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신경정신과
· ISBN : 979118846614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0-04-21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편집자 서문(멕 해리스 윌리엄스)
서론 및 읽을거리―클라인의 저작들
1장. 첫 주 : 회기 1-6
분석 상황의 확립, 망상-분열적 위치와 우울적 위치 개념의 전개 과정
2장. 둘째 주 : 회기 7-12
지식에 대한 갈망이 발달에서 행하는 역할
3장. 셋째 주 : 회기 13-18
멜라니 클라인의 이론 작업의 몸통을 조직화해주는 후기(postscript)로서의 시기심과 감사
4장. 넷째 주 : 회기 19-24
방어 메커니즘으로서의 무의식적 환상들, 강박적 메커니즘에 대한 집중적 고찰
5장. 다섯째 주 : 회기 25-29
망상-분열적 위치에서의 불안들 : 망상적 불안, 박해불안, 박해적 우울
6장. 여섯째 주 : 회기 30-33
회복(reparation) 개념의 발달 : 진정한 회복, 조적 회복, 그리고 거짓 회복
7장. 일곱째 주 : 회기 34-39
혼란(confusion)의 개념들―리처드와의 작업에서 이 개념들의 부재와 그 귀결
8장. 여덟째 주 : 회기 40-45
건강염려증의 현상학 : 심리신체적(psychosomatic) 현상 또는 심리신체적 망상(psychosomatic delusions)과 건강염려증의 구분
9장. 아홉째 주 : 회기 46-52
분열과 이상화 : 발달에서의 그것의 역할. 그리고 그것의 부재가 정신병리 형성에 미치는 영향
10장. 열 번째 주 : 회기 53-59
좌절을 견디지 못함을 구성하는 요인들―열 번째 주 분석 작업에 대한 개관
11장. 열한 번째 주 : 회기 60-65
특히 양가감정 개념과 관련해 분열 과정의 임상적 표현들과 통합의 구조적 의미에 대한 고찰
12장. 열두 번째 주 : 회기 66-71
치료 과정에서의 해석의 역할
13장. 열세 번째 주 : 회기 72-77
양가감정와 우울적 고통의 경험
14장. 열네 번째 주 : 회기 78-83
역전이와 관련된 기술적(technical) 문제
15장. 열다섯 번째 주 : 회기 84―89
결합된 대상 개념과 그것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16장. 열여섯 번째 주 : 회기 90-93
특히 내적 대상에 대한 의존과 이와 관련된 분석의 성과들
부록. 망상-분열적 위치와 우울적 위치
부록, 리처드의 그림들
역자 후기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