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목회일반
· ISBN : 9791189092344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3-03-10
책 소개
목차
• 제2판 서문
• 초판 서문
I. 신앙과 이론
1. 통제 신념의 역사적 사례
2. 문제 제기
3. 근본적으로 조화시키기
4. 토대론
5. 토대로 이론의 정당화를 설명할 때의 난점들
6. 토대에 속하는 명제를 충분하게 찾기 어려운 까닭들
7. 주장하지 않은 것들
8. 성경은 토대론을 구원할 것인가?
9. 이론 평가의 구조
10. 그리스도인의 진정한 헌신
11. 진정한 헌신은 이론화 작업에 어떻게 작용해야 하는가?
12. 이러한 이론화에 관한 이론을 신학에 적용하기
13. 이론화가 헌신에 미치는 영향
14. 신앙은 지식의 조건인가?
15. 답하지 않은 몇 가지 문제
16. 탐구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이론의 필요성
17. 도전
II. 이론과 실천
18. 샬롬을 위한 학문
19. 이론화를 정당화하는 방식들
20. 학자들의 선택 원칙들
21. 서로 다른 두 가지 견해
22. 결론적 이의 제기
•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모든 학자가 두 가지 근본적인 문제에 직면한다. 학자들은 어떤 문제를 탐구할지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탐구 중인 문제에 관하여 어떤 견해를 취할지 결정해야 한다.
나는 그리스도인이라는 나 자신의 근본 정체성이 나의 학문 수행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더 중요하게는 어떻게 관련해야 하는지를 스스로 묻고 있다.
그리스도인이 학자라면 자신이 두 집단에 속해 있음을 의식한다. 하나는 그리스도교 공동체고 다른 하나는 동료 학자 공동체다. … 그리스도인이자 학자인 사람이 삶에 일관성이 있기를 바란다면 어떻게 내 정체성이 이 두 공동체에 동시에 속하면서 조화를 이루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 이 물음에 대한 나의 대답 중 일부는 이론화에 관한 이론의 몇몇 요소를 스케치하는 것과 관련될 것이다. 이 물음의 배후에 있는 근본 쟁점은 그리스도교에 헌신하는 것이 학문 활동에서 차지하는 역할에 관한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