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프로이트 전집 4

프로이트 전집 4

(꿈 이론에 대한 메타심리학적 보충 | 애도와 멜랑콜리 | 신경증과 정신병 | 신경증과 정신병에서의 현실 상실 | ‘신기한 글쓰기 판‘에 대한 소고 | 부정 | 절편음란증(물신주의) | 방어 과정에서의 자아분열)

지크문트 프로이트 (지은이), 홍준기 (옮긴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0원
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프로이트 전집 4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프로이트 전집 4 (꿈 이론에 대한 메타심리학적 보충 | 애도와 멜랑콜리 | 신경증과 정신병 | 신경증과 정신병에서의 현실 상실 | ‘신기한 글쓰기 판‘에 대한 소고 | 부정 | 절편음란증(물신주의) | 방어 과정에서의 자아분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프로이트
· ISBN : 9791166844188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5-06-17

책 소개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오래전에 프로이트의 저작들이 번역되었고, 프로이트의 글을 직접 읽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럼에도 역자가 이를 다시 번역하기로 결정한 것은 프로이트 정신분석 및 이후의 여러 정신분석학파의 이론을 깊이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해서는 프로이트 원전에 대한 정확하고 면밀한 번역서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목차

꿈 이론에 대한 메타심리학적 보충(1917/1915) 7
편집자 서론 9
꿈 이론에 대한 메타심리학적 보충 13

애도와 멜랑콜리(1917/1915) 39
편집자 서론 41
애도와 멜랑콜리 49

신경증과 정신병(1924/1923) 81
편집자 서론 83
신경증과 정신병 85

신경증과 정신병에서의 현실 상실(1924) 95
편집자 서론 97
신경증과 정신병에서의 현실 상실 99

‘신기한 글쓰기 판’에 대한 소고(1925/1924) 109
편집자 서론 111
‘신기한 글쓰기 판’에 대한 소고 113

부정(1925) 123
편집자 서론 125
부정 127

절편음란증(물신주의)(1927) 137
편집자 서론 139
절편음란증(물신주의) 143

방어 과정에서의 자아분열(1940/1938) 155
편집자 서론 157
방어 과정에서의 자아분열 161

역자 후기 및 해제 168
참고문헌 218
현재까지 출간된 독일어 판본 238
약어 목록 241
찾아보기 243

저자소개

지크문트 프로이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는 신경정신과 의사이자 정신분석학의 창시자로 오스트리아 제국 시절 프라이베르크(지금은 체코의 프리보르P??bor)에서 유대인 부모로부터 태어났다. 정신분석학은 환자와 분석가 간의 대화를 통해 정신 내부의 갈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지는 병리 현상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독창적인 ‘마음과 인간 행위’ 이론을 적용하여 치료하는 학문이다. 프로이트는 1881년 빈(Vienna)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면서 의학 학위(MD)를 받았다. 1885년 교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과정을 이수하자마자 신경병리학 강사로 임명되었고, 1902년엔 겸임교수가 되었다. 1886년 빈에 개인 의원을 개원하여 환자들을 치료하는 생활을 하다가, 1938년 3월 독일이 오스트리아를 병합하자 나치 정권의 탄압을 피해 영국으로 망명했다. 그 뒤 1년 만인 1939년에 생을 마감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꿈의 해석》 《정신분석학 입문》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토템과 터부》 《억압, 증상 및 불안》 《꿈 심리학》 《쾌락 원칙을 넘어서》 《새로운 정신분석 입문 강의》 등이 있다.
펼치기
홍준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법과대학과 총신대 신학대학원을 졸업했고, 독일 브레멘대학, 파리 10대학에서 수학한 후 라캉과 알튀세르에 관한 논문으로 브레멘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 연구소 교수를 역임했고 현재 정신분석가, 철학자로 활동 중이다. 파리의 라캉주의 분석가로부터 교육분석을 받았다. 저서로는 『라캉과 현대 철학』,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남자의 성, 여자의 성』, 『라깡의 재탄생』(공저), 『피케티의 ‘21세기 자본’과 사회적 국가』 등이 있다. 특히 최근 저서, 『라캉, 클라인, 자아심리학』에서 정신분석과 철학의 대화 속에서 정신분석 이론과 역사를 해설하고 클라인 정신분석을 재구성하면서 라캉의 『에크리』와 『세미나』를 비판적으로 철저히 재해석했다. 『강박증: 의무의 감옥』, 『라깡과 정신분석임상: 구조와 도착증』, 『제2의 사고』, 『변형들』, 『정신분석의 요소들』, 『현대적 관점의 클라인 정신분석』, 『클라인의 정신분석 테크닉 강의』 등 다수의 역서가 있으며, 정신분석과 현대 문화 및 철학에 관한 다수의 기고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가 정신신경증적 상태를 조사해 보면, 그것의 모든 상태에서 소위 시간적 퇴행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즉 되돌아가 붙잡음의 총체로서 이는 [개인의] 발달 과정에서 각각의 모든 신경증 상태에 고유한 것이다. 우리는 두 개의 퇴행, 즉 자아 발달의 퇴행과 리비도 발달의 퇴행을 구분할 수 있다. 후자는 수면 상태에서 원초적 나르시시즘의 산출에 도달하며, 전자는 환각적 소망 성취의 단계에 도달한다(이 책의 22쪽 이하).


꿈이 나르시시즘적 심리장애의 정상적인 전형임을 알게 되었으므로 이제 우리는 정상적인 정동인 애도(Trauer)와 비교함으로써 멜랑콜리의 본질을 밝히고자 시도할 것이다. 그러나 이때 우리는 [논의의] 결과를 과대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미리 고백해야 한다. 멜랑콜리에 대한 기술적(記述的) 정신의학의 개념 규정도 동요하고 있는데, 이러한 멜랑콜리는 상이한 임상적 형태들로 등장하며, 따라서 그것들 ―이것들 중 몇몇은 심인성이 아니라 육체적 질병이다― 을 하나의 통일체로 확고하게 요약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최근 출간된 글 「자아와 이드」에서 나는 심리장치를 구획했고, 이러한 바탕 위에서 단순하고 개괄적인 방식으로 일련의 관계들에 대해 서술했다. 다른 점들에서는, 예를 들면 초자아의 기원과 역할에 관해서는 모호하고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많이 남아 있다. 「자아와 이드」에서의 설명이 다른 것들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그렇게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우리는 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알려진 것들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그것을 다른 방식으로 분류하고 더 설득력 있게 기술할 수 있다면 말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