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91188272358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1-09-3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 마케팅 진법의 세계
1부. 펀펀한 마케팅
1. 나의 자리에 너를 놓아라
2. 마케팅을 하려면 인간을 먼저 사랑하라
3. 마케팅에 대한 3가지 착각
4. 함정에 빠진 마케터들
5. 세상을 바꾼 MCN 아이디어들
6. 중심부가 사랑한 마케팅
7. 주변부가 사랑한 마케팅
8. 제3지대 마케팅
광고계 레전드의 한마디
2부. 마케팅의 超 ABC
9. 마케팅 전략 맵 짜기
10. 3C와 4P 믹스
11. 신제품 개발의 마법
12. 나를 알고 적을 알고 ‘때’를 알라_SWOT 전략
13.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
14. 마케팅 평가는 소비자 피드백이 중요하다
15. 4P에 숨겨진 거짓들
실전1) ‘당신’ 브랜드의 마케팅
3부. 미디어와 데이터의 대폭발
16. 3천 년 이래 대혁신, 앱스토어
17. 플랫폼과 콘텐츠
18. 메타버스 시대가 온다
19. 데이터 기반 마케팅
20. 디지털 리터러시
실전2) 언력 마케팅- 언어 노트 만들기
4부. 문화 마케팅
21. 20세기의 또 다른 인류, 문화족
22. 문화 마케팅의 부상
23. 예술경영과 마케팅
24. 문화혁신이론
25. 문화 전략 매트릭스
실전3) 문화 전략 짜보기
5부. 커뮤니티 마케팅
26. 깨어 있는 자본주의의 경영 모델
27. 우파 파브릭 커뮤니티
28. 던바의 법칙
29. 브랜드 커뮤니티
30. 3W 시대의 커뮤니티 마케팅
31. 하이브리드 커뮤니티 전략
32. 커뮤니티 마케팅의 4가지 유형
33. 제3의 브랜드 ‘커뮤니티’
실전4) 온라인 마이크로 커뮤니티 운영 전략 짜보기
6부. 미래 마케팅의 5가지 희망 단어
34. 8가지 미래 변화 전망
35. 신뢰
36. 컬처 미(Culture Me)
37. 빅샷(Big Shot)
38. 이입
39. 지속 감수성
나가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나의 자리에 너를 놓아라
영업은 제품을 파는 것이고 마케팅은 마음을 사는 것이다.
마음을 사려면,
- 제품의 자리에 고객을 놓고,
- 기술의 자리에 욕구를 놓고,
- 나의 자리에 너를 놓아라.
10년 전부터 주장해온 나의 마케팅 정의다. 교과서에는 없다. 나는-좀 닭살 돋을지 몰라도-마케팅은 무엇보다 “사랑에서 온다.”라고 말한다. 육아법 이전에 중요한 것이 아이에 대한 엄마의 사랑일 것이다. 엄마는 가슴에 아이 머리를 안고 아이 소리를 들으려 한다. 그래서 교감과 감정이입(empathy)이 된다. 이입, 이것은 아이디어 그룹인 아이데오(IDEO)의 ‘디자인 싱킹’ 과정에서 필수다. 그런데 대부분의 마케팅은 여성들 지갑을 터는 방법만 가르치고, 여성들 입장이 되어 보라는 주문은 하지 않는다.
마케팅을 하려면 인간을 먼저 사랑하라
“마케팅의 핵심 사상이 뭘까요?” 진지하게 묻는데 “개뿔 마케팅 따위에도 사상이 있어요?”라고 말하지 않기를. 왜냐하면 사상도 없는 한심한 마케팅에 사람들이 그렇게 휘둘린다고 생각하면 그게 더 비참하니까. 마케팅의 사상은 교환(exchange)이다. 교환을 기능으로 보지 말고 사상(spirit)으로 보자. 그럼 많은 것이 달라진다. 교환한다는 이 사상이 제도화되면서 시장을 만들고 결국 자본주의를 만들고 지금의 우리 삶을 만들었다. 일방적 빼먹기가 아니라 교환을 통해서 참여가 만들어지고 가치가 만들어진다. 교환엔 마음(heart)도 있다. 그래서 마음이 빠지면 마케팅은 로봇의 계산일 뿐이다. 마음은 비효율이 아니라 메타 효율이다. 아가를 돌보는 엄마의 손이 투자자의 것은 아닐 것이나, 세상을 위한 위대한 손이 된다.
<중략>
사람-마케팅-깊은 통찰-비즈니스는 서로 이렇게 연결되어야 한다. 사람과 사업을 잇는 마케팅이 지혜로워야 하는 이유다. 그런데 이와 관련해서 우리가 착각하는 게 좀 있다.
3C와 4P 믹스
“너 자신을 알라”, “닭 잡는 데, 소 잡는 칼 쓴다”라는 금언은 마케팅에도 적용된다. 황소만 보는 개구리는 다치기 쉽고, 거꾸로 개구리만 보는 황소는 자기 역량을 착각한다. 그래서 자기 회사의 인적 구성과 역량, 네트워크, 자본의 규모와 무형 자산 등을 냉철하게 분석해야 한다. 자본이 적은 회사가 큰 시장에 진입해 자본이 많은 경쟁사를 상대할 때는 자본 전쟁이 아니라 백세주의 초기 전략처럼 니치(nitche, 틈새) 전략을 써야 한다. 스타트업은 자사의 인적 네트워크와 직원 열정을 200퍼센트 활용하고 제3지대를 공략하는 기발한 아이디어, 핀포인트 미디어 전술을 무기로 삼는 것이 효율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