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소설론
· ISBN : 9791188389605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목차
서문 • 4
1부
한강 작가를 알아야 작품이 제대로 보인다
1장
나의 한강 작가 입덕기: 작품과의 첫 만남, 그리고 이끌림
1 첫 만남은 운명처럼: 나를 사로잡았던 한강 작가의 첫 번째 작품 •21
2 한강의 작품 속에 아로새겨진 삶의 흔적들 •27
3 한강 작가, 나에게 어떤 의미인가 :작가와 작품이 내 삶에 미친 영향 •32
4 나의 ‘최애’ 한강 작품과 그 이유 :한 소년이 내게로 왔다 •37
2장
한강의 문학 세계를 열다: 작가와 작품의 심층 탐구
1 한강 작가의 삶과 문학 •43
2 작가의 창작 과정 •47
3 작가의 목소리로 만나는 작품 세계 •51
4 한강 작품 읽기의 열쇠 •58
5 고통과 아름다움의 공존 •63
6 작품 속 여성들의 이야기 •68
7 작품 속 남성들의 이야기 •73
8 우리의 일상이 된 역사 •78
작품 이해를 위한 10가지 가이드 (파트 1) • 83
작품 이해를 위한 10가지 가이드 (파트 2) • 87
3장
한강 문학의 미답지: 우리가 상상하는 작가와 작품의 이면
1 작가에게 묻고 싶은 질문들 •93
2 작품의 결말에 대한 질문 •98
3 등장인물들의 뒷이야기 •103
2부
함께 읽으면, 더 깊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
4장
억압된 욕망, 저항하는 영혼: 채식주의자, 영혜
1 채식주의가 상징하는 것들 •114
2 영혜의 선택과 그 이유 •1 26
3 가족들의 반응과 갈등 •136
4 영혜를 둘러싼 폭력과 억압 •144
5장
소년이 온다, 5·18의 기억과 우리의 이야기
1 5·18과 우리의 기억 •158
2 잊힌 목소리, 상처의 기억 •164
3 기억과 망각, 그 경계에서 •171
4 살아남은 자들의 고통 •178
5 용서와 화해 - 새로운 길 •185
6장
작별하지 않는다: 기억과 역사, 그리고 치유의 서사
1 역사의 기억과 몸 •196
2 세 여자, 세 개의 역사 •204
3 시간의 미로 속으로 •211
4 진실을 향한 세 가지 길 •217
5 작별하지 않는 마음 •225
7장
『흰』: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만난 빛, 백색의 의미 탐구
1 흰색의 다양한 이미지와 의미 •235
2 죽음 앞에서 느끼는 슬픔과 상실 •241
3 죽음을 통해 깨닫는 삶의 아름다움 •249
4 나의 백색 이야기 •257
8장
나만의 한강 작품 베스트 3: 선정 이유와 감상, 다른 독자들과의 공유
1 나의 베스트 작품들 • 267
2 작품이 나에게 준 감동과 깨달음 •273
3 감명 깊었던 구절과 장면 공유 •280
4 다른 독자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작품 •285
9장
새로운 독자를 위한 안내
1 한강 작품, 어떻게 읽을까 •293
2 함께 읽기의 즐거움 • 299
3 더 깊이 읽기 위한 제안 •307
에필로그
한강 작가에게 전하는 편지 • 316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강 작가의 작품은 깊은 주제 의식과 독특한 문체로 인해 많은 독자들에게 매력적이지만, 동시에 난해하게 느껴질 수 있다. 특히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그녀의 작품을 처음 접하는 독자들은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 이러한 독자들이 작품을 더욱 쉽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예상되는 상황들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독특한 은유와 상징체계로 인해 혼란을 겪는 경우가 있다. 대학생인 민수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채식주의자』를 읽기 시작한다. 그러나 식물이 되어가는 주인공의 모습이 현실적으로 이해되지 않아 혼란스러워한다. 이러한 상징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감을 잡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작품 속 반복되는 이미지와 상징에 주목하고, 그것들이 주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생각해보면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식물’이나 ‘나무’는 영혜의 자유에 대한 갈망과 사회적 억압으로부터의 탈출을 상징한다. 직접적인 해석보다 작품의 분위기와 인물의 감정에 집중하여 상징의 의미를 추론해볼 수 있다. 자신만의 해석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작품과 개인적인 연결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도 중요하다.
두 번째로, 함축적인 서술방식으로 인해 이해의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직장인인 수진은 『소년이 온다』를 읽으며 사건의 전개가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아 이해하기 힘들다고 느낀다. 작가가 의도적으로 생략한 부분들이 많아 이야기를 따라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행간의 의미를 찾고, 작가가 의도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부분을 상상하며 이야기를 채워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인물들의 미묘한 행동 변화나 말하지 않는 감정에 주목하면 숨겨진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메모를 활용하여 의문점이나 떠오르는 생각을 기록하고, 전체적인 맥락에서 그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품의 숨겨진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