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88255702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20-10-29
책 소개
목차
※ 본 간추린판에 내용이 없는 부분도 목차에는 포함시켰으며, 이 경우 페이지를 따로 표시하지 않았습니다.
간추린이의 말 - 김선용
40주년 기념판 머리말
40주년 기념판 서문 - 마크 챈시
1977년 저자 머리말
약어표
들어가는 글 3
1절 신약 학계가 이야기하는 바울과 유대교
2절 종교 패턴들의 전체 모습을 비교함
3절 자료
1부 팔레스타인 유대교
I장 탄나임 문헌
1절 랍비 종교를 율법의 행위로 의를 얻는 종교로 보는 끈질긴 견해
2절 랍비 자료 사용
3절 탄나임 문헌의 본질
4절 선택과 언약
5절 순종과 불순종: 보상과 벌
6절 보상과 벌 그리고 장차 올 세상
7절 언약과 속죄의 일원이 됨으로써 얻은 구원
8절 적절한 신앙 행위: zakah와 tsadaq
9절 이방인
10절 종교생활과 체험의 본질
11절 결론
II장 사해사본
1절 들어가는 글
2절 언약과 언약 백성
3절 선택과 예정
4절 계명
5절 성취와 범과(犯過); 죄의 본질; 보상과 벌
6절 속죄
7절 하나님의 의와 인간의 의
8절 신앙생활
9절 결론
III장 외경과 위경
1절 집회서Ben Sirach
2절 에녹1서
3절 희년서
4절 솔로몬의 시편
5절 에스라4서
IV장 팔레스타인 유대교 (기원전 200년-기원후 200년)
결론
2부 바울
V장 바울
1절 들어가는 글
2절 문제를 앞질러가는 해결책
3절 바울의 구원론
4절 율법, 인간의 비참한 곤경, 그리고 그 비참한 곤경과 해결책의 관계
5절 바울이 제시하는 언약적 율법주의
6절 행위에 따른 심판과 은혜로 말미암은 구원
7절 일관성, 연관성 그리고 자료
결론
바울과 팔레스타인 유대교
바울, 헬레니즘 그리고 헬레니즘 시대 유대교
간추린판 부록 1: 유대교와 기독교를 비교함: 내가 걸어온 학자의 길
간추린판 부록 2: 다시 살펴본 언약적 율법주의
An Annotated Bibliography for further study
참고문헌과 색인에 대한 안내
발행인의 말
리뷰
책속에서
신약학 연구자들에게 『바파유』가 끼친 심원한 영향은 말로 다 할 수 없습니다. 필독서라는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책입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전문적 훈련을 받지 않은 이에게는 넘기 어려운 산이기도 합니다. 샌더스가 이 책에서 자신의 논지를 여러 번 반복하기 때문에 그가 말하려는 바를 대략 파악하는 것이 어렵지 않지만, 그가 상당한 분량의 일차 자료를 인용하며 논증을 전개하기 때문에 세부적인 논의를 대할 때 독자는 쉽게 길을 잃을 수 있습니다. 번역본 출간은 무척 감사하고 반가운 일이었는데, 아쉽게도 많은 독자가 이 책을 완독하지 못하거나 읽더라도 중요한 지점을 놓치는 경우를 보았습니다. 전문가도 어렵다고 한 책이니 자연스러운 일이겠지만, 온갖 어려움을 극복한 끝에 나온 이 책이 제대로 읽히지 않는 모습을 보니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_“간추린이의 말”에서
이 40주년 기념판의 하이라이트는 내 논지를 꿰뚫어보면서 명쾌하게 설명해준 마크 챈시〔Mark Chancey〕의 서문〔foreword〕이다. 챈시 교수는 내 저작이 나온 정황과 학계의 내 저작 수용 역사를 제시했을 뿐 아니라, “바울을 바라보는 새 관점〔the new perspective on Paul〕”이라 불리는 견해들과 복잡하게 뒤엉켜 한 덩어리가 되어버렸던 내 저작을 그 덩어리에서 풀어주었다. 그가 쓴 서문은, 바울 연구가 계속되는 한, 아주 큰 도움을 베풀어 줄 중요한 학문 업적이다. _“40주년 기념판 머리말”에서
샌더스는 이전에 그가 학자로 살아오면서 “가장 중요한 교훈”이라 여기는 것을 이렇게 밝혔다: “여러분이 원전을 연구하면 여러분 자신이 배우는 것을 실제로 알게 된다”〔You really know what you learn for yourself by studying original sources〕. 물론 그가 언급한 것은 고대 텍스트를 꼼꼼히 분석하라는 말이었다. 그러나 그가 말한 취지는 학자들의 고전 연구에도 역시 타당하다. 수많은 책과 논문이 샌더스의 여러 기여를 요약하고, 그가 제시한 논리의 흐름을 바꾸거나 더 발전시키며, 그의 주해 방향에 맞서 반론을 제기하기도 하고, 바울과 유대교에 관한 다른 해석을 지지하기도 한다. 그러나 『바울과 팔레스타인 유대교』가 지금도 중대한 의미를 갖고 학자들의 연구와 계속하여 관련성을 가지는 작품으로 남아있는 이유를 제대로 이해하려 한다면, 원전을 읽는 것 외에 다른 방도가 없다. 이 40주년 기념판이 바로 그런 일을 할 수 있는 계기를 시의적절하게 제공한다. _“40주년 기념판 서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