학
· ISBN : 9791188215843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3-03-1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생물학자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1. 새와 더불어 살아가는, 새 박사 김성현
아버지의 엉터리 새 수업
탐조, 새를 만나는 일
국가 간을 이동하는 철새를 연구하는 법
순식간에 사라지는 맹금류 관찰하기
새들에게 휴식과 먹이를 선사하는 섬
새 연구에 필요한 것들
야외 생물학자를 꿈꾸는 10대에게
생물 이야기: 중국의 참새 사냥이 불러온 결과
2. 야생동물학자의 삶, 포유류 박사 조영석
자연과 친구가 되다
야생동물의 왕국, 아프리카에 가다
야생동물 분류학과 생태학이란
우리나라의 수달 지도를 완성하다
포유류 연구에 필요한 것들
야외 생물학자를 꿈꾸는 10대에게
생물 이야기: 캠퍼스 다람쥐의 실종과 보전생물학
3. 『자산어보』의 대를 잇는, 어류 박사 최승호
해양 생물 놀이터, 보길도
다시 쓰는 『자산어보』를 꿈꾸며
세계를 무대로 한 연구 활동
어류 연구에 필요한 것들
야외 생물학자를 꿈꾸는 10대에게
생물 이야기: 생물학자가 바라본 『자산어보』
4.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보호하는, 양서·파충류 박사 이정현
산골 소년의 꿈
고리도롱뇽과 구렁이 생태를 연구하다
땅꾼 잡는 연구자
그곳에 가면 개구리와 뱀이 있다
양서·파충류 연구에 필요한 것들
야외 생물학자를 꿈꾸는 10대에게
생물 이야기: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
5. 물속 또 다른 세상을 탐구하는, 갑각류 박사 정태원
궁금증이 펼쳐 보인 새로운 세상
생물학자를 꿈꾸다
새우와 닮은 듯 다른 옆새우 연구
스쿠버 다이빙으로 만나는 물속 세상
집 떠나면 고생, 그 끝엔 낙이 있다
무척추동물 연구에 필요한 것들
야외 생물학자를 꿈꾸는 10대에게
생물 이야기: 지구 온난화와 무척추동물의 변화
6. 혐오가 아닌 보석 같은 존재, 곤충 박사 노승진
작지만 설렜던 소중한 기억들
주머니나방과(科) 곤충의 모든 것
곤충 분류를 연구하는 법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
곤충을 만나러 가는 길
힘듦을 마다하지 않겠다는 각오
곤충 연구에 필요한 것들
야외 생물학자를 꿈꾸는 10대에게
생물 이야기: 꿀벌 실종 사건과 경고
7. 걸어 다니는 식물도감, 식물 박사 김진석
시골의 생생한 맛
좌절을 딛고 다시 꿈꾸다
너는 왜 여기에 살고 있니?
과거와 미래를 잇는 식물
‘걸어 다니는 식물도감’이 만드는 식물도감
식물 목록 만들기
히어리에게 묻고, 답을 얻다
내 마음속에 저장한 식물 조사지, 송지호
식물학자의 또 하나의 조건, 체력
식물 연구에 필요한 것들
야외 생물학자를 꿈꾸는 10대에게
생물 이야기: 식물의 씨앗 산포, 그들만의 생존 전략
8. 발밑에서 미래를 찾는, 버섯 박사 조종원
버섯이 곰팡이라고?
어린 시절 상상 속의 버섯
송이는 왜 표고보다 비쌀까?
버섯 분류학자가 되고 싶었던 세 가지 이유
버섯을 보려면 어디로 가야 할까?
현미경 속 더 넓은 세계
자신감이 지나쳐 자만심이 되지 않기를
생물의 첫 번째 기록, 신종 발견
캄보디아에서 만난 거머리와의 추억
버섯 연구에 필요한 것들
야외 생물학자를 꿈꾸는 10대에게
생물 이야기: 숲의 파수꾼, 버섯
9. 작지만 강한, 극지미생물 박사 노현주
나의 꿈을 키워 준 ‘CSI 과학수사대’
지의류에 대한 궁금증
극지방에서 살아가는 작지만 강한 지의류
아라온호와 함께한 남극 탐험의 기억
미지의 땅, 한국의 섬들
지의류 연구에 필요한 것들
야외 생물학자를 꿈꾸는 10대에게
생물 이야기: 황사를 막는 지의류
10. 또 다른 생물 분류의 개척자, 유전자 박사 진선덕
닭과의 악연, 새와의 인연
새로운 길이 아닌, 같은 길을 넓혀 주는 유전자 연구
유전자로 현장 연구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다
야생동물 유전체 지도 제작을 꿈꾸며
가장 흥미로웠던 독수리 연구
섬을 즐겨 찾는 이유
유전자 연구에 필요한 것들
야외 생물학자를 꿈꾸는 10대에게
생물 이야기: 항공기 조류 충돌 사고와 DNA 바코드
국·공립 생물 분류·생태 전문 연구 기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새들이 없는 세상은 사람도 살 수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새는 생태계에서 최고 소비자의 위치에 있어 새들이 사라진다는 것은 먹이사슬의 연결 고리가 끊어진다는 걸 의미합니다. 지구상에는 1만 종 이상의 새가 살아가는데 수많은 새가 멸종위기에 놓여 있습니다. 생태계는 서로 관계를 맺고 있어 새가 사라지면 수많은 동식물이 함께 사라지게 됩니다. -본문에서
야생동물을 좋아하는 것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매우 다른 문제입니다. 연구자는 많은 공부를 해야 하고 자신의 전공뿐 아니라 생물학 전반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갖춰야 하지요. 예를 들어, 분류학과 생태학을 연구한다면 생리학, 유전학, 분자생물학을 아우르는 공부가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본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