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차별적 사랑과 무차별적 사랑 (인과 겸애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88509232
· 쪽수 : 279쪽
· 출판일 : 2019-06-28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88509232
· 쪽수 : 279쪽
· 출판일 : 2019-06-28
책 소개
저자는 인과 겸애의 대립이 동서의 철학전통에서 오랫동안 논쟁거리였던 개별주의와 보편주의 간의 갈등을 앞서 제기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고대 중국철학에 대한 최근의 연구 성과들을 활용하면서, 인과 겸애의 본질적인 차이를 제시한 책이다.
목차
머리말
1장. 왜 차별적 사랑과 무차별적 사랑인가?
2장. 인과 겸애
2.1 덕으로서의 인과 겸애
2.2 사랑으로서의 인과 겸애
3장. 인과 개별주의
3.1 의례
3.2 혈육애와 자비심
3.3 타인에 대한 배려
4장. 겸애와 보편주의
4.1 사랑함과 이익을 줌
4.2 무차별애와 통합적 보살핌
4.3 보편과 총칭
5장. 도덕적 행위의 토대와 수양의 문제
5.1 도덕적 행위의 토대: 한 뿌리와 두 뿌리
5.2 수양의 문제: 부동심
5.3 수양의 문제: 이기적인 욕심의 조정과 극복
6장.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무차별의 사랑을 강조한 묵가에서도 효는 인간의 기본적 가치로 존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은 효를 강조하고, 겸애는 효를 부정한다는 도식은 더 이상 성립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가 보는 관점에 따르면 겸애와 인은 그 현상적·대상적 차원에 있어서는 전혀 다를 바가 없고, 따라서 그들 간의 차이는 본질적·메타적 차원에서 찾아져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여기서 묵가가 강조한 능력, 즉 ‘시스템을 고안하고 그것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도 일종의 덕, 특별히 일종의 지성적 덕 혹은 제도의 운용의 덕이라고 보려고 한다. 그것들이 비록 희생적 행위를 통해 비폭력적인 방식으로 영향력을 가지는 유가가 생각한 윤리적 덕은 아니라 할지라도, 제도 운용을 통해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탁월함의 능력이라고 보여 지기 때문이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