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소방조직론

소방조직론

양기근, 이주호, 송윤석, 최낙범, 변성수, 류상일, 최희천, 전병순, 박정민, 채진, 구재현 (지은이)
윤성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소방조직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소방조직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88836314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9-07-08

책 소개

소방조직의 효율적 관리 그리고 이에 따른 학습의 필요성에 따라 집필된 책이다.

목차

1편 소방조직 이해하기 13
1장 소방조직의 의의와 중요성 15
제1절 조직의 의의 15
1. 조직의 개념 16
2. 조직의 유형 19
3. 조직의 일반적 특성 22
제2절 소방조직의 개념과 특성 26
1. 소방 및 소방조직의 의의 26
2. 소방 조직의 특성 28
3. 소방조직 연구의 중요성과 학습의 필요성 30
2장 조직이론의 발달 35
제1절 조직이론의 발달 과정 35
제2절 고전적 조직이론 37
1. 과학적 관리론 38
2. 행정관리론 40
3. 관료제이론 41
제3절 신고전적 조직이론 44
1. 인간관계론 44
2. 환경유관론 46
제4절 현대적 조직이론 47
1. 행태과학 48
2. 상황이론 50
3. 관리과학 53
4. 체제이론 54
제5절 미래 조직이론 56
1. 혼돈이론 56
2. 학습조직 58
3. 네트워크 조직 60
2편 소방조직의 발전과 체계 65

3장 우리나라 소방조직의 발전 과정 67
제1절 우리나라 소방조직의 역사 67
1. 삼국시대 68
2. 통일신라시대 69
3. 고려시대 69
4. 조선시대 70
5. 일제시대 71
6. 미군정시대(1945~1948년) 72
7. 정부 수립 이후(1948~1970년) 73
8. 정부 수립 이후 발전기(1970~1992년) 73
9. 광역자치시대(1992~2004년) 74
제2절 최근의 소방조직 변천 과정 75
1. 소방방재청(2004~2014년) 75
2.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2014년~2017년) 76
3. 소방청(2017년~현재) 76

4장 한국의 소방조직 체계 79
제1절 한국의 소방조직 체계 79
제2절 국가소방행정조직 82
1. 소방청 82
2. 중앙소방학교 86
3. 중앙119구조본부 87
제3절 지방소방행정조직 90
1. 소방본부 92
2. 소방서 97
3편 소방조직의 구조와 설계 105

5장 소방조직에서의 인간행동이론 107
제1절 소방조직에서의 인간 행동 이해 107
제2절 동기부여이론 110
1. 동기부여의 개념 110
2. 내용이론 111
3. 과정이론 116
제3절 리더십이론 118
1. 리더십의 개념 118
2. 특성이론 119
3. 행태이론 120
4. 상황이론 123
5. 현대적 리더십이론 126
제4절 의사소통이론 129
1. 의사소통의 개념 129
2. 의사소통의 기능과 의사소통 과정 및 종류 129
3.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 방안 130
제5절 갈등관리이론 132
1. 갈등의 개념 132
2. 갈등에 대한 견해와 갈등의 기능 132
3. 갈등의 수준 133
4. 갈등의 처리 및 해소 방법 134
제6절 조직문화이론 135
1. 조직문화의 개념 135
2. 조직문화의 특징과 기능 136
3. 조직문화의 유형 137
제7절 소방조직에서의 인간 행동 138
1. 소방조직의 동기부여 138
2. 소방조직의 리더십 140
3. 소방조직의 의사소통 140
4. 소방조직의 갈등관리 142
5. 소방조직문화 144

6장 소방조직 관리이론 146
제1절 소방조직 관리의 이해 146
제2절 조직이론의 발전사 및 조직의 유형 149
1. 조직이론의 발전사 149
2. 조직의 유형과 구조 151
제3절 조직구조의 기본 변수 : 복잡성, 공식성, 집권화 153
1. 조직구조의 기본 변수 153
2. 복잡성(분화) 153
3. 공식성 154
4. 분권화 및 집권화 155
제4절 조직구조의 상황 변수 : 규모, 기술, 환경 156
1. 조직구조와 규모 156
2. 조직구조와 기술 156
3. 조직구조와 환경 157
제5절 관료제와 애드호크라시 158
1. 관료제 158
2. 애드호크라시 159
제6절 소방조직의 관리 161

4편 해외 소방조직 165
7장 미국의 소방조직 167
제1절 미국의 재난관리 체계 167
제2절 미국의 중앙소방조직 169
1. 미국 소방청의 조직 169
2. 미국 소방청의 탄생과 역사 172
3. 미국 소방청의 주요 프로그램 174
제3절 미국의 지방소방조직 177
1. 미국의 소방관 177
2. 미국의 지역 소방서 180
3. 미국 지역 소방서의 운영 181
제4절 미국 소방의 미래 183

8장 일본의 소방조직 189
제1절 일본의 소방조직 190
1. 국가소방행정기관 190
2. 지방소방행정기관 193
3. 시정촌 소방의 광역화 204
4. 각 소방기관 상호 간의 관계 등 206
제2절 구급 체제 209
1. 구급 업무 실태 209
2. 시정촌의 구급 업무 210
3. 구급대 및 대원 현황 211
4. 구급구명사 운영 실태 211
5. 구급자동차 현황 212
제3절 구조 체제 212
1. 구조 활동의 실시 현황 212
2. 구조 활동 체제 214
제4절 항공소방 방재 체제 215
1. 항공소방 방재 체제 현황 215
2. 항공소방 헬리콥터 운용 현황 216
3. 조종사 양성·확보 대책 217
제5절 광역소방응원과 긴급소방원조대 217
1. 소방의 광역응원 체제 218
2. 긴급소방원조대 220
제6절 국가와 지방공공단체의 방재 체제 224
1. 국가와 지방의 방재조직 224
2. 「재해대책기본법」의 개정 225
3. 소방청의 방재 체제 및 대책 226
제7절 소방재정 227
1. 소방청 예산액 227
2. 도도부현의 방재비 228
3. 시정촌 소방비 229
4. 소방 예산의 재원 230

5편 미래의 소방조직 233
9장 국가소방과 자치소방 235
제1절 소방환경의 변화 및 국가소방과 자치소방의 개념 235
1. 소방환경의 변화 235
2. 국가소방과 자치소방의 개념 236
제2절 우리나라 소방조직 체계 연혁 237
제3절 광역소방 체제와 기초소방 체제의 장·단점 241
1. 시·도 광역소방 체제 241
2. 시·군·구 기초소방 체제 242
제4절 소방사무 244
1. 국가사무와 자치사무 현황 244
2. 소방사무의 변화 247
3. 외국의 소방사무 수행 주체 249
제5절 해외 소방조직 체계 250
1. 미국 250
2. 일본 251
3. 영국 253
4. 독일 254

10장 재난관리와 소방 257
제1절 개요 257
1. 소방의 목적 258
2. 소방 업무의 특성 259
제2절 소방 연혁 및 기본 현황 261
1. 소방의 연혁 261
2. 기본 현황 263
제3절 재난관리와 소방조직 체계 264
1. 중앙정부 264
2. 지방자치단체 267
3. 의용소방대 269
4. 의무소방대 270
제4절 재난관리와 소방 활동 270
1. 소방 업무의 확대 270
2. 재난관리에서 소방의 역할 275
제5절 긴급구조 체계 274
1. 긴급구조통제단 274
2. 긴급구조지휘대의 구성과 운영 281

11장 미래의 소방조직 283
제1절 소방행정 개혁의 배경 283
1. 소방행정의 개념 및 특성 284
2. 소방행정 개혁의 요인 및 필요성 284
3. 국내외 재난 여건 및 재난 발생 원인 286
4. 미래 재난환경의 변화 대응 290
제2절 소방조직의 현황 분석 291
1. 소방조직의 의미 291
2. 소방조직의 기능 변화 293
3. 소방조직의 특성 293
제3절 미래 소방조직의 방향 295
1. 지식정보사회의 조직구조의 특성 295
2. 소방조직의 개선 요인 301
3. 미래 소방조직의 추진 방향 및 기대 효과 304

참고문헌 309
찾아보기 325
저자소개 333

저자소개

양기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1993.2) 경희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2001.2) 경희대학교 행정학 박사(2004. 8) 현) 원광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 전) 원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장 전) 원광대학교 학생복지처장 ■주요 저서 #공공면접(대표저자, 2023, 윤성사) 키워드로 보는 생활과 안전(공저, 2022. 윤성사) 소방학개론(공저, 2022, 제3판, 윤성사) 소방행정학개론(대표저자, 2020, 제4판, 대영문화사) 재난관리론(공저, 2020, 윤성사) 소방조직론(대표저자, 2019, 윤성사) 재난관리론(대표저자, 2016, 개정판, 대영문화사 재해구호복지론(공저, 2012, 대영문화사) 한국의 재난현장 대응체계(공저, 2009, 대영문화사) 재난관리론(공저, 2006, 대영문화사) ■주요 활동 소방공무원시험 문제 출제 및 선정위원 재난관리론 공무원시험 문제 출제 및 선정위원 (사)이재민사랑본부 공동대표 국가위기관리학회 회장(2018) 한국지방행정학회 회장(2023) 한국재난관리학회 회장(2024) 소방청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정부업무평가 평가위원 행정안전부 재난관리평가위원 전라북도 규제개혁위원회 위원 충청남도 안전관리위원회 위원 역임
펼치기
채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목원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현) 목원대학교 신문·방송 주간 충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졸업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 석사(재난관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 박사(재난관리) 전) 소방청 중앙소방학교 전임교수 전) 경기도 소방학교 전임교수 방재안전직렬 출제위원 소방공무원 채용시험 출제위원 소방공무원 승진시험 출제위원 소방공무원 채용시험 면접위원 서울시 공무원 채용시험 출제위원 한국재난관리학회 부회장 국가위기관리학회 부회장 충청북도의회 자문위원 충북경제자유구역청 건축위원회 위원 저서 한국의 재난관리시스템 분석(2024, 윤성사), 소방학개론(2024, 윤성사), 인명구조학개론(동화기술, 2021 공저), 소방행정법총론(윤성사, 2022 공저), #공공면접(윤성사, 2023 공저), 키워드로 보는 생활과 안전(윤성사, 2022 공저),소방정책학(윤성사, 2021), 화재진압론(동화기술, 2019), 재난관리론(동화기술, 2016), 안전관리론(동화기술, 2017), 소방학개론(윤성사, 2020 공저), 재난관리론(윤성사, 2020 공저), 방재학(구미서관, 2017 공저), 소방행정실무(예스미디어, 2013 공저)
펼치기
류상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 행정학박사(소방행정 및 재난행정)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북한학과 정책학 박사수료(국가안보 및 통일정책) •외교부 재외국민보호위원회 위원 •소방청 정책자문위원 역임 •국가위기관리학회 학술부회장 •국가직 및 지방직 5급, 7급, 9급 공무원시험 출제위원 •현 동의대학교 소방방재행정학과 교수 •세한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 역임 • 「영상으로 공부하는 인명구조 강의노트」(2024, 윤성사) •「소방행정학개론」(2020, 대영문화사) •「재난관리론」(2006, 대영문화사) • 네트워크 관점에서 지방정부 재난대응 과정분석(2007, 「한국행정학보」)
펼치기
구재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정밀기계공학과 공학박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심의회 소방/재난 전문위원 소방방재청 국가 소방/재난 R&D 사업단 사무국장 현) 소방청 정책자문위원 및 화재안전영향평가 전문위원 등 현) 목원대학교 소방안전학부 교수
펼치기
최낙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원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및 대학성과관리단장. 경찰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경찰행정, 조직관리, 성과관리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The use of smart work in government: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experiences”(2016), “Understanding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cus on the perception of South Korean police officers”(2019),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찰조직에서의 상호작용공정성을 중심으로”(2013) 등이 있다.
펼치기
변성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대학교 행정학 박사(2010.2) ·현 충청북도 재난안전연구센터 전문위원 ·전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소 전문연구원 ·전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전문연구원 ·『재해구호복지론』(2012, 대영문화사) ·소방취약지역의 소방서비스 향상을 위한 의용소방대 역량 강화(2018, 『한국융합과학회지』)
펼치기
최희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행정학(재난정책) 박사(2010.2) ·현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 피해지원국장 ·서울시립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책임교수 역임 ·열린사이버대학교 소방행정학과장 역임 ·재난 재건의 이슈들을 통해 본 한국과 중국 사회의 맥락적 차이 분석(2017, 『Crisisonomy』) 등
펼치기
전병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교토대학교 법학석사(1998.2) ·원광대학교 소방학 박사과정 수료(2015.8) ·현 건양대학교 재난안전소방학과 초빙교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