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와 깨달음의 형식

시와 깨달음의 형식

이은봉 (지은이)
서정시학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700원 -10% 0원
1,150원
19,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와 깨달음의 형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와 깨달음의 형식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시론
· ISBN : 9791188903122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18-06-30

목차

머리말 / 5

제1부 시와 깨달음의 내포
1. 시와 깨달음의 형식 - 2002년 가을의 시를 돌아보며 |15
2. 시와 깨달음의 내포 - 2001년 가을의 시를 돌아보며 |35
3. 고통의 내화 혹은 슬픔의 시학 - 2002년 봄의 시를 돌아보며 |62
4. 禪의 언어와 詩의 언어 |77
5. 한국 현대시의 현황과 과제―2002년 한국시단의 성과를 돌아보며 |106

제2부 시세계와 시정신
1. 서정주의 시세계·2―떠돌이의 의미망 혹은 정신기제 |129
2. 오장환의 시와 상실의식 |157
3. 이용악 시의 근대성 |182
4. 김상옥의 시정신―異端을 꿈꾸는 고전주의자 |210
5. 강민의 시세계―현실, 허무, 생명 |222
6. 강인한 시의 의식지향―무구한 영혼의 정직한 꿈꾸기 |229
7. 이가림의 초기시들에 대해―영원한 삶과 찰나의 죽음 |263
8. 이승하 시의 불교적 회감―길 떠나기 혹은 길 찾기 |277

제3부 시창작의 현장
1. 딱딱한 것과 말랑말랑 것이 하나되는 지혜―함민복의 시 「뻘에 말뚝 박는 법」 |295
2. 능청과 해학의 의미망―이면우의 시 「아버지 산」 |299
3. 오염된 현실, 고통의 언어―이문재의 시 「우리들은 天地人」 |305
4. 循環하고 緣起하는 생과 사―장철문의 시 「소주를 먹다」 |311
5. 순환하는 존재의 秘義―최두석의 시 「매화와 매실」 |318
6. 색의 철학과 인간의 자유―박종국의 시 「色經」 |324
7. 도시, 자연, 생명을 보는 눈―나종영의 근작시들 |332
8. 불연기연, 카오스모스, 흰 그늘―김지하의 근작시들 |351
9. 꽃을 바라보는 몇 가지 시각―송기원의 근작시들 |374

제4부 시집 찾기, 시집 읽기
1. 원숙한 열정 혹은 따뜻한 성찰―이성부의 시집 『지리산』, 정희성의 시집 『詩를 찾아서』 |391
2. 티 없는 세계 혹은 무구의 실제―나태주의 시집 『산촌 엽서』 |402
3. 상처, 생명, 침묵―신달자의 시집 『오래 말하는 사이』 |413
4. 상념 혹은 기억의 시학―이향아의 시집 『오래된 슬픔 하나』 |425
5. 고독한 자아, 진정한 生을 찾아서―김석환의 시집 『어느 클라리넷 주자의 오후』 |442
6. 체험과 기억의 시학―성기각의 시집 『쌀밥 보리밥』 |458
7. 비극적 자아의 방황과 고백―김경진의 시집 『나도 생리를 한다』 |475
8. 시대정신 혹은 삶의 심미적 중심 찾기―박현덕의 시조집 『밤길』 |490
9. 생활 혹은 추억의 발견―전학춘의 시조집 『화려한 침묵』 |505
10. 길과 발자국, 지혜와 감각의 시세계―김완하의 시집 『네가 밟고 가는 바다』, 이진수 시집 『그늘을 밀어내지 않는다』 |519
11. 순수 혹은 화응의 세계―김인숙의 시집 『내일이 있어 더 푸른 날들』 |529
12. 고향 혹은 자연을 향한 그리움과 기다림―이남일의 시집 『고향이 그리운 건』 |543
13. 애틋한 마음, 충만한 서정―김기리의 시집 『내 안의 바람』 |559

저자소개

이은봉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3년 세종시(구 공주) 출생. 1983년 『삶의문학』 제5호에 「시와 상실의식 혹은 근대화」를 발표하며 평론가로, 1984년 창작과비평 신작 시집 『마침내 시인이여』에 「좋은 세상」 외 6편을 발표하며 시인으로 등단. 시집 『생활』 『걸어 다니는 별』 『뒤뚱거리는 마을』, 평론집 『시와 깨달음의 형식』 『시의 깊이, 정신의 깊이』, 시선집 『초록 잎새들』 『쥐똥나무 울타리』, 시론집 『화두 또는 호기심』 『풍경과 존재의 변증법』 등이 있음. 가톨릭문학상, 송수권시문학상, 김달진문학상(평론), 풀꽃문학상 등 수상. (사)한국작가회의 사무총장, 부이사장, 신동엽 학회 회장, 충남시인협회 회장, 대전문학관 관장 등 역임. 문예지 『삶의문학』 『문학과비평』 『시와상상』 『시와사람』 『불교문예』 『시와인식』 『시와시』 『세종시마루』 등의 발간에 앞장섬. 2025년 현재 광주대학교 명예교수, 세종인문학연구소 소장.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