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88805037
· 쪽수 : 173쪽
· 출판일 : 2017-12-20
책 소개
목차
Ⅰ. 서해 영해기점 도서 조사방법과 개요
Ⅱ. 대한민국 영해와 영해기점
1. 1945년 해방 이전 한반도 영해
2. 대한민국 영해의 변천과 완성
Ⅲ. 서해 영해기점 도서의 역사와 문화
1. 유인도
1)어청도
2) 상왕등도
3)횡도
4)홍도
5)소흑산도(가거도)
2. 무인도
1)소령도
2)격렬비열도
3)직도(소피도)
4)고서
5)소국흘도
Ⅳ. 서해 영해기점 도서의 가치와 중요성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나라는 「영해 및 접속수역법」을 통해 기선(基線)으로부터 바깥쪽 12해리를 영해의 범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배타적 경제수역 및 대륙붕에 관한 법률」을 통해 기선으로부터 바깥쪽 200해리의 선까지 이르는 수역 중 영해를 제외한 수역을 배타적 경제수역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기선은 최외곽지역에 기점을 지정한 뒤 이를 연결한 선을 말하는 것으로 서격렬비도 또한 영해기점 가운데 한 곳입니다. 다시 말해 서격렬비도는 우리나라 영해와 배타적 경제수역 범위를 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지정학적 위치를 점하고 있는 도서 가운데 한 곳입니다. 그러나 서해의 격렬비열도는 사유지입니다. 때문에 중국 자본이 이 섬을 매입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 <서해 영해기점 도서, 발간사 中>
보고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 장에서는 서해 영해기점 조사방법과 개요에 대해 서술하였고, 다음 장에서는 영해와 영해기점에 대한 정의와 함께 대한민국 영해가 완성되어가는 과정을 추적하였다. (중략) 제3장의 주요내용은 서해 영해기점 도서 10개소의 지리적·자연적 특징과 함께 기록과 기억 속 영해기점 도서에 대한 조사 내용이다. 유인도와 무인도로 각각 나누어 서술하고 있다. (중략) 부족한 역사 기록과 사실들은 서해 영해기점과 그 인근에서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기억 속 과거와 현재의 영해기점도서 문화를 파악하여 보완했다. 각 도서의 역사적 사건들과 마을 변천 과정, 과거와 현재의 어업, 생활모습 등을 채록하고 이를 정리·분석하였다.
- <서해 영해기점 도서, 서해 영해기점 도서 조사방법과 개요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