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부의 디지털 혁신

정부의 디지털 혁신

엄석진, 김준형, 최낙범, 황한찬, 정희정, 서교리 (지은이)
문우사(도서출판)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050원
33,9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부의 디지털 혁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부의 디지털 혁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85994772
· 쪽수 : 656쪽
· 출판일 : 2020-11-11

책 소개

정보기술의 도입과 활용을 통해 나타나는 정부의 디지털 혁신에 대한 이론과 역사, 다양한 응용과 분석, 그리고 향후 전망을 다룬 연구서이다. 이미 출간된 저자의 관련 연구를 수정.보완하고, 각 장의 주제에 따라 필요한 부분은 새로 집필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 1 장 정부의 디지털 혁신
Ⅰ. 서론: 행정혁신의 동인으로서의 정보기술
Ⅱ. 전자정부
1. 전자정부의 정의
2. 전자정부 서비스의 구분
3. 전자정부의 고도화
Ⅲ. 스마트 정부
1. 스마트 정부의 등장 배경
2. 스마트 정부의 개념
3. 스마트 정부의 특성 및 다양한 측면
Ⅳ. 결론
참고문헌

제 2 장 정부의 디지털 혁신: 미국과 한국의 사례
Ⅰ. 서론
Ⅱ. 미국에서의 정부의 디지털 혁신
1. 1980년대까지의 정보기술 도입
2. 클린턴 행정부의 전자정부정책
3. 부시 행정부의 전자정부 고도화정책
4. 오바마 행정부의 디지털 혁신정책
Ⅲ. 한국에서의 정부의 디지털 혁신?
1. 전두환·노태우 정부의 「행정전산망사업」
2. 김영삼 정부의 행정정보화
3. 김대중 정부의 「전자정부 11대 과제」
4. 노무현 정부의 「전자정부 31대 로드맵사업」
5. 이명박 정부의 국가정보화
6. 박근혜 정부의 「정부 3.0」
Ⅳ. 한국의 디지털 정부혁신 추진체계 분석
1. 디지털 정부혁신 추진체계의 구성 요소
2. 전두환 정부
3. 김영삼?김대중 정부
4. 노무현 정부
5. 이명박 정부
6. 박근혜 정부
Ⅴ. 결론
참고문헌


제 3 장 정보시스템 성공의 정의와 영향 요인
Ⅰ. 서론
Ⅱ. 정보시스템 성공의 정의와 측정
1. 성능의 우수성
2. 성숙 수준
3. 가치 창출
Ⅲ. 정보시스템 성공의 영향 요인
1. 기술적 요인
2. 환경적 요인
3. 행위자 요인
4. 제도적 요인
Ⅳ. 결론
참고문헌?

제 4 장 정보시스템 성공과 영향 요인에 대한 개념적 모형
Ⅰ. 서론
Ⅱ. Fred Davis와 그의 동료들의 기술수용모형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Ⅲ. William DeLone과 Ephraim McLean의 정보시스템 성공모형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Ⅳ. Jane Fountain의 기술 구현 개념틀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Ⅴ. Jane Fountain의 다층 통합 정보시스템 개념틀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Ⅵ. Kenneth Kraemer와 그의 동료들의 컴퓨터활용 변화과정모형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Ⅶ. 전자정부 성공구현모형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Ⅷ. 결론
참고문헌

제 5 장 전자정부 성공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1: 제도적 배열
Ⅰ. 서론
Ⅱ.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개념, 중요성, 유형
1.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개념
2.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중요성
3.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유형: OECD의 유형 분류
Ⅲ. 분석: 한국과 미국의 정부기능연계모델(BRM) 구축
1. 한국과 미국에서의 BRM 구축 결과
2. 미국 부시 행정부와 한국 노무현 정부의 전자정부 추진체계
3. 정부기능연계모델사업 과정: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활동을 중심으로
Ⅳ. 결론
참고문헌

제 6 장 전자정부 성공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2: 행위자
Ⅰ. 서론
Ⅱ. 전자정부 추진과정에서의 행위자
1. 지식정보사회에서의 공무원의 지적 역량
2. 전자정부 추진과정에서의 행위자에 대한 연구
Ⅲ. 분석
1. 지식중개자(knowledge broker)
2. 분석틀
3. 연구 대상과 방법
4. 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제 7 장 소셜미디어 정부
Ⅰ. 서론
Ⅱ. 소셜미디어 정부 개관
1. 소셜미디어의 정의
2. 소셜미디어의 특성
3. 공공부문에의 소셜미디어 도입과 기대효과
4. 소셜미디어의 효과에 대한 찬반 논쟁
Ⅲ. 분석 1: 한국 광역자치단체장의 트위터 활용 분석
1. 정부의 트위터 활용에 대한 연구 동향
2. 분석틀
3. 분석 결과
4. 토론
Ⅳ. 분석 2: 서울시의 트위터 활용 및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1. 이론적 배경
2. 연구 방법틀
3. 분석 결과
4. 토론
Ⅴ. 분석 3: 성남시의 트위터 활용 및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1. 이론적 배경
2. 연구 방법
3. 분석 결과
4. 토론
Ⅵ. 결론
참고문헌

제 8 장 모바일 전자정부: 공공 모바일 앱
Ⅰ. 서론
Ⅱ. 모바일 전자정부의 개요
1. 모바일 전자정부의 정의와 특성
2. 모바일 앱의 정의와 기술적 특성
3. 모바일 앱의 등장과 보편화
4. 공공부문에서의 모바일 앱의 도입과 활용
Ⅲ. 한국의 모바일 전자정부 활용 현황 및 성숙 수준
1. 모바일 전자정부 활용 현황
2. 모바일 전자정부 활용 성숙 수준
Ⅳ. 분석
1. 선행연구 검토
2. 중앙행정기관의 공공 모바일 앱 성숙 수준의 결정 요인 분석
3. 지방자치단체의 공공 모바일 앱 성숙 수준의 결정 요인 분석
4. 중앙행정기관의 공공 모바일 앱 성숙 수준 영향 요인에 관한 질적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부

제 9 장 스마트 워크
Ⅰ. 서론
Ⅱ. 스마트 워크의 개념과 유형
1. 스마트 워크의 개념과 등장 배경
2. 스마트 워크의 유형
Ⅲ. 스마트 워크의 확산과 사례
1. 미국과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의 스마트 워크 도입과 활용
2. 한국 정부의 스마트 워크 도입과 활용
Ⅳ. 분석
1. 스마트 워크 도입 및 활용에 대한 접근법
2. 선행연구 결과
3. 연구설계
4. 분석 결과
5. 스마트 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제10장 정보공개제도와 공공데이터 개방
Ⅰ. 서론
Ⅱ. 정보공개제도
1. 정보공개를 통한 행정의 투명성 제고
2. 한국의 정보공개제도
Ⅲ. 공공데이터 개방
1. 데이터 개방의 개념
2. 데이터 개방의 등장 배경
3. 데이터 개방의 효과
4. 한국의 공공데이터 개방
Ⅳ. 분석: 공공데이터 개방의 결정 요인-지방자치단체의 경험을 중심으로
1. 이론적 배경: 데이터 개방의 장애 요인과 성공 요인
2. 선행연구의 검토: 지방자치단체의 데이터 개방 성공의 결정 요인
3. 한국 광역자치단체의 데이터 개방 결정 요인 분석:
퍼지집합분석의 적용
4. 한국 기초자치단체의 데이터 개방 결정 요인 분석:
다변량회귀분석의 적용
Ⅴ. 결론
참고문헌

제11장 지능정보시대의 정부의 디지털 혁신
Ⅰ. 서론
Ⅱ. 지능정보시대의 주요 기술과 특성
1. 주요 기술 개관
2. 가상 세계와 실제 세계의 역동
Ⅲ. 지능정보시대의 행정의 변화 전망
1. 기술 중심적 낙관론
2. 기술과 사회의 공진화를 강조하는 시각
Ⅳ. 무엇을 할 것인가?
1. 정부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역량 강화
2. 정부의 데이터 및 정보자원 관리체계의 정비
3. 개인정보의 활용과 보호의 균형
4. 기술혁명에 대응하는 포용적이고 책임 있는 리더십
Ⅴ.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연구 내용의 출처

저자소개

최낙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원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및 대학성과관리단장. 경찰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경찰행정, 조직관리, 성과관리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The use of smart work in government: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experiences”(2016), “Understanding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cus on the perception of South Korean police officers”(2019),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찰조직에서의 상호작용공정성을 중심으로”(2013) 등이 있다.
펼치기
김준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행정연구원 정부혁신연구실 부연구위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서울대학교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에서 전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부혁신, 전자정부, 디지털 정부, 정보(통신)정책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The managerial dimension of open data success”(2019), “Can social media increase responsiveness?”(2018),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전자정부의 발전수준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2016) 등이 있다.
펼치기
황한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주요 관심 분야는 조직이론과 네트워크/거버넌스 이론의 연계, 디지털 혁신을 통한 공공가치의 개선 등이다. 최근 논문으로는 「소셜미디어 활용을 통한 지방행정의 반응성 개선: 성남시의 트위터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Can social media increase government responsiveness? A case of Seoul, Korea”(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정희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정책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박사과정에 재학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고용서비스, 고용정책 거버넌스, 전자정부 등이다. 주요 연구실적으로는 「청년 구직자의 취업 달성 요인에 관한 연구: 공공 고용서비스 알선대상자를 중심으로」(2016),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전자정부의 발전수준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 지방자치단체의 스마트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2016), 「고용서비스기관 인증평가 지표개발 연구」(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서교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정보화진흥원 선임연구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연구 분야는 전자정부, 디지털 정부혁신, 정보화 정책 등이다. 주요 연구실적으로는 「한국 중앙정부의 모바일 전자정부 발전수준 측정 및 영향요인 분석」(2016), 「2018 전자정부 기술트렌드 조사」(2017), 「인공지능 기반 챗봇 서비스의 국내외 동향분석 및 발전 전망」(2018), 「지능형정부 구현을 위한 블록체인 동향분석 및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