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근현대 장시사의 변전과 위상

한국 근현대 장시사의 변전과 위상

김성조 (지은이)
국학자료원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550원 -5% 0원
830원
26,720원 >
26,1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610원
23,4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14,43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근현대 장시사의 변전과 위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근현대 장시사의 변전과 위상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시론
· ISBN : 9791188499731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8-11-23

책 소개

국학미래학술총서. 한국 장시의 전체적인 맥락과 함께 각 시기의 장시들을 동시적으로 살펴본다. 분석 텍스트로 선택한 장시들은 한국 장시를 대표한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시인의 개성과 함께 각 시기의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다.

목차

책머리에

│제Ⅰ부│ 한국 근현대 장시의 특성과 변전 |15
제1장 서론 |17
1. 장시의 특성과 창작배경 |17
2. 장시의 태동과 그 성립 |23
3. 연구범위와 방향성의 설정 |27

제2장 장시의 개념과 시대성 |33
1. 장시의 개념 |33
2. 시대적 배경과의 상호조건 |43

│제Ⅱ부│ 근대장시의 시적지형과 지속성 |47

|유 엽|
제1장 식민공간의 실험적 창작배경과 시적인식(1920~1930) |49
제2장 <소녀의 죽음>의 의미배경과 극적 현실대응 |55
1. 가능성의 탐색과 첫 출발의 의의 |55
2. 시간적 배경과 사건의 암시 |60
3. 공간상징과 ‘전보’의 모순성 |65
4. ‘겨울’의 상징성과 현실대응으로서의 ‘죽음’ |71

|김동환|

제3장 <국경의 밤>의 공간상징과 ‘시간’의 역사성 |79
1. 서사지향과 ‘연애관’의 시적수용 |79
2. ‘국경’의 공간상징과 시간적 배경 |84

3. 세계와의 대립과 갈등의 심화 |91
4. 식민지 현실의 극적재현과 민족의식 |96

|김기림|

제4장 <기상도>의 세계인식의 지형과 극복기제 |105
1. 모더니즘의 수용과 장시의 ‘영분’ |105
2. 세계인식의 두 구도와 ‘태풍’의 발현 |109
3. 태풍의 기습과 문명붕괴의 실제 |116
4. 자아해체의 시간과 ‘폭풍경보해제’의 필연성 |122

제Ⅲ부 현대 장시로의 전환과 확장성 |131

|김상훈|
제1장 해방기와 전쟁기의 시적현실과 저항의식(1940~1950) |133
<가족>의 기존체제의 모순성과 투쟁적 대응의식 |139
1. 해방기의 시적인식과 ‘가족’의 탄생 |139
2. 대립적 세계인식과 갈등양상 |143
3. 인물구성의 기능과 그 성격 |148
4. 능동적 ‘여성’의 위치와 투쟁정신 |154

|김종문|

<불안한 토요일>의 전쟁기 시적대응과 불안의식 |163
1. 1950년대와 ‘불안’ |163
2. 생명지향의 ‘행렬’과 죽음의식 |166
3. 존재의 부정과 상처의 재현 |172
4. 자아해체와 미래부재의 공간 |179

|김용호|

<남해찬가>의 역사적 현재성과 민족정신의 구현 |187
1. 민족적 수난기와 극복의지 |187
2. 서사적 배경과 영웅의 시적 수용 |191
3. ‘모해(謀害)’의 대립과 ‘열두 척’의 승전고 |198

4. 연민의식의 발현과 민족정신의 구현 |204

|전봉건|
제2장 치유와 극복 그리고 현실변혁의 열망(1960~1970) |213
<춘향연가>의 상흔의 내면화와 극복의 논리 |219
1. 장시의 선택과 미학적 기법 |219
2. 현실과 상상의 공간대비와 갈등요소 |223
3. 에로스적 생명성과 꿈의 소멸 |229
4. 극복의지의 발현과 허무적 ‘피’의 연속 |235

|신동엽|

<금강>의 서술적 주체의 욕망과 시대담론의 형성 |243
1. 현실의 비판적 수용과 시적 성향 |243
2. ‘큰 역사’의 배경과 주체의 성격 |246
3. 억압적 갈등요소와 욕망의 분출 |252
4. 혁명의 좌절과 시대담론의 배경 |257

|김구용|

<구곡>의 역설적 현실인식과 자아정립의 세계 |265
1. 장시의 선택과 난해성의 세계 |265
2. 상처의 환기와 죽음의식 |268
3. 문명의 부조화와 파편화된 자아 |274
4. ‘내일’의 암시와 자아정립의 세계 |279


|신경림|
제3장 민중의식의 발현과 미래지향적 가치구현(1980) |287
<남한강>의 민중적 삶의 역동성과 공동체적 대응의식 |293
1. ‘얘기’와 ‘노래’의 시적 배경 |293
2. ‘십년 전’의 연속성과 역설적 ‘흥’의 세계 |297
3. ‘우리’의 인물구조와 사건의 반전 |303
4. 극적상황과 공동체적 대응의식 |309

|송수권|

<새야새야파랑새야>의 혁명정신의 실제와 미래지향적 가치관 |319
1. ‘신(神)’과 ‘새벽’의 의미배경 |319
2. 서사적 갈등과 행위실천의 동력 |324
3. 혁명정신의 극대화와 좌절의 순간 |332
4. 역사의 연속성과 미래구현의 암시 |336

|고정희|

<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의 ‘어머니’ 이미지와 대동정신의 발현 |343
1. ‘극복’과 ‘비전’의 시정신 |343
2. 현실적 수난자로서의 ‘어머니’ |349
3. 역사적 수난자로서의 ‘어머니’ |356
4. ‘해방’의 동력과 대동정신의 발현 |361

제Ⅳ부 장시의 시문학적 위상 |369

제Ⅴ부 결론 |379

참고문헌 |387
찾아보기 |399

저자소개

김성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계간 <자유문학>(1993)으로 시 등단, <미네르바>(2013)로 평론 등단을 했다. 시집으로는 <그늘이 깊어야 향기도 그윽하다>, <새들은 길을 버리고>, <영웅을 기다리며> 등이 있고, 시선집 <흔적>을 출간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현대 장시(長詩)에 나타난 서술적 주체의 욕망과 시대담론 형성의 배경」, 「1950년대 모더니즘 시의 지형과 전후 극복의식」, 「한국 현대시의 난해성과 도피적 상상력-1950년대 김수영ㆍ김춘수ㆍ김종삼의 시를 중심으로」, 「김종삼 시의 ‘공백/생략’에 나타난 의미적 불확실성과 도피성」, 「전봉건 시에 나타난 존재인식과 초월 연구」, 「한국 탄광시에 나타난 공간적 특성과 ‘죽음’의 표상」 등 다수가 있다. 학술저서로는, <전봉건>(공저), <부재와 존재의 시학>, <한국 근현대 장시사(長詩史)의 변전과 위상>(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