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91188925001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18-02-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3)
제1장 관리비란? (5)
1. 총론 (5)
2. 관리비의 정의 (11)
3. 관리비의 구성 (13)
4. 관리비 분석 (32)
5. 관리비의 공개 (34)
제2장 적정 관리비를 위한 사전 요건 (35)
1. 입주자대표회의의 역할 (35)
2. 관리주체가 관리비를 집행한다. (47)
3. 공동주택에 대한 감독 (61)
4. 내부통제 상태에 따라 관리비 달라진다. (67)
5. 외부감사제도가 적정 관리비에 기여할 수 있는가 ? (82)
6. 내부감사가 제 역할을 하여야 한다. (103
7. 부당한 세금을 추징당해서는 안 된다. (107)
8. 예산제도에 의한 ‘표준관리비’ 책정이 필요하다. (129)
9. 벌칙(벌금과 과태료)를 받지 말아야 한다. (138)
10. 입주자 등의 적극적 관심과 능동적인 참여. (165)
11. 안전관리계획 및 교육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175)
12. 관리규약을 우리 단지에 적합하게 갖춰야 한다. (180)
13. 투명한 관리비가 되어야 한다. (185)
제3장 적정 관리비로 가는 길 (192)
1. 적정 일반관리비 (194)
2. 적정 용역비 (199)
3. 에너지 절감 (202)
4. 전기료 절감 (204)
5. 수도료 절감 (216)
6. 적시 하자보수로 관리비 절감 (218)
7. 적당한 장기수선충당금 적립과 사용 (236)
8. 미수관리비 대손 방지 (254)
9. 관리외수익을 활용한 관리비 사용 (256)
10. 각종 공사와 용역계약의 투명화 (262)
11. 기타사항 (300)
1) 위탁관리업체를 올바르게 선정 (300)
2) 입주자대표회의와 선거관리위원회의 회의비 등 (301)
3)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 활용 (301)
4) 관리업무의 인수 · 인계가 잘 되어야 한다. (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