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홍순민의 한양읽기 : 궁궐 상](/img_thumb2/9791189074364.jpg)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홍순민의 한양읽기 : 궁궐 상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89074364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1-05-31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89074364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1-05-31
책 소개
《우리 궁궐 이야기》를 통해 독자들의 궁궐 보는 눈을 한 단계 높였던 저자가 그동안 더 깊어진 이해와 공부를 두 권의 책으로 묶어 돌아왔다. 상권은 궁궐을 이해하기 위한 개론에 해당한다. 궁궐이 자리한 서울을 둘러보는 것으로 시작해, 궁궐이 어떤 곳이었는지, 어떻게 짜인 공간이었는지를 설명한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우리 땅 우리 서울
1 “백두산 뻗어나려
반도 삼천리”
산분수합, 산자분수령
반도 삼천리의 배꼽, 서울
2 왕도 서울
서울을 왕도로 만든 세 가지
왕도의 예복, 도성
서울 바닥
종묘사직, 다섯 궁궐
제2장 임금이 사는 곳, 궁궐
1 궁궐이란 무엇인가
궁궐, 그 낱말의 뜻
궁궐은 아닌, ‘궁’들
2 궁궐의 짜임새
오문삼조?
궁궐의 여섯 공간
3 건물 읽기
전통건축의 구조
건물의 신분
제3장 궁궐의 역사
1 첫 번째 양궐체제
궁궐 이해의 열쇠, 양궐체제
영원한 법궁, 경복궁
창덕궁과 창경궁의 탄생
임진왜란, 궁궐을 삼키다
정릉동행궁
2 두 번째 양궐체제
광해군의 무리수
둘이면서 하나인 궁궐, 동궐
서궐 경희궁
3 세 번째 양궐체제
법궁 경복궁 중건
고종의 이어, 이어, 이어
4 경운궁 단궐체제
경운궁 시대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궁궐의 끝, 국망
부록 - 궁궐을 보는 눈
궁궐의 주제, 궁중문화
문화의 영역들
공간, 시간, 인간 속으로
문화유산 만나기
전통문화의 기본 관념
참고 문헌 / 주석
도판 출처 / 고서화, 고지도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