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소설론
· ISBN : 9791189171728
· 쪽수 : 660쪽
· 출판일 : 2024-02-15
목차
머리말
제1장 현대소설사의 기점
1. 이광수와 시대 인식: 『무정』
1) 『무정』을 보는 시각
2) 인물 관계
3) 영웅적 인물의 잔영
(1) 시대의 요구
(2) 전대소설의 수용과 변용
(3) 영웅적 인물의 행방
(4) 또 다른 ‘행복한 결말’
2. 『무정』의 현대소설사적 의의
제2장 ‘리얼’에 대한 인식과 개별화
1. ‘리얼’의 자각: 김동인
1) 《창조》의 문학관
2) ‘약한 자’의 의미
3) 김동인의 자연주의
4) 유희의 한계
2. 휴머니테리어니즘: 전영택
1) 전영택의 ‘약한 자’들
2) 휴머니테리어니즘(Humanitarianism)
3. 예술로서의 문학: 나도향
1) 원초적 감정
(1) 예술과 순수
(2) 통속과 예술
2) 경향소설과의 상관관계
3) 예술과 현실
4. 반어와 기교: 현진건
1) 신세대의 윤리
2) 반어의 한계
3) 『무영탑』의 미학
5. 근대 초기소설의 가정교사와 연애풍속
1) 가정교사라는 직업
2) 연애와 풍속도
(1) 고용자로부터 사용자로
(2) 사용자로부터 고용자로
(3) 사용자와 고용자
3) 신세대 최초의 직업
제3장 경향소설의 등장
1. 자연발생기의 가난: 최서해
1) 가난한 농촌의 열혈청년
2) 「고국」ㆍ「탈출기」의 만주 체험
2. 자연발생기의 도시 지식청년: 이익상
1) 도시 체험
2) 가난과 이향
3. 목적의식기의 투쟁: 조명희
1) 카프의 제2차 방향전환
2) 「낙동강」의 투쟁
제4장 리얼리즘 소설의 전개
1. 사실주의 소설: 염상섭
1) 햄릿형 인물: 「표본실의 청개구리」
2) 열린 구조: 「만세전」
3) 통속적 구조: 『이심』
4) 사실주의 소설: 『삼대』
2. 서구소설의 수용과 변용: 『남방의 처녀』와 『이심』
1) 유럽의 탐정소설 『남방의 처녀』
2) 염상섭의 『이심』
3) 탐정의 등장
(1) 공주 도난사건
(2) 국보 도난사건
4) 욕망의 구도
(1) 통속과 욕망
(2) 부재 인물의 역할
5) 식민지 상황과 민족주의
3. 풍자소설: 채만식
1) 역설의 시대 상황
2) 민족과 역사
3) 사실주의: 『탁류』
4) 풍자소설: 『태평천하』
5) 폭로와 고발: 해방기 소설들
) 해방 정국의 혼란: 「소년은 자란다」
4. 풍속소설: 김남천
1) 창작방법론 모색
2) 풍속론 비판
3) 예술적 경향소설론
4) 『대하』의 실제
(1) 가족사 소설의 변형
(2) 발견으로서의 풍속
5) 예술과 이념
5. 13년대 후기 무산운동의 추이: 가족사 소설 3편
1) 민족주의 문학 계열의 ‘함께 살기’: 『삼대』
2) 선택적 ‘함께 살기’: 『태평천하』
3) 경향문학 계열의 ‘함께 살기’: 『대하』
. 이기영과 심훈의 농촌소설: 『고향』과 『상록수』
1) ‘변화’의 의미
2) 농민운동과 농촌계몽
3) 계급 구조와 모순 구조
4) 극복으로서의 투쟁과 화합
5) 현실주의와 이상주의
제5장 휴머니즘 소설의 전개
1. 이상의 자의식 소설: 「날개」
1) 프롤로그 읽는 법
2) 폐칩된 자아
2. 박태원과 산책자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1) 도심의 산책자
2) ‘구보씨’의 자아 찾기
(1) 여인의 의미
(2) 갇힘과 외출
(3) 노정의 자아
(4) 지성과 문장
3. 가난의 바닥: 김유정
1) 들병이 여인들
2) 만무방 사내들
3) 동심의 지주와 소작인
4) 서울 따라지들1
4. 향수의 문학: 이효석
1) 낙향으로서의 자연
2) 「메밀꽃 필 무렵」의 향수
(1) 여가의 자연
(2) 자연과 관능
(3) 향수의 공간
5. 자전적 소설: 이태준
1) 고아로서의 생애
2) 자전적 소설과 창작
(1) 배기미 이전의 기억
(2) 『사상의 월야』의 배기미
(3) 작가의 배기미와 「오몽녀」의 배기미
(4) 「고향」과 「바다」의 소청거리
6. 인간과 자연, 그리고 신: 김동리
1) 샤먼의 세계
2) 설화의 시간과 공간
3) ‘물’과 ‘불’의 이미지
4) 자연으로의 귀의
7. 시심(詩心)으로서의 소설: 황순원
1) 시로서의 출발
2) 모성과 생명의 근원
3) 죽음
4) 해방직후의 소설
제6장 해외동포 소설
1. 재일동포 소설: 이회성
1) 성장 체험과 재일동포 소설의 형성
(1) 소년기 사할린 성장
(2) 해방직후의 사할린 철수
(3) 청소년기 북해도
(4) 동경의 와세다대학교 시절
2) 민족 동질성 확인
(1) 재일의 조건
(2) 조국 분단의 비극
(3) 영원한 한국인 상
2. 연변동포 소설: 김학철
1) 역사의 동질성5
2) 항일투쟁의 현장: 『격정시대』
3) 연변의 단편소설
(1) 문화혁명기의 수난
(2) 연변의 근대화 체험