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91188602377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1-07-30
책 소개
목차
제1장 도시의 가치를 높이는 지역 매니지먼트란?
1-1 지역 매니지먼트 활동이란 무엇인가?
지역 매니지먼트 활동의 시작 | 다음 세대의 마을만들기를 선도하는 활동 | 앞으로 지역 매니지먼트에 필요한 정책·제도
1-2 기본적인 생각 및 방법
지역 매니지먼트는 민간과의 유대와 연계로부터 시작한다 | 지역의 가치를 공공과 민간 연계로 높인다
제2장 어떠한 지역 매니지먼트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2-1 지역 매니지먼트 활동의 출발점인 ‘지역의 목표 만들기’
지역 비전 작성을 위한 워크숍: 신토라 거리 | 마을만들기 가이드라인의 사례
2-2 지금까지 추진된 기본적인 활동
활력 만들기, 청소·방범·교통대책 | 정보발신, 커뮤니티 만들기 | 오픈 카페, 지역 매니지먼트 광고
2-3 ‘새로운 공공’을 실현하기 위한 활동
방재·재해저감 | 환경·에너지
2-4 앞으로 기대되는 활동
지적 창조·신기능 | 건강·식습관 교육
column 1 전국 지역 매니지먼트 네트워크
제3장 해외 도시의 매력을 만드는 BID와 지역 매니지먼트
지역 매니지먼트의 바탕이 되는 BID | 미국의 BID | 영국의 BID | 독일의 BID | 해외사례로 배우다
column 2 해외 BID의 정보발신 활동
제4장 활동공간과 지역 매니지먼트 단체의 실제
4-1 어떤 공간에서 활동하고 있는가
민관협력을 통한 공간정비와 활용의 추진 | 공간 분류 | 활동공간의 실제
4-2 지역 매니지먼트 단체의 역할
공간 활용에 관여하는 지역 매니지먼트 단체와 행정의 역할 | 코디네이터 역할을 담당하는 지역 매니지먼트 단체: We Love 덴진 협의회를 사례로 | 지역 매니지먼트 단체의 공적인 입장을 부여하는 제도
제5장 공공공간 등 이용 및 활용의 노하우
5-1 공공공간 등을 이용할 때의 절차와 유의사항
공공공간 등을 이용할 때의 수속절차와 이용료 | 공공공간을 활용할 때의 일곱 가지 유의사항 | 공공공간 등을 이용할 때의 절차상의 과제
5-2 공공공간 등을 활용하기 위한 수법
공적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행정대응 사례 | 공공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점용허가의 특례제도 | 지역 매니지먼트 활동과 사회실험 | 공공과 민간의 연계체제 만들기
전국의 지역 매니지먼트
1. 오사카시의 지역 매니지먼트 추진조직
2. 힐즈 마을교육 프로젝트
3. 치·카·호(삿포로역 지하 보행공간)
4. 다이마루유 지구의 지역 매니지먼트와 공공공간 활용절차
5. 도요타시 중심시가지의 공공공간 활용
6. 신토라 거리와 도로 활용
7. 난바 광장 개조계획
8. 미나토미라이21 공공공간 활용위원회
9. 롯폰기 힐즈 아레나
앞으로의 지역 매니지먼트 활동을 위한 평가와 재원
지역 매니지먼트 활동의 효과와 평가 | 일본의 지역 매니지먼트 활동과 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