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88912162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18-04-20
책 소개
목차
- 요즘도 과거시험을 보면서 살고 있는 아이들
1. 옛날 청소년들도 시험에 대한 스트레스가 아주 심했다는데?
- 과거시험은 결혼식 할 때부터 시작되었다
-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권장했던 승경도놀이
- 옛날에는 한자 공부가 조기교육의 대세였어
- 옛날에도 족집게 과외선생님이 있었다니!
- 산 속에 있는 절로 들어간 과거시험 준비생들
- 평민들에게는 그림의 떡이었던 과거시험
2. 양반 자격시험이 시작되다
- 조선시대 공무원 시험은 어떤 것들이 있었을까?
- 시험날짜를 알리는 방이 붙으면 시험 시즌이 시작된다
- 못된 전통이 된 신원 조회
- 답안지도 수험생이 직접 준비한다
- 먼저 가서 자리 잡는 사람이 유리하다
- 소설 <소나기>에 나오는 윤초시란?
- 한양의 경제는 수험생 주머니로 굴러갔다
- 본심 경쟁률은 7:1이었다
- 양반자격증이었던 사마시 백패
- 사마시 합격자들에게 주는 선물들
3. 왕 앞에서 최종 시험을 보는 마지막 33인
- 출신 성분이 좋은 사람들만이 들어갈 수 있었던 성균관
- 법으로 보장되었던 성균관 학생들의 시위
- 조선왕조를 이끌어갈 맞춤형 정치인을 배출하는 학교
- 농사를 방해하는 것은 과거시험이다
- 최고의 실력파들이 겨루는 문과 복시
- 왕이 직접 출제한 다양한 문제들
4. 조선 최고의 도시 한양을 시가행진하는 합격자들
- 최연소 급제자와 최고령 급제자는?
- 조선시대 최고의 스타였던 이율곡
- 왕이 마음대로 실시했던 수많은 별시들
- 별시는 절차가 간단해서 늘 수험생이 몰렸다
- 옛이야기에 가장 많이 나오는 알성시
- 화려하면서도 경건한 과거시험 시상식장
- 수험생들이 꿈꾸는 가장 화려한 날
- 고향으로 이어지는 환영 행사들
5. 모두에게 신분상승을 가능하게 해준 시험
- 무반과 문반을 합쳐 양반이라고 하고
- 무과의 기본과목은 활쏘기
- 무과의 급제 여부는 말에게 달려 있다
- 무과시험이 가장 많이 열린 춘당대
- 수천 명을 한꺼번에 합격시킨 무과
- 반쪽 양반을 비롯하여 천민들까지 희망을 주었던 무과
6. 자기들만의 독특한 문화를 만든 기술직 공무원들
- 양반 자격증하고 전혀 거리가 멀었던 기술직 시험들
- 가장 인기가 있었던 역과
- 외국어 교육은 철저하게 회화 중심이었다
- 가장 자유롭게 살았던 역관들
- 예술가 공무원을 뽑는 시험도 있었다니?
7. 인문학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사람들
- 문학 작품 속에서 장원급제한 사람들
- 약자들 편에서 과거제도를 시행한 영조
- 수단과 방법을 안 가렸던 부정시험
- 과거시험을 거부한 사람들
- 조선의 역사와 함께 사라진 과거시험
- 서양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했던 동양의 과거제도
- 인문학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사람들
- 작가의 말
- 추천의 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하늘이 맑은 가을날, 친구 소연이가 놀러왔다.
『옛 하인 막동이』라는 옛이야기에 나오는 것처럼 3대째 과거 합격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그 집안에서는 모든 것을 걸고 수험생에게 올인하기 마련이야. 생각해보렴. 모든 집안 식구가 자기만 쳐다보고 있다면 어쩌겠니?
“이제 집안을 일으켜 세울 사람은 너밖에 없다. 그러니 남들보다 더 열심히 공부해서 꼭 과거에 급제하여야 한다. 그래야 양반으로 떵떵거리면서 살 수 있느니라.”
나 같으면 도저히 부담스러워서 공부를 할 수가 없었을 것 같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