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축소도시](/img_thumb2/9791128817847.jpg)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축소도시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환경공학
· ISBN : 9791128817847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22-03-10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환경공학
· ISBN : 9791128817847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22-03-10
책 소개
인구감소 현상에 따라 축소도시에 대응한 도시관리 전략이 도시계획의 핵심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 책은 우리나라 축소도시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국내외 축소도시 정책과 사례를 통해 축소도시 시대, 뉴노멀 시대의 도시정책 및 도시재생 등에 대한 방향을 제안한다.
목차
축소도시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01 축소도시란 무엇인가?
02 도시재생, 도시 쇠퇴와 도시 축소
03 축소도시 분석의 새로운 접근
04 독일의 축소도시 현상
05 미국의 축소도시 현상
06 일본의 축소도시 현상
07 축소도시와 빈집 문제 대응
08 축소도시와 콤팩트-네트워크도시 실현
09 축소도시 시대의 도시계획적 대응
10 축소도시 시대의 국토 · 도시 공간 재편
책속에서
도시 축소(urban shrinkage)의 양상은 특정 지역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지방 중소도시의 보편적인 현상이다. 인구 및 경제규모가 수축되는 도시 축소 시대에 대응하여 기존 정책과는 차별화되는 도시전략의 설정 등 정책적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_ “축소도시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 중에서
축소도시의 개념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지만, 아직 축소도시를 판정하는 정확한 기준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다만 많은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인구 감소와 경제·산업 측면의 침체를 축소도시의 가장 큰 특징으로 보고 있다.
_ “01 축소도시란 무엇인가?” 중에서
도시들은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고 상호 협력적 활동 속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런 네트워크는 주변 도시와의 연계와 교류 수단, 도시 규모의 기능과 한계를 극복하는 수단 등으로 작용하여 도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_ “03 축소도시 분석의 새로운 접근”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